DOI QR코드

DOI QR Code

대전시 상업지역 주거복합건축물 사례 분석을 통한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Plans through Case Analysis of Residential Complexes in Commercial Areas in Daejeon

  • 류경수 (경남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 )
  • 투고 : 2022.12.21
  • 심사 : 2023.03.21
  • 발행 : 2023.06.30

초록

최근 대도시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축물의 입지로 인해 도시기능이 상업기능에서 주거기능으로 전환되고 있다. 대전광역시 상업지역 내 용도용적제를 개선하기 위해 특·광역시의 제도를 비교분석하고, 사업대상지 8개소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거복합건축물의 용도 분류의 명확화, 둘째, 상업지역의 기능 상실에 대한 도시 계획적 불균형, 셋째, 개발밀도의 차이로 도시환경의 훼손이다. 이에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주거기능과 용도복합의 비율을 최소 10% 이상 확보하고, 둘째, 다양한 용도와 기능을 융·복합화된 시설을 유도하여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 용도용적제 폐지를 통한 공동주택의 일괄적인 용적률을 적용하며, 셋째,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자문을 통한 개발밀도를 제시하였다.

Recently, due to the location of residential complexes in commercial areas of large cities, the urban function is shifting from commercial to residential.In order to improve the use volume system in the commercial area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ystem of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blems were derived by analyzing 8 cases. First, use classification of mixed-residential buildings, Second, unbalance of urban planning for functional loss of commercial area, Thrid, damage on urban environment due to difference of development density. Accordingly,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First, securing the ratio of residential function and mixed use at least 10%, Second, securing urban competitiveness by inducing facilities that combine various uses and functions. The overall floor area ratio of housing is applied, Third, the development density is presen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district unit plan and consul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진우.장윤배.정지이, 2021, "원도심 상업지역 밀도관리 방안-파주시 문산읍을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2. 김종보, 2006, "주거복합건축물의 개념과 특례", 「법학논문집」, 30(2), 91-110.
  3. 김태균, 2004, "공간구조상의 주거복합용도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워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형준, 2022, "상업지역 주거복합건축물의 용적률 개선방안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3(3), 19-32.
  5. 네이버 백과사전 홈페이지, https://www.naver.com/naverdictionary/.
  6. 류경수.정응호, 2020, "준주거지역 내 토지이용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 「한국주거학회」, 31(2), 33-42.
  7. 맹다미.김인희.반영권.윤혜림, 2016, "중심지체계 실현성 강화를 위한 용도지역 관리 개선방안", 서울연구원.
  8. 법제처 홈페이지, https://www.law.go.kr/.
  9. 송희숙.김기호, 2007, "도심부 주거관련 정책과 그에 다른 단위 주거 일조문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61-272.
  10. 안내영.박수진, 2020, "오피스텔 주거성 강화가 도시관리에 미치는 영향과 제도 개선방안: 인천시 오피스텔 사례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5(7), 109-125.
  11. 안내영.정희윤, 2016, "기성시가지 특성을 고려한 용도지역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상업지역에서 모듈러 조닝의 적용가능성", 「한국도시설계학회」, 17(4), 43-62.
  12. 양재섭.권미리.이재수, 2014, "서울시 주거복합건물의 개발특성과 용도용적제 효과분석 - 1990년 이후 상업지역 내 공급된 10층 이상 주거복합건물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1), 95-109.
  13. 유해연.김훈.이윤서.심우갑, 2010, "주거용 오피스텔의 실태조사에 따른 개선방안 기초연구 - 관악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26(1), 13-24.
  14. 이주영, 2021, "울산광역시 용도용적제 운영 개선방안 연구", 울산연구원.
  15. 임병호.정경석.양승희.지남석, 2021, "대전시 용도용적제 개선방안 연구", 대전세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