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Experience Analysis on the Sel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투고 : 2023.01.10
  • 심사 : 2023.02.17
  • 발행 : 2023.02.28

초록

본 연구는 과학과 검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선정 주체인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체제가 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5명과 내러티브 면담을 진행하고, 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기된 교과서의 저자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의견수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경력과 전공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선정협의회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상황에 맞게 평가기준표를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견수렴 과정에서 교사별로 과학 교과서 전체를 검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요소로 탐구 활동과 교과서 구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외적 요소로는 동영상과 같은 교수·학습자료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교과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의 지표인 저자와 관련된 부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교장 보고의 경우 선정 이후 진행하는 행정적인 마무리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3~4학년군 교과서와 5~6학년군 교과서를 임의로 통일하는 것 보다 학년군별로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appropriat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 science-authorized textbook system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selecting science-authorized textbooks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eachers. Toward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cience textbook selection process, surveys on 32 teachers, and analysis on the authors of the textbooks. The result demonstrated, first, that the "opinion gathering" stage was the most important one, and a council was formed in consideration of career and major. Moreover, the evaluation standard was reorganiz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chool. Second, in the process of opinion gathering, the teachers used a method for reviewing the entire textbook for each teacher. Inquiry activities and textbook composition (readability) were crucially considered as internal factor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ch as videos, were deemed extremely important as external factors. The variable of the author, which is an indicator of the reliability and expertise of textbooks, was also recognized as vital. Third, the deliberation by the School Committee and the report by the principal were recognized as the administrative final step after selection. Finally, selecting the most suitable textbooks for each grade group wa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than arbitrarily unifying textbooks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s and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한중, 송정미, 강석(2010).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이독성 연구. 초등과학교육, 29(2), 134-143.
  2. 곽병선, 문용린, 한명희, 윤기옥, 김미숙, 김재춘, 김재현, 이은미(2004). 교과서 발행제의 다양화에 따른 자유발행제 도입 방안 연구(연구보고서 2004-6).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3. 교육부(2021). 검.인정 교과용도서 선정 매뉴얼. 세종: 교육부.
  4. 김대현, 박경미(2003).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1(2), 23-49.
  5. 김명희(2021). 천재교육 vs 아이스크림미디어 "초등 교과서 1등". https://m.etnews.com/20211111000108.
  6. 김영자, 임희정(2015). 초등 영어 검정 교과서 학교 단위 선정 기준 개발 연구. 초등영어교육, 21(2), 237-260.
  7. 김은성, 김호정, 남가영, 박재현(2012).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3), 1-28.
  8. 김은성, 김호정, 박재현, 남가영(2013). 사용자 중심의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방향 연구: 국어 교사의 실제 선정 활동 분석을 토대로. 국어교육연구, 31, 371-400.
  9.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10. 김승훈(2010). 한국 교과서 검정제의 구조 및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28(2), 177-204. https://doi.org/10.15708/KSCS.28.2.201006.007007
  11. 김정렬, 이지은(2009). 중학교 영어교과서 현장 채택기준 개발 연구. 영어교육, 64(2), 3-28. https://doi.org/10.15858/ENGTEA.64.2.200906.3
  12. 김주현, 김희복(2016). 초등학교 수업 문화에 대한 질적 연구. 인문학논총, 42, 131-154.
  13. 김창환(2012). 교과서 검정 심사의 분류일치도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5(1), 25-50.
  14. 김혜숙, 이미경, 양윤정, 배주경, 신호재, 김종윤(2018). 교과서 자유발행제 도입을 위한 국제 비교 연구(연구보고 CRT 2018-1).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나경훈(2021). 검정제도 시행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구성체계 및 내용변화 양상 분석: 2022년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3(4), 27-53. https://doi.org/10.35557/TRCE.53.4.202112.002
  16. 남가영, 김호정, 박재현, 김은성(2011).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53-81.
  17. 남가영, 맹은경, 고호경(2012).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6(3), 603-627. https://doi.org/10.24231/RICI.2012.16.3.603
  18. 맹은경(2012). 초등교사의 영어교과서 선정기준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외국어교육, 19(4), 375-397.
  19. 문현진, 김영빈, 이병민, 이승현(2022). 초등교사의 사회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교원교육, 38(2), 159-183.
  20. 박선미(2010). 사회과 교육과정 구조가 교과서 다양성에 미친 영향: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251-267. https://doi.org/10.17279/JKAGEE.2010.18.3.251
  21. 박약우, 고경석, 이재희, 김혜련, 박기화, 박선호, 최희경, 부경순, 심창용, 이종원(2010). 초등영어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22. 박영예(2018). 초등영어 교과서 선정 실태 및 교사 인식 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34(1), 227-248.
  23. 박윤경(2001).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채택과정에 대한 연구: 교과서 채택 과정에서 드러난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서 선호 이해. 시민교육연구, 33, 109-139.
  24. 박일수(2012). 2007년 개정 초등학교 검정 교과서 채택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과정연구, 30(1), 175-197. https://doi.org/10.15708/KSCS.30.1.201203.008
  25. 박진용, 신성균, 함승연, 이영아, 남창우, 손예희, 신명경, 김민정(2011). 수요자 중심의 교과서 체제 개발 방안(연구보고 RRO 2011-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6.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와 제 7차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27.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28. 설규주(2012).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을 통해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4), 269-291.
  29.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물체의 무게'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30. 염지숙(2003).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31. 유수진(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 체제 및 선정과정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42(2), 221-238.
  32. 유현종, 고호경(2013). 수학 교과서 선정 기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7(2), 245-260. https://doi.org/10.21796/JSE.2013.37.2.245
  33. 이동원, 이의환(2018). 초등교사의 실과교과서 선정 과정에 대한 탐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1(4), 43-67.
  34. 이림, 장소영, 민부자, 홍후조(2019). 초등학교 국정 교과용도서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교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4), 73-95.
  35. 이성영(2009). 국어 교과서 정책. 국어교육학연구, 36, 71-98.
  36. 이성희(2001). 영어 교재 평가 모형 연구. 외국어교육, 8(1), 195-221.
  37. 이종국(2001). 한국의 교과서 출판 변천 연구. 서울: 일진사.
  38. 이춘식(2014). 검인정 교과서 선정 제도 개선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8(3), 561-578.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561
  39. 정현일, 정희정, 강래형, 김현지, 최혜민(2013). 중학교 미술교사들의 교과서 선정기준과 절차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7(1), 177-204.
  40. 정혜승(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독서연구, 24, 445-479.
  41. 정희경(2010). 초등학교 검정교과서 선정 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교과서연구, 62, 26-32.
  42. 주형미(2010). 초중등 영어교과서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연구. 영어교육연구, 22(3), 209-235. https://doi.org/10.17936/PKELT.2010.22.3.010
  43. 진의남, 진재관, 주형미(2010). 중등학교 교과서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 및 척도 개발. 실과교육연구, 16(2), 43-66. https://doi.org/10.17055/JPAER.2010.16.2.43
  44. 차경미, 이경남, 박혜영(2021). 초등 국어 교과용도서의 검정 전환에 대한 델파이 조사. 교육과정평가연구, 24(2), 49-75.
  45. 채희인, 노석구(2022).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검정 교과서의 과학핵심역량(ScC) 반영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41(2), 325-337.
  46. 천세영, 방인자, 전미애(2015). 초.중등 교사의 교수.학습자료 이용 실태와 개선방안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9(3), 691-711. https://doi.org/10.24231/RICI.2015.19.3.691
  47. 한국과학창의재단(2020). 검정 교과서 FAQ. https://www.kofac.re.kr/main.
  48. 한문현, 윤혜경(2021). 두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지향과 현실의 갈등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초등과학교육, 40(2), 201-225.
  49. 한창일, 김성운, 양일호(2016). 검정교과서 선정 과정에서 교사의 주의 집중 분석. Brain, Digital, & Learning, 6(2), 49-65.
  50. 홍미화(2011).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교사의 사회 수업 변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18(2), 125-142.
  51. 홍영숙(2019). '관계적 탐구'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질적 탐구, 5(1), 81-107.
  52. 황혜정(2000). 수학과 2종 교과서 개발 및 검정 기준에 관 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9(1), 1-9.
  53. Akande, A. O. (2017). A narrative interviewing technique for master's level counselors in case management roles. The Journal of Nurse Life Care Planning, 17(2), 40-44.
  54.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5. Connelly, F. M., & Clandinin, D. J. (2006). Narrative inquiry. In J. L. Green, G. Camilli, & P. Elmore (Eds.),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pp. 477-487). Mahwah, NJ: lawrence Erlbaum.
  56. Kesidou, S., & Roseman, J. E. (2002). How well do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s measure up? findings from project 2061's Curriculum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522-549. https://doi.org/10.1002/tea.10035
  57. McDonough, J., & Show, C. (2003). Materials and methods in ELT: A teacher's guide (2nd ed.). Oxford: Blackwell.
  58. McGrath, I. (2002). Materials evaluation and design for language teaching.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59.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60. Wellin, C. (2007). Narrative interviewing.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28(1), 79-99. https://doi.org/10.1300/J021v28n01_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