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15 및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Comparing the 2015 with the 2022 Revised Primary Science Curriculum Based on Network Analysis

  • 투고 : 2023.01.19
  • 심사 : 2023.02.16
  • 발행 : 2023.02.28

초록

본 연구는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초등학교급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어떠한 변화 양상을 갖는지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 및 2022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 정의 성취기준을 추출하여 성취기준 영역 변화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각 영역별 중심성 지수를 중심으로 한 비교, 커뮤니티 탐지 기법을 활용한 군집 분석을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비해 전체 성취기준은 10% 가량 감소하였으나, 성취 기준의 길이나 주요어의 빈도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관찰이나 조사, 설명 외에도 공유, 실천, 설계 등 디지털 도구활용 및 협동학습과 관련된 과정·기능적 측면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과학의 각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 분석 결과 대체적으로 군집의 숫자나 관련 개념이나 용어의 영역은 유사하였으나, 과정·기능 및 가치·태도와 관련된 주요어를 중심으로 수행 방식 등에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2015 to the 2022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ing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elevant to primary science education were therefo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conceptual domains in the two curricula were analyzed for differences; various kinds of centrality were computed; and the Louvain algorithm was used to identify clusters. These methods revealed that, in the revised compared with the preceding curriculum, the total number of nodes and links had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had decreased by 10 percent. In the revised curriculum, keywords relevant to procedural skills and behavior received more emphasis and were connected to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Observation, survey, and explanation remained important, but varied in application across the fields of science. Clustering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ategories in each field of science remained mostly unchanged in the revis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but that each category highlighted different skills or behaviors. Based on tho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for science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are discussed.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21학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2. 교육부(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제2022-09호. 세종: 교육부.
  3. 김경태, 송재민(2016).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활용한 서울시 상습침수구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 중심성 특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3), 89-108.
  4. 김성환, 탁해성, 조환규(2018). 사용자 이분그래프모형을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토론 네트워크의 군집성과 극성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9(5), 89-96.
  5. 김유정, 장원형, 홍훈기(2019).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 22(3), 225-250. https://doi.org/10.22799/JCE.2019.22.3.009
  6.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95-306.
  7. 김지숙, 최선영(2022). 초등학교 5-6학년군 탐구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42(1), 151-165.
  8. 박근송(2019).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빅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지역커뮤니티 탐지.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39(1), 256-259.
  9. 박재근(2017).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6(1), 43-60.
  10. 박지선, 장진아, 전예은(2022). 2015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41(2), 267-282.
  11. 박준형, 전영석(2020). 초등학교에서 무게와 질량 단위 도입의 문제에 대한 고찰. 새물리, 70(7), 603-612.
  12. 변태진(2022).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1(2), 217-235.
  13. 서경희, 김영신(2020).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자극과 반응 단원의 개념 연계성 변화. 생물교육, 48(1), 20-37. https://doi.org/10.15717/BIOEDU.2020.48.1.20
  14.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5. 양슬기, 한동균(2019).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과교육, 58(4), 87-110.
  16. 윤지영, 온정덕(2022). 학습에서의 성찰 개념 및 교육과 정에서의 적용 방안 고찰. 교육과정연구, 40(1), 1-27.
  17. 이수상(2018).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서울: 청람.
  18. 임수민, 윤회정, 방담이(2019).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물질' 분야의 연계성 분석. 현장과학교육, 13(3), 303-318.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303
  19. 임연수(2019). 유튜브 영상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들에 대한 고찰. 한국데이터분석학회지, 21(6), 3169-3178.
  20. 정미경, 김경자(2006). 교사의 교육과정 변화 능력(change capacity) 함양을 위한 적응적 전문성(adaptive expertise) 신장 방안. 교육과학연구, 37(3), 25-45.
  21.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현,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RRC 2020-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채동현, 신정윤, 김은애(2022). 초등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및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13-223.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213
  23. Carolan, B. V. (2013). Social network analysis and education: Theory, methods & applications. Washington, DC: Sage.
  24. Girvan, M., & Newman, E. J. (2002). Community structure in social and biologic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9(12), 7821-7826. https://doi.org/10.1073/pnas.122653799
  25. Kumar, R., Moseley, B., Vassilvitskii, S., & Vattani, A. (2015). Fast greedy algorithms in MapReduce and streaming. ACM Transactions on Parallel Computing, 2(3),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