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o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 투고 : 2023.04.11
  • 심사 : 2023.05.17
  • 발행 : 2023.05.31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K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n=169)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surveyed for 3rd year nursing students (n=169) at K Univers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major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a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and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키워드

I. Introduction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간호사가 자신이 간호하는 환자를 조롱하는 듯한 글을 올리면서 간호사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형성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지고 있다[1]. 간호전문직관은 간호가 무엇인지에 대한 간호관에 직업관을 결합시킨 것으로 간호를 수행하는 사람의 간호수행 과정이나, 그 직분에 대한 직업의 의식적인 견해이며[2],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직업적 만족감을 얻으며 사람들로부터 간호의 전문성을 인정받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2-3].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다양한 건강관리요원들과 협력하여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긍정적이고 확고한 간호전문직관이 필요하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교육 방향은 나아가 간호사의 긍정적 간호전문직관 확립의 발판이 되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전공만족도는 자신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전공하는 학과에 대해 평가하는 것으로써[4],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과 및 대학 생활을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5]. 또한, 임상실습에서 예상하지 못한 사건이나 불확실한 상황에 노출 되었을 때 적절하게 잘 대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직에 대한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할 수 있다[6].

간호사들이 코로나-19 감염병으로 인해 환자의 생명 보호를 위해 헌신하는 모습이 미디어를 통해 보여지면서 사람들에게 간호사 이미지가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를 수행하는 책임감을 가진 존중받을 만한 사람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사회적인 인식이 변화함으로써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9], 간호대학생들에게 간호사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은 간호학과에 입학 후 전공 이론과 실습 교육을 통하여 간호전문직관이 높아지기 시작하며, 실습교육은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9]. 임상실습을 통해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하고 간호사의 역할과 간호술기를 습득하게 되며, 대상자의 간호 요구에 따른 간호과정, 간호중재 및 임상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실무 수행 능력을 학습하게 된다[10]. 임상실습교육환경은 간호대학생의 실습 교육이 임상현장 속에서 학습의 전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며, 실습 시에 관찰하게 되는 전문적인 간호사의 역할들은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전문직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임상실습 중에 간호대학생이 느끼는 실습소속감이란 개별적이고 맥락적으로 심오하게 매개되는 경험으로써, 개인이 집단구성원으로서 수용되고, 안전하고, 가치있게 존중 받는 것을 느끼는 정도, 그리고 개인이 획득한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가치가 집단의 가치와 조화를 이룬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고 있다[12]. 선행연구에서도 실습소속감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을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하였으며[13], 실습소속감을 높여주는 지지적인 임상실습교육환경은 간호대학생들이 실습 동료와의 협업 관계 향상, 학습 동기 유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향상 및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4-15].

이상의 선행연구들에서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이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선행연구들은 주로 간호학과 전체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가 이루어진 시기가 코로나-19 이전 상황에서 실시되었다. 포스트 코로나-19로 인해 간호사들의 사회적 이미지가 높아지고,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교육 환경의 변화 등은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나,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실습소속감 및 간호전문직관이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어느정도 상승하고 변화하였는지 확인하고, 이들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 간호학과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II. Research Method

1. Research design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Research subjects

본 연구대상은 G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재학생 중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의 수는 G*Power 3.1.9.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 독립변수 10개를 기준으로 유의수준(α) .05, 효과크기 .15(medium), 검정력(1-β) 9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최소 147명이 산출되었으며, 탈락률 10%를 감안하여 총 169명에게 자료수집 하였다.

3. Research tools

3.1 Major satisfaction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계한 진로방향이나 직업에 대한 기준에서 자신이 선택한 학과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며[4], Illinois 대학에서 Braskamp 등[16]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김과 이[17]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1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4이었다

3.2 Nurse image

대상자가 간호사에 대하여 가지는 신념, 인상 및 가치관의 집합체로 태도를 형성하는 하나의 요인이고, 간호사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의미한다[7]. 송[18]이 의료인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해 만든 도구를 바탕으로 이[19]와 양[20]이 국내에 맞게 만든 도구를 김[21]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40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 이미지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선행연구[21]에서 Cronbach’s α는 .95으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96이었다.

3.3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임상실습교육환경이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환경에서의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의미한다[22]. Dunn과 Burnett [22]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것을 한[2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19문항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교육 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23]에서 Cronbach's α는 .84로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2 이었다.

3.4 Clinical practice belonging

실습소속감은 개별적이고, 맥락적이며 개인이 가진 전문적인 가치가 집단의 가치와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느끼는 정도를 의미하며[12], Levett-Jones 등[12]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실습소속감 도구를 김과 정[24]이 한국어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34문항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실습소속감이 높음을 의미하며, 선행 연구[24]에서 Cronbach' α는 .92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91이였다.

3.5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에 대한 견해와 간호직 자체에 대한 견해를 의미한다[2]. 연, 권과 안[2]이 간호전문직관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이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2]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α는 .92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 α는 .92이었다.

4. Data collection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11월 09일 ~ 2022년 12월 0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는 서면으로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해 고지하고 설문지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자에게는 온라인 설문조사 URL링크에 접속하여 연구 참여 동의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5. Data analysis

수집한 자료는 SPSS-WIN program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실습소속감 및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정도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실습소속감 및 간호전문직관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III. Research Results

1.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f subjects

전공만족도에 대한 전체 평균은 4.11점이었고,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전체 평균은 4.21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환경에 대한 전체 평균은 3.69점, 실습소속감은 3.65점이었고, 간호전문직관은 4.02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전문직 자아개념이 4.21점으로 가장 높고, 간호의 독자성이 3.44점으로 가장 낮았다(Table 1).

Table 1. The scores of variables (N=169)

CPTSCQ_2023_v28n5_113_t0001.png 이미지

2.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in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간호사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실습소속감 및 간호전문직관의 차이 대한 분석결과, 대인관계가 전공만족도(F=9.50, p=.000), 간호사 이미지(F=11.76, p=.000), 실습소속감 (F=5.39, P=.001)과 간호전문직관(F=14.28,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대인관계가 좋지 않은 대상자 보다는 좋은 대상자들이 전공만족도, 실습 소속감 및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취업을 희망하는 병원에 따라서도 전공만족도(F=3.85, p=.003), 간호사 이미지(F=3.98, p=.002)와 간호전문직관(F=3.70, p=.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 결과 간호사 이미지는 수도권 상급대학병원 취업을 희망하는 대상자들이 지방 상급대학병원 취업을 희망하는 대상자들보다 높았으며, 지방 상급대학병원 취업을 희망하는 대상자들이 2차병원에 취업을 희망하는 대상자들보다 간호사 이미지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Table 2).

Table 2.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N=169)

CPTSCQ_2023_v28n5_113_t0004.png 이미지

3. Correlation among major satisfaction, nurse imag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r=.74, p<.005), 간호사 이미지(r=.62, p<.005), 임상실습교육환경(r=.48, p<.005) 및 실습소속감(r=.56, p<.005)간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간호사 이미지는 임상실습교육환경(r=.65, p<.005), 실습소속감(r=.62, p<.005)간 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임상실습교육환경은 실습소속감(r=.78, p<.005)과 실습소속감은 간호전문직관(r=.56, p<.005)과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 among Variables (N=169)

CPTSCQ_2023_v28n5_113_t0002.png 이미지

4.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을 입력(Enter)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의 가정을 충족하는지 확인한 결과 Durbin-Watson 통계량이 1.520으로 잔차의 상호독립성을 만족하였으며, 공차한계는 0.346-0.474로 0.1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지수(VIF)는 2.108-2.893로 10보다 작아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56.11,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ΔR2)는 .57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56)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f nursing students (N=169)

CPTSCQ_2023_v28n5_113_t0003.png 이미지

IV. Discussion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간호교육 및 임상실습교육에서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전공만족도의 평균평점은 4.11점으로 나타나, 조 등[2]의 연구결과 3.96점보다 높으며, 문과 황[16]의 연구결과인 3.77점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대상자를 전체 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대상자들의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학과의 1학년과 2학년의 경우 전공 교과목 수업을 수강해보지 못한 경험과 실제 실습기관에서의 임상실습을 수행하지 못한 부분으로 인해 전공 교과목과 임상실습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추후 학년별로 전공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각 학년별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전공만족도는 전공교과목에 대한 학습량이 많고 교육과정에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어려움이 많은 간호대학생에게 전공 학습을 이어가기 위한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되며, 선행연구에서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25].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올바른 전문직관을 형성하고 간호사로서의 자질을 갖추어 임상현장에 잘 적응하며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간호사 이미지는 4.21점으로 선행연구에서는 3.85점과 3.80점으로 나타났다[26]. 이는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를 3학년으로 제한하여 실습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 따른 차이로 사료되며, 향후 학년별 또는 임상실습 경험 유무에 따른 간호사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가 좋을수록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26]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간호학과에서는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가지고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간호사 이미지 형성에 대한 교과과정과 비 교과과정의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학교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에서 인식하는 간호사에 대한 이미지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에 대한 평가는 5점 만점에 3.69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같은 도구를 이용한 선행연구들에서 3.09점[26], 3.15점[10]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4.0점 이상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간호대학의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대학생들의 실습교육에 만족할 만한 환경이 아님을 반영하는 것으로 대학과 병원 실무 관리자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대학생들에게 임상실습 시 환자와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실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임상실습교육환경 조성은 간호전문직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실습기관에서는 이를 고려한 임상실습교육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은 모두가 예비 간호사이다. Haskvitz와 Koop[27]은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교육환경에서 정확하고, 객관적인 목표가 없을 때 좌절감과 자신감이 떨어지며 환자의 안전에도 위협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은 저학년일 때부터 실습에 적합한 인성과 치료적 의사소통 방법,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한 핵심기본간호술 훈련에 집중된 수업 설계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습병원들은 간호학생들의 미숙함을 이해하고, 낯선 병원실습에 적응하려는 학생들을 지지해주고, 교육적인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들이 느끼는 실습소속감은 5점 만점에 3.65점으로 나타나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김과 정[24]의 3.40점보다는 높고, 호주와 영국의 3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evett-Jones 등[13]의 3.58점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학생들은 실습기관 의료인들이 먼저 도와주고 지지해 줄 때, 배정된 실습지에서 팀의 구성원으로 대우받을 때처럼 자신이 실습기관에 소속감을 느끼는 학생들은 더욱 자기주도적으로 실습에 참여한다고 나타났다[12].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이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습량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수와 간호사 모두에게 실습지도를 받은 학생들이 실습소속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

임상실습에서의 실습소속감을 느끼지 못한 학생들은 자존감을 저하시키고[28], 실습소속감이 낮아지면 학습동기에도 방해를 받는다[13]. 따라서 실습소속감을 가지고 실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실습량 만족을 위한 수준별 실습 배치와 교육이 필요하며, 실습기관에서 학생지도를 전담하는 임상현장지도자 및 임상실습지도교수가 학생들에게 간호수행 절차를 직접적으로 보여주거나, 설명을 해줌으로써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4.02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전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박과 유[29]의 결과인 3.66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학년별 학생들이 받았을 교육환경, 교육의 질, 개인적인 경험 등 여러 요인이 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임을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선행연구들에서 학년별 간호전문직관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간호대학생 또는 졸업 시점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측정을 위해 본 연구와 유사한 도구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의 하위영역에서 간호의 전문성이 4.2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간호의 독자성은 3.44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이와 지[10]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간호의 전문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연구대상이 모두 3학년으로써 대부분 전공 교과목 학습과 임상실습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간호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예상된다. 반면에 간호의 독자성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실제 간호사의 업무가 독립적으로 전문성을 가지고 병원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 않으며, 임상실습 시 학생 간호사들은 관찰자적인 입장에서 병원의 다른 직원들과 협업하여 이루어지는 간호수행이 독립적이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들은 간호 현장에서 간호의 독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실습 시 학생들을 지도하는 임상지도자는 다른 의료인들과의 협력의 중요성과 간호사만이 할 수 있는 간호수행에 대해 가르쳐 줌으로써 간호대학생들에게 간호의 독자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으로 이들 요인이 간호전문직관을 5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가 가장 큰 설명력을 보인 것은 선행연구[2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적성이나 소질을 고려하여 간호학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졸업 후 간호사들의 다양한 취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간호학에 흥미를 느끼도록 해야할 것이다. 또한, 학과 차원에서 간호대학생들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학년별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간호대학생들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을 위해서는 전공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을 파악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도교수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며, 임상실습 시 간호대학생들이 간호수행이나,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현장지도자가 학생 지도를 위한 공식적인 시간이 확보되도록 실습 기관 안에서 제도적 마련 등 임상실습교육환경 개선과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소속감을 높이는 방안을 함께 마련하는 것이 간호전문직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V. Conclusion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미래의 간호사인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 간호사 이미지,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실습소속감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교과 외 활동을 통한 긍정적인 직업 가치관 형성과 전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일개 지역의 일부 학년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에 대한 제한점이 있어 일반화를 위해 연구대상자 수와 학년을 확대하여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참고문헌

  1. W. R. Lee, "Shall I take off Grandpa's respirator?"... Shocking nurse SNS, why is this happening?,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5460 
  2. E. J. Yeun, Y. M. Kwon, & O. H. Ahn,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6, pp. 1091-1100, October 2005.  https://doi.org/10.4040/jkan.2005.35.6.1091
  3. M. Y. Park, & S. Y. Kim,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6, No. 1, pp. 23-35, 2000. 
  4. J. H. Oh.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0, pp. 873-884, August 2014, DOI: 10.5392/JKCA.2014.14.10.873 
  5. D. Barron, E. West, & R. Receves, "Tr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 Research & Policy, Vol. 12, No. 1 pp. 14-19, April 2007. DOI: 10.1258/135581907780318419 
  6. E. Jamelske, "Measuring the impact of a university first-year experience program on student GPA and retention," Higher Education, Vol. 57, No. 3, pp. 373-391, July 2009. DOI: 10.1007/s10734-008-9161-1 
  7. Y. J. Lee, & H. Lee, "Raising the social perception of nursing and proposing its methods in the perspective of heroism,"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Vol. 23, No. 1, pp. 1-18, March 2020. DOI: 10.35301/ksme.2020.23.1.115. 
  8. T. M. Nauderer, & M. A. D. Lima, "Nurse's image: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Vol. 58, No. 1, pp. 74-77, February 2005. DOI: 10.1590/S0034-71672005000100014 
  9. M. K. Jeon, & M. Y. Han,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civility, emotional intelligence,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9, No. 19, pp. 949-964, October 2019. DOI: 10.22251/jlcci.2019.19.19.949 
  10. E. K. Lee, & E. J. Ji,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3, No. 2, pp. 126-135, May 2016. DOI: 10.7739/jkafn.2016.23.2.126 
  11. O. H. Lee, & J. H. Lim, "Image of nurs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of nurs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in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5, pp. 479-488, May 2021. DOI: 10.14400/JDC.2021.19.5.479 
  12. T. Levett-Jones, J. Lathlean, I. Higgins, & M. McMillan,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belongingness scale-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Collegian, Vol. 16, No. 3, pp. 153-162, July 2009. DOI: 10.1016/j.colegn.2009.04.004 
  13. T. Levett-Jones, & J. Lathlean, "Belongingness: A prerequisite for nursing students' clinical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Vol. 8, No. 1, pp. 103-111, May 2007. DOI: 10.1016/j.nepr.2007.04.003 
  14. N. Borrott, G. E. Day, M. Sedgwick, T. Levett-Jones, "Nursing students' belongingness and workplace satisfaction: Quantitative findings of a mixed methods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 45, No. , pp. 29-34, June 2016. DOI: 10.1016/ j.nedt.2016.06.005 
  15. C. H. Kim, & J. L. Kim,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5, No. 1, pp. 5-16, December 2019. DOI: 10.5977/jkasne.2019.25.1.5 
  16. L. A. Braskamp, S. L. Wise, & D. D. Hengstler, "Student satisfaction as a measure of developmental qua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71, No. 4, pp. 494-498, August 1979. DOI: 10.1037/0022-0663.71.4.494 
  17. D. J. Kim, & J. S. Le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244-254, May 2014. DOI: 10.5977/jkasne.2014.20.2.244 
  18. I. J. Song, "A comparative study of the opinion on the image of nursing among the doctors, nurses, others hospital personnel and the general publ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2, No. 2, pp. 43-50, 1993. 
  19. D. S. Lee,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perceived by the general public,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Seoul. 1995. 
  20. I. S. Yang,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determinants the im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4, No. 2, pp. 289-306, 1998. 
  21. H. J. Kim, & H. O. Kim, "A study on image of the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7, No. 1, pp. 97-110. 2001. 
  22. S. V. Dunn, P. Burnett,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2, No. 6, pp. 1166-1173, December 1995. DOI: 10.1111/j.1365-2648.1995.tb03119.x 
  23. J. Y. Han,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8. No. 3, pp. 365-372, August 2011. 
  24. M. Y. Kim, & D. Y. Jung, (201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elongingness scale-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Asian Nursing Research, Vol. 6, No. 4, pp. 137-142, October 2012. DOI: 10.1016/j.anr.2012.10.002 
  25. H. E. Seo, & H. J. Kim,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major, class fairness and nursing ethical valu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by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Vol. 10, No. 5, pp. 259-272, April 2021. DOI: 10.24826/KSCS.10.5.17 
  26. H. J. Choi,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image of nurse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as a major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10, No. 4, pp. 225-237, December 2016. DOI: 10.12811/kshsm.2016.10.4.225 
  27. L. M. Haskvitz, & E. C. Koop, "Students struggling in clinical? A new role for the patient simulato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3. No. 4, pp. 181-184, April 2004. DOI: 10.3928/01484834-20040401-06 
  28. C. Bradbury-Jones, S. Sambrook, & F. Irvine, "The meaning of empowerment for nursing students: A critical incident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9, No. 4, pp. 342-351, July 2007. DOI: 10.1111/j.1365-2648.2007.04331.x 
  29. M. J. Park, & H. N. Yoo, "Influence of cultural compet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5, No. 1, pp. 38-47, December 2018. DOI: 10.5977/jkasne.2019.25.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