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easibility Study on the Hour Setting in Almanac

역법에서의 시진(時辰) 설정에 대한 타당성 논의

  • Cheong-Ha Lee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 Sun-Ok Shin (Dept. of Oriental Study,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 이청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 신순옥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동양학과)
  • Received : 2023.02.22
  • Accepted : 2023.03.16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Eastern time, which is used in Myeongliology and Kimun-dungap, and to discuss the use of real-time of the sun according to the birth area, the selection of real-jasi between night-jasi and real-jasi, and the exact meaning of birth time. The conventional use of time in Korean society uses Tokyo as standard time and uses a time system in which a new day begins at midnight. Howev er, what is important is not social univ ersality but the time and space of the univ erse where I was born, which is the center of the universe, should be the standard of my fate, so I have to use the longitude of the place where I was born to determine my exact time. Also it is argued that real-jasi should be selected for the selection problem of night-jasi and real-jasi, which has long been a controversial topic in Myeongliology, because the flow of cosmic energy is signaled an hour ahead. To secure the validity of setting such time,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ime adjustment method through the spread of Kimun-dungap.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nalysis subjects, the lives of the past were collected by date and time, and then Kimun-dungap checked whether the timing of each life event was accurate.

본 논문의 목적은 명리학과 기문둔갑에서 사용하는 사주(四柱)라는 동양의 시간 개념을 재정립하고 특히 시주(時柱)에 대한 정확성과 객관화를 위해 출생 지역에 따른 진태양시의 사용, 야자시(夜子時)와 정자시(正子時) 중 정자시의 선택, 태시(胎時)에 대한 정확한 의미 확인 등을 논의하고자 함이다. 한국 사회에서 통념적 시간의 사용은 동경시를 표준시로 삼고, 자정 0시를 기준으로 새로운 날이 시작되는 시진을 사용한다. 하지만 역학적으로 중요한 것은 사회적 통용성이 아니라 우주의 중심인 내가 태어난 그 우주의 시간과 공간이 내 명(命)의 기준이 되어야 하므로 내가 태어난 장소의 경도를 사용하여 정확한 나의 시진(時辰)을 결정해야만 하고, 우주 에너지의 흐름은 반 시진, 즉 1시간은 앞서 '기미와 징조'가 발생하므로 역술과 명리학에서 오랜 기간 논쟁의 화두가 되어왔던 간지기시법 중 야자시와 정자시의 선택 문제는 정자시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시진과 시주의 설정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문둔갑의 포국을 통한 시진 조정법을 활용하여 사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대상자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과거 살아온 인생을 날짜와 시간별로 수집한 후 각 인생 사건의 발생 시기가 정확한지를 기문둔갑 해단법으로 확인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계연수 편저, 이유립 현토,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2012.
  2. 권갑현, 「명문 컴퓨터 절기 만세력」, 명문당, 2020.
  3. 김만태, 신동현, 「명리학에서 시간(時間)에 관한 논점 고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9,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4. 류명성, 「朝鮮 後期 千歲曆의 曆法 原理 硏究 : 正祖 時憲曆 千歲曆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2020.
  5. 민재홍 작사, 민재홍 작곡, 가람과뫼 노래, "생일", 제일음반,
  6. 박석재, 「해와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 동아엠앤비티,
  7. 송병섭, 「子平命理學의 子時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8.
  8. 유안 저, 안길환 역, 「회남자(淮南子)(上)」 「천문훈(天文訓)」, 명문당, 2021.
  9. 이을형, 4천년전 BC2096년 동이족 1년...365일 5시간 48분 46초, 스카이데일리, 2015-03-07, https://www.skyedaily.com/news/news_view.html?ID=32715.
  10. 이청하, 「기문둔갑으로 보는 혼인 택일법의 사례분석」, 산업진흥연구원, 2023.
  11. 윤기용, 「운곡 기문둔갑 길라잡이」, 도서출판 생각 나눔, 2019.
  12. 한동석, 「宇宙 變化의 原理」, 대원출판사, 2013.
  13. 「時憲曆」.
  14. 「千歲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