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Health Belief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mHealth Literacy

개인의 건강신념이 모바일 헬스케어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m헬스 리터러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왕진섭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 송재민 (성공회대학교 경영학전공) ;
  • 양성병 (경희대학교 경영학과/빅데이터응용학과) ;
  • 윤상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23.02.02
  • Accepted : 2023.02.21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Smart healthcare, combin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medical technologies, has been rapidly emerging. Accordingly, its market has also increased as interest in disease prevention, management, and diagnosis grow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using mobile devices to support medical activities, mobile healthcar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leading service in the smart healthcare market. However,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beliefs and attitudes. Many studies on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have used th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have been ver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health belief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based on the HBM (Health Belief Model). Furthermore, it investigates how this influencing mechanism fluctuates based on the user's mHealth literacy, the ability to find and understand health information through mobil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s through the HBM. It also offers insights for app providers and public health officials to increase the use of mobile healthcare app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8103855).

References

  1. 김경환,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대구시 거주 20대 이용자를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 제16권, 제2호, 2017, 1-18.
  2. 김명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AIDS 예방의 건강 신념, 태도 및 건강행동",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1997, 125-147.
  3. 김민하, 안미리,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9권, 제1호, 2003, 159-192.
  4. 김선진, 조재희, "다이어트․운동 앱의 수용에 대한 결정요인 : 채널확장이론을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2015, 101-108. https://doi.org/10.7472/JKSII.2015.16.1.101
  5. 김영욱, 이현승, 이혜진, 장유진, "미세먼지 위험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과 의견형성에 관한 연구: 프로모션 기사 인식정도와 관여도에 따른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제72권, 2015, 52-91.
  6. 김유진,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2012, 369-379.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369
  7. 김지혜, 조재희, "미세먼지에 대한 소셜 미디어 건강정보 사회적 시청이 질병예방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의 매개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33권, 제4호, 2019, 37-65. https://doi.org/10.22876/KAB.2019.33.4.002
  8. 노은영, 조윤정, 이예원, 윤선영, "건강신념모델 기반 중재연구가 당뇨 환자의 건강행위와 생리적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기초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2020, 1-10. https://doi.org/10.7586/jkbns.2020.22.1.1
  9. 박근수,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6권, 제6호, 2015, 169-188. https://doi.org/10.15719/GEBA.16.6.201512.169
  10. 박동진, 권명순, 최정화, "개인의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건강 관련 행위의 관계", 홍보학연구, 제17권, 제3호, 2013, 379-413. https://doi.org/10.15814/JPR.2013.17.3.379
  11. 박의정, 최재붕, "개인맞춤형 스마트 홈 헬스케어 IoT 서비스디자인 연구: LH 스마트 홈 헬스케어 플랫폼 사례분석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21권, 제6호, 2022, 21-37. https://doi.org/10.9716/KITS.2022.21.6.021
  12. 배영임, 신혜리,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소비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헬스케어 앱 사용자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22권, 제2호, 2020, 99-127.
  13. 배혜윤, 조상현, 이의훈,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자아신념과 건강증진행동에 대한 신념의 영향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제24권, 제2호, 2019, 55-71. https://doi.org/10.37202/KMMR.2019.24.2.55
  14. 서영희, "해외 모바일 헬스케어 시장 어디까지 와 있나", 2016, SPRi, Available at https://spri.kr/posts/view/14571?code=data_all&study_type=industry_trend (Accessed Jan 17, 2023).
  15. 서효정, 홍현석, 김민정, 윤원정, 이태훈, 정지윤, 황신하, 조영태,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 한국HCI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2015, 19-27.
  16. 신동진, "헬스케어 산업 지원 정책 및 건강관리 인식 확대에 따른 지속적 성장전망", 한국기업데이터, 제36권, 2019, 1-23.
  17. 신현정, 이효중, 박준수, 조희령, 나민주, 차선희, 김동욱, 박천웅,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현황 및 개선 방안", FDC법제연구, 제10권, 제1호, 2015, 1-9.
  18. 안순태, 강한나, 정순둘, "노인들의 건강 관련 모바일 앱 수용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의 역할", 홍보학연구, 제22권, 제6호, 2018, 53-74. https://doi.org/10.15814/JPR.2018.22.6.53
  19. 양동원, 이준기, "소셜데이터 및 ARIMA 분석을 활용한 소비자 관점의 헬스케어 기술수요 예측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9권, 제4호, 2020, 49-61. https://doi.org/10.9716/KITS.2020.19.4.049
  20. 왕보람, 박지윤, 최인영, "스마트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을 위한 주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0호, 2011, 396-404.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396
  21. 윤지은, 서창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인공지능과 헬스케어 융․복합 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8권, 제2호, 2019, 123-141. https://doi.org/10.9716/KITS.2019.18.2.123
  22. 이기원, 심송용, "요인적재값 가중치를 사용한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7권, 제5호, 2016, 1285-1291. https://doi.org/10.7465/jkdi.2016.27.5.1285
  23. 이병관, 변웅준, 임주리, "개인의 e-헬스 리터러시 (e-Health Literacy)가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7권, 제3호, 2010. 89-125.
  24. 이병관, 손영곤, 이상록, 윤문영, 김민희, 김채린, "건강 관련 행동의 예측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유용성 국내 건강신념모델 연구의 메타분석", 홍보학연구, 제18권, 제2호, 2014, 163-206. https://doi.org/10.15814/JPR.2014.18.2.163
  25. 이병관, 오현정, 신경아, 고재영, "행위단서로서의 미디어 캠페인이 인플루엔자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4호, 2008, 108-138.
  26. 이성심, 손현정, 이동숙, 강현욱,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 니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7, 55-67. https://doi.org/10.21097/ksw.2017.11.12.4.55
  27. 이승열, "성동구, 스마트 건강관리 시스템 '유헬스존' 운영", 2020, 시정일보, http://www.siju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7099 (Accessed Jan 17, 2023).
  28. 이용정, 배범준, "건강 어플리케이션 비이용자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34권, 제1호, 2017, 135-154. https://doi.org/10.3743/KOSIM.2017.34.1.135
  29. 이호진, 이명선, "청소년의 학교주변 유해환경 이용과 건강위험행태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18권, 제2호, 2001, 129-140.
  30. 조성은, 신호창, 유선욱, 노형신,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 모델의 확장", 홍보학연구, 제16권, 제1호, 2012, 148-177. https://doi.org/10.15814/JPR.2012.16.1.148
  31. 조수영, "효과적인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캠페인을 위한 수용자 연구: 확장된 HBM 적용", 광고연구, 겨울, 제91호, 2011, 348-377.
  32. 조재희, "건강관련 앱의 지속적 이용에 대한 인지적.사회적 요인: 사회적 영향을 포함한 확장된 기술 수용 모델(TAM II)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2014, 212-241. https://doi.org/10.15814/JPR.2014.18.1.212
  33. 조희숙, 김춘배, 이희원, 정헌재,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강관련행동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9권, 제1호, 2004, 69-84. https://doi.org/10.21074/KJLCAP.2008.9.1.69
  34. 최명일, 김경환, 주지혁, "행위단서로서 광우병 관련 미디어 노출이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심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6호, 2009, pp. 50-65.
  35. 한덕웅, "건강 행동을 설명하는 사회인지이론의 비판적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제2권, 제1호, 1997, 21-45.
  36. Bagozzi, R.P., Y. Yi, and L.W. Phillip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6, No.3, 1991, 421-458. https://doi.org/10.2307/2393203
  37. Chin, W.W., B.L. Marcolin, and P.R. Newsted,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an electronic-mail emotion/ adoption stud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4, No.2, 2003, 189-217. https://doi.org/10.1287/isre.14.2.189.16018
  38. Cho, J., M.M. Quinlan, D. Park, and G.Y. Noh, "Determinants of adoption of smartphone health apps among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Vol.38, No.6, 2014, 860-870. https://doi.org/10.5993/AJHB.38.6.8
  39. Counte, M.A. and L.P. Christman, Interpersonal Behavior and Health Care, Westview Press, NewYork, 1981.
  40. Fornell, C. and D.F. Larcker,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328-388.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313
  41. Glanz, K., B.K. Rimer, and K. Viswanath,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hn Wiley & Sons, 2008.
  42. Hair, J.F., W.C. Black, B.J. Babin, and R.E. Anderson, Multi variate Data Analysis, 7th Edition. London: Prentice Hall, 2009.
  43. Hayden, J., Introduction to Health Behavior Theory, NJ: Jones & Bartlett Learning, 2009.
  44. Janz, N.K. and M.H. Becker,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1, No.1, 1984, 1-47. https://doi.org/10.1177/109019818401100101
  45. Koch-Weser, S., Y.S. Bradshaw, L. Gualtieri, and S.S. Gallagher, "The Internet as a health information source: Findings from the 2007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and implications for health communic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15, No.3, 2010, 279-293. https://doi.org/10.1080/10810730.2010.522700
  46. Kreps, G., "The relevance of health literacy to mHealth", Information Services & Use, Vol.37, No.2, 2017, 123-130. https://doi.org/10.3233/ISU-170828
  47. Lee, B., The effectiveness of entertainment-education as media health campaigns: The effects of entertainment narrative and identification of HIV/AIDS preventive behavior,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4.
  48. Lin, T.T. and J.R. Bautista,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Health apps' characteristics, trialability, and mHealth literac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22, No.4, 2017, 346-354. https://doi.org/10.1080/10810730.2017.1296508
  49. Mattson, M., "Toward a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the health belief model: HIV test counseling", Communications Monographs, Vol.66, No.3, 1999, 240-265. https://doi.org/10.1080/03637759909376476
  50. Norman, C.D. and H.A. Skinner, "eHealth literacy: Essential skills for consumer health in a networked world",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8, No.2, 2006, e9.
  51.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Monographs, Vol.2, No.4, 1974, 328-335. https://doi.org/10.1177/109019817400200403
  52. Rosenstock, I.M., V.J. Strecher, and M.H. Becker,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15, No.2, 1988, 175-183. https://doi.org/10.1177/109019818801500203
  53. Sharma, M. and J.A. Romas, Theoretical Foundations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2nd), Sudbury,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2.
  54. Simonds, S.K., "Health education as social policy", Health Education Monographs, Vol. 2, No. 1, 1974, 1-10. https://doi.org/10.1177/10901981740020S102
  55. Strecher, V.J. and I.M. Rosenstock, "The health belief model", Cambridge handbook of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pp. 113-1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56. Umair, M., M.A. Cheema, O. Cheema, H. Li, and H. Lu, "Impact of COVID-19 on IoT adoption in healthcare, smart homes, smart buildings, smart cities, transportation and industrial IoT", Sensors, Vol.21, No.11, 2021, 3838.
  57. Zheng, Z., "User acceptance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An integrated model of UTAUT and HBM theor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ol.19, Vol.3, 2015, 203-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