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 연구

  • Park Byung-mann (Sungkyun Institute for Confucian Studies and East Asian Philosophy, Sungkyunkwan University)
  • 박병만 (성균관대학교 성균유학.동양철학연구원)
  • Received : 2023.10.31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concept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and the issue of their axiological interpretation in Daesoon Thought. In the Song dynasty, the concept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was understood as indicating two aspects of the universal Human Mind. Discourse on this theory was undertaken by scholars such as Cheng Yichuan (程伊川), Su Shi (蘇軾), and Zhu Xi (朱熹).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were interpreted as issues of cultivation. The discussion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were established through a systematic theory by Zhu Xi, and this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of discourse and ideological stances thereafter.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theory was its axi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was divided largely into three patterns. One was to interpret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as evil and good respectively (proponents included Cheng Yichuan and Zhu Xi in his early theories), the other one saw them as value-neutral and good (proponents included Zhu Xi, Toegye 退溪, and Yulgok 栗谷), and the last one interpretation held them as pre-evil and pre-good (Dasan 茶山). As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can be seen as a universal human issue, the examination of those patterns in the Confucian tradition would be meaningful for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as a theoretical base in Daesoon Thought. In Daesoon Thought,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are defined as private and public respectively, but no further explanation is provided regarding these items. If we infer by considering the two in the light of the overall ideology and values that Daesoon Jinrihoe pursues, the Human Mind can be said to represent basic biological desires such as clothing, food, and sexual satisfaction all of which are human vital activities neede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uman race. The Moral Mind can be seen as a mind that is set upon practicing morality and realizing the ideological aims of 'supporting the nation and comforting the people,' 'vast saving all creatures,' and achieving 'harmony and peace for humankind.' However, the conscience and the selfish mind, which are related axiologically to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defined respectively as good and evil and explained in a relatively systematic way which includes conceptual claims and details on the origin of these aspects of mind. The reason why the discussions of the conscience and selfish mind are more systematically described than the Human Mind and Moral Mind seems to be that issues relating to the conscience and selfish mind are more directly applicable to matters of religious doctrine.

이 논문은 대순사상에서 인심·도심 개념과 그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심·도심 개념은 송대에 들어서 정이천·소식·주자 등에 의해 인간 보편의 마음으로 이해되며 수양의 문제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인심·도심에 대한 논의는 주자에 이르러 이론적으로 체계화되며 이후 다양한 논설이 전개되었다. 인심도심론은 가치론적 해석의 문제가 중요한 논제 가운데 하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양상을 보였다. 인심·도심을 각각 악과 선(정이천과 주자초설), 가치중립과 선(주자와 퇴계·율곡), 예비 악과 예비 선(다산)이 그것이다. 인심·도심은 인간 보편의 문제로 볼 수 있으므로 유학 전통의 이러한 유형들에 대한 검토는 대순사상의 인심·도심에 대한 이해에도 이론적 기반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는 인심·도심을 각각 사와 공이라고 규정할 뿐 개념에 대한 설명은 없다.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이념과 가치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추론해 보면, 인심은 의식색(衣食色) 등 인간의 생명 활동과 종족 보존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라고 할 수 있다. 도심은 도덕 실천과 더불어 보국안민·광제창생·인류화평 등과 같은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인심·도심과 가치론적으로 연관된 양심·사심에 대해서는 이를 각각 선과 악으로 규정하고 그 개념과 발생 근원 등을 논술하며 비교적 체계적인 면모를 보였다. 양심·사심에 대한 논설이 인심·도심보다 체계화된 것은 양심·사심의 문제가 교리적으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6.
  4. 「대순회보」 창간호,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3.
  5. 「書經」
  6. 「尙書注疏」
  7. 孔穎達, 「尚書正義」
  8. 蘇軾, 「東坡書傳」
  9. 李珥, 「栗谷先生全書」
  10. 李滉, 「退溪先生文集」
  11. 丁若鏞, 「定本與猶堂全書」(「心經密驗」.「中庸自箴」.「梅氏書平」.「孟子要義」.「文集」)
  12. 程顥.程頤, 「二程遺書」
  13. 朱熹, 「中庸章句」
  14. 朱熹, 「朱子大全」
  15. 朱熹, 「朱子語類」
  16. 陳淳, 「北溪字義」
  17. 韓元震, 「朱子言論同異考」
  18. 김기현, 「퇴계와 율곡의 인심도심설 비교 연구」, 「철학연구」 8, 1984.
  19. 김우형, 「주희 인심도심론의 윤리학적 성격에 대한 고찰: 본체론 비판 및 '지각'론의 정립과 관련하여」, 「동서철학연구」 69, 2013. https://doi.org/10.15841/kspew..69.201309.158
  20. 박병만, 「대순사상의 인간 본성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44,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4.0.263
  21. 유교사전편찬위원회, 「유교대사전」, 서울: 박영사, 1990.
  22. 윤용복, 「유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성론 비교 연구」, 「대순사상논총」 31,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1
  23. 정소이, 「다산 정약용의 인심.도심론」, 「다산학」 18, 2011. http://uci.or.kr/G704-001778.2011..18.004
  24. 주광호, 「주자 인심도심설의 정치철학적 독해」, 「한문학논집」 57, 2020. https://doi.org/10.17260/jklc.2020.57..287
  25. 차선근, 「대순진리회 마음관 연구 서설: 해원(解冤)과 감응(感應)을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36, 2017. https://doi.org/10.22245/jkanr.2017.36.36.111
  26. 최영진, 「한국성리학의 발전과 심학적.실학적 변용」, 서울: 문사철, 2017.
  27. 최영진, 「욕구에 대한 맹자의 인식과 성리학적 전개: 인심도심설을 중심으로」, 「동서인문학」 54, 2018.
  28. 최치봉,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허령, 지각, 신명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31,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1.0.237
  29.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