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ural Education Methods for Overseas Koreans Using Classical Narratives: Focusing on Princess Bari and The Tale of Shim Cheong

고전 서사무가를 활용한 재외동포의 문화 교육 방안 연구 - <바리공주>와 <심청전>을 중심으로 -

  • Kang Myung-ju (HK+ RCCZ Research Center, Chung-aung University)
  • Received : 2023.10.31
  • Accepted : 2023.12.1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delve into the potential for innovative cultural education techniques that utilize the timeless tales of Princess Bari and The Tale of Shim Cheong as tailored for the upcoming generations of overseas Korean learners. With a rising number of young overseas Koreans born and raised in their host countries, there emerges a pressing need to craft an educational framework that resonates with the evolving dynamics of their generation. Our endeavor revolves around proposing educational strategies that help solidify identity while carefully considering the intrinsic motivation prevalent among most overseas Koreans. Naturally, the choice of employing the classic epics Princess Bari and The Tale of Shim Cheong as educational resources was deliberate. These narratives are rich in rites of passage and offer profound insights into the transformative journey of their protagonists. Both characters are affluent women in patriarchal societies, and both embark on quests to redefine themselves through new relationships, liberating themselves from the confines of parental ties. This narrative framework provides a unique opportunity for overseas Koreans who are often adrift in the social fabric of their adopted countries. These stories inspire them to introspect and contemplate their own identities. By intertwining their personal narratives with the empowering stories of characters, students are provided a chance to reaffirm their authentic selves. Therein, a paradigm shift can occur that allows individuals to embrace the core elements that define them. Our ultimate objective was to enable students to explore their own stories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intricate narratives of classical works. This immersive experience fosters a profound sense of unity with the characters and paves the way for a comprehensive educational plan. This plan not only celebrates the hybrid nature of identity but also cultivates a deep sense of positivity within amalgamated 'subjects.' Such an approach not only fosters a stronger connection with one's heritage but also sparks a genuine curiosity about and affinity for the rich cultural tapestry of one's home country. It's not just education; it's a transformative journey that enriches the lives of overseas Koreans and nurtures a profound bond with their cultural roots.

본 연구는 재외동포 후속세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 서사 <바리공주>와 <심청전>을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거주국에서 태생한 재외동포 후속세대 학습자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세대교체의 변화를 반영한 재외동포의 교육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재외동포 다수의 학습 동기를 고려하여 정체성 정립을 위한 문화 교육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교육 자료로는 고전 서사<바리공주>와 <심청전>을 텍스트로 삼았다. 두 텍스트에 나타나는 통과의례적 구조가 주인공의 '존재론적 위치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정체성 교육에 유의미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바리와 심청은 가부장적 세계에서 부유하던 여성 주체다. 그들이 부모와의 관계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벗어나는 탈영토화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관계를 통해 스스로를 재정립하는 서사를 거주국의 질서에서 부유하는 재외동포가 가체험해 봄으로써 정체성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간의 본래적 자아를 긍정하는 작품 서사에 자기 서사를 합치함으로써 '나'를 구성하는 것들을 긍정할 수 있도록 인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고전 작품 서사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작품서사 주체와의 일체감을 통해 자기 서사를 진단하고 혼종적 '주체'의 긍정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교육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는 자연스럽게 모국에 대한 문화에도 관심과 유대감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청전」, 김진영.김현주 옮김, 서울: 박이정, 1997.
  2. 공하림,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수: 학습 방안 연구」, 「민족연구」 69, 2017. http://uci.or.kr/G704-SER000001553.2017..69.008
  3. 김봉석, 「바리데기 신화 읽기의 교육과정학적 함의: 효(孝)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4, 2011. https://doi.org/10.15708/kscs.29.4.201112.001
  4. 김세원, 「혼종성과 문화정체성에 관한 소고」, 「철학과 문화」 28, 2013.
  5. 김유진.이희정, 「전래놀이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 : 재외동포 아동학습자를 대상으로」, 「춘천연구학보」 23, 2022. https://doi.org/10.31809/crj.2022.4.23.337
  6. 김정은, 「동해안무가 <바리데기>의 화자별 변이 양상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32, 2011. http://uci.or.kr/G704-000283.2011..32.010
  7. 김진영.홍태한,「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 1, 서울: 민속원, 1997.
  8. 김태령, 「재외동포 자녀대상 한국문화교육 방안 : 한국의 유네스코 유산을 활용한 교육」,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9. 김혜원, 「재외동포의 문화정체성확립을 위한 미술교육」,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10. 노성숙, 「신화를 통해 본 여성 주체의 형성 :「바리공주」 텍스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1-2, 2005. http://uci.or.kr/G704-000349.2005.21.2.002
  11. 박치완, 「글로컬 공공철학을 위한 문화인식론 : 문화적 정체성의 물음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75, 2015. https://doi.org/10.31809/10.15841/kspew..75.201503.419
  12. 손덕교, 「디아스포라의 혼종성과 정체성 뿌리: 제이디 스미스의「하얀 이빨」과 키란 데사이의「상실의 상속」」,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13. 송효섭 외,「이론으로 서사 읽기」, 서울: 역락, 2020.
  14. 신동흔, 「문학치료학 서사이론의 보완.확장 방안 연구 : 서사개념의 재설정과 서사의 이원적 체계」, 「문학치료연구」 38, 2016. https://doi.org/10.20907/kslt.2016. 3 8.9
  15.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요소와 체계 연구」, 「문학치료연구」49, 2018.
  16. 신윤경.성지연, 「재외동포 청소년의 정체성 함양을 위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방향 고찰」, 「한국언어문화학」 15-2, 2018. https://doi.org/10.15652/ink.2018.15.1.121
  17. 양민정, 「동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신화 활용의 문화교육 방안 연구」, 「국제지역연구」 11-4, 2007. http://uci.or.kr/G704-000636.2008.11.4.018
  18. 오세정, 「희생서사의 구조와 인물연구 : <바리공주>, <지네장터>, <심청전>을 대상으로」, 「어문연구」 30, 2002. http://uci.or.kr/G704-000452.2002.30.4.007
  19. 오세정, 「한국신화를 통한 한국 문화의 이해: 신과 인간의 관계 맺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29, 2014. http://uci.or.kr/G704-001831.2014..29.009
  20. 오하은.구자황,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능성: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문화」 22, 2017.
  21. 용혜정, 「서사무가의 여성성 고찰: 딸신 일생의 구조를 중심으로」, 「예술융합연구」 2, 2021.
  22. 윤인선, 「바리공주의 희생효와 심리적 서사구조」, 「한국어문학」 47, 2001.
  23. 윤인선, 「심청의 어머니 나라 여행: 바다공간의 정신분석적 의미」, 「세계문학비교연구」 30, 2010. http://uci.or.kr/G704-001693.2010..30.014 https://doi.org/10..30.014
  24. 이명현, 「외국인의 한국문화 교육에서 고전소설의 가치와 학습 방향 : <춘향전>, <심청전>, <흥부전>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17, 2014. https://doi.org/10.15400/mccs.2014.10.17.229
  25. 이선이,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재외동포의 민족 정체성 교육을 위한 시론(試論)」, 「언어와 문화」 1-2, 2005. http://uci.or.kr/G704-SER000008906.2005.1.2.012
  26. 이유경, 「한국 민담에서 살펴본 여성의 부성 콤플렉스 : <심청전>과 <바리공주> 중심으로」, 「심성연구」 25, 2010.
  27. 장영란, 「한국 여성 : 영웅 서사의 희생의 원리와 자기 완성의 철학'딸'의 원형적 이미지 분석과 '효'이데올로기 비판」, 「한국여성철학」 9, 2008. https://doi.org/10.17316/kfp..9.200806.1
  28. 정운채,「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서울: 문학과 치료, 2007.
  29. 정형근, 「재외동포 후속세대를 위한 문화교육 방향 모색」, 「한글(HANGEUL)」 315, 2017. https://doi.org/10.22557/HG.2017.03.315.35
  30. 조수진,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정체성' 교육방안 연구 :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57, 2017. https://doi.org/10.37192/KLER.57.3
  31. 조홍윤, 「구조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신화 구조의 적용 방안 연구 : 캠벨(Joseph Campbell)의 원질신화(Monomyth)와 한국 무속신화의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37, 2017. https://doi.org/10.20516/classic. 2017. 37 .31
  32. 최성실, 「동아시아 "바리데기"이야기의 구조와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비교문학」 67, 2015. http://uci.or.kr/G704-000943.2015..67.014
  33. 최재호, 「심청굿에 수용된 심청 서사 수용 요인」, 「인문과학연구」 34, 2010.
  34. 허경진, 「희생의 여성신 바리데기」, 「기독교사상」 704, 2017.
  35. 홍태한,「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서울: 민속원, 1998.
  36. 황경숙, 「<심청전>에 나타난 토포스와 서사적 의미」, 「동북아 문화연구」12, 2007. http://uci.or.kr/G704-001565.2007.1.12.025
  37. 황유진, 「여성인물의 여정 성장담 연구 : <바리공주>, <숙향전>, <심청전>의 크로노토프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38. Ashcroft, G Griffiths & H Tiffin eds., The postcolonial studies reader, London: Routledge, 2006.
  39. Erikson,E.H.,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68.
  40. Marcia, J.E. Identity in adolescence, In J. Adelson(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ew York: Wiley, 1980.
  41.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42. 《유튜브》https://www.youtube.com
  43. 《TikTok》https://www.tikto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