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eteorological Related Organizations with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 Universities,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OK Air Force Weather Group, and Korea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

60주년 (사)한국기상학회와 함께한 유관기관의 발전사 - 대학, 기상청, 공군기상단, 한국기상산업협회 -

  • Received : 2022.11.10
  • Accepted : 2022.12.27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In Korea, there are four institutions related to atmospheric science: the university's atmospheric science-related department,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e ROK Air Force Weather Group, and the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These four institutions have developed while maintaining a deep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KMS) for the past 60 years. At the university, 6,986 bachelors, 1,595 masters, and 505 doctors, who are experts in meteorology and climate, have been accredited by 2022 at 7 universities related to atmospheric science. The KMA is carrying out national meteorological tasks to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y and foster the meteorological industry. The ROK Air Force Weather Group is in charge of military meteorological work, and is buil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pace weather support system through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the KMA, and the KMS. Although the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has a short history, its members,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re steadily increasing. The KMS greatly contributed to raising the national meteorological service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by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the KMA, the Air Force Meteorological Agency, and the Meteorological Industry Association.

한국기상학회는 1963년 12월 19일 국립중앙관상대, 기상학계 인사 60여명이 모여 창립 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초대 회장에 국채표 국립중앙관상대장을 선출하였다. 한국기상학회 창립 당시 핵심 멤버들은 대부분이 기상학계와 국립중앙관상대에 종사하는 기상인들이 중심이 되었다(KMS, 2015). 우리나라에서 기상학 강의가 1917년 연희전문대학 농학과에서 처음 시작되었으며, 1950년 연희대학교 물리기상학과가 신설되면서 기상학 강의가 다시 시작되어 1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58년 서울대학교에서 천문기상학과가 신설되고, 1968년 연세대학교 천문기상학과가 신설되면서 본격적으로 기상 인재를 육성하게 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경제가 발전되고 국민들의 의식수준이 향상되어 기상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1988년에 강릉원주대학교와 경북대학교에 각각 대기과학과와 천문기상학과가 설립되었고, 1989년에는 부경대학교와 부산대학교에, 그리고 1994년에는 공주대학교에 대기과학과가 신설되어 현재는 총 7개 대학에서 대기과학 관련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기상서비스 업무를 총괄하는 기상청은 1466년(세조 12년) 경국대전의 법적기반을 가진 관상감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으므로 556년의 긴 역사를 가졌다고 볼 수가 있다. 한편, 1904년부터 부산, 목포, 인천, 용암포, 원산 등 5개소에 기상 관측소를 설치하여 본격적인 근대기상업무가 시작되었다(KMA, 2004).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국립중앙관상대가 설치되어 체계적인 기상업무가 시작되고, 1960년대 직제와 법령이 정비되고 기상 통신망을 개선 및 해외 기상 협력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1970년대 기상 업무의 전산화, 위성·레이더 관련 관측 등 현대적 기상 행정 및 기술 체계가 구축되었으며, 기상연구 업무를 총괄하는 국립기상연구소가 설치되었다. 1990년 중앙기상대는 기상청으로 승격되었으며, 이후 수치예보 기술개발을 시작하였으며, 슈퍼컴퓨터 도입, 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독자 정지기상위성 발사 등으로 기상예보업무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한국기상학회와 기상청은 기술개발과 개발된 기술의 수요기관이라는 기존 협력관계를 넘어서 기상정책과 기상업무의 미래발전을 위해 같이 고민하고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R&D를 통한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연구용역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현업화, 정책기획연구 등을 학회와 같이 진행하고 있다. 한국기상학회는 기상청의 중요 정책방향인 기상예보, 기후시나리오, 장마, 폭염, 가뭄, 후속 기상위성연구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저고도 항공기상, 인공강우 등 새로운 기술을 함께 개발하고 있다. 공군기상단은 1950년 7월 27일 6·25전쟁 중 공군본부 산하 기상대로 창립되었으며, 1951년 11월에 제50기상전대로 승격되었다. 1961년 9월 30일부터 제73기상전대로 명칭이 변경되고, 이후 2012년 1월 2일부로 기상전문 부대로서의 역할과 책임, 대외기관과의 업무협력 증대를 위하여 기상단으로 승격되었다. 공군기상단은 전군의 작전운영 및 부대관리에 필요한 기상정보 지원에 만전을 기해왔으며, 4차 산업혁명 관련 및 군 독자적 우주기상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빅데이터·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미래 전장에서도 지상에서 우주까지 군 작전이 수행되는 전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상현상을 관측·분석·예측·지원함으로써 전군 유일의 정예 국방기상전문부대로서 그 역할을 자리매김할 것이다. 아울러 국가 기상분야 발전을 위해 국방분야 동반자로서 한국기상학회 및 기상청과 파트너십을 통해 군의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기상산업은 1997년 민간기상사업자 제도가 시작되어 기상청 주도로 이루어졌던 기상산업이 민간기업도 참여하게 되었다. 그 후 2005년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이 설립되고 2009년 기상산업진흥법이 제정되면서 큰 발전이 이루었으며, 2015년 기상산업에 대한 정보 제공, 기상기술지원 및 육성, 경영컨설팅, 해외시장개척 등을 목적으로 기상산업협회가 출범하였다. 국내 기상산업 시장의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본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상서비스 분야 시장의 형성과 성장을 위해서는 그 기반이 안정적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한국기상학회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육성이 필요하다. 국가기상업무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상청, 공군기상단이 현재와 같이 선진화된 것은 사단법인 한국기상학회와의 학술교류의 체제하에서 대학과 기상산업협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 이룬 성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의 개선을 위해 좋은 의견을 제시해 주신 두 분의 심사위원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 논문은 한국기상학회의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n, S.-I., S.-K. Kim, and A. Timmermann, 2020: Fokker-Planck dynamics of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Sci. Rep., 10, 16282, doi: 10.1038/s41598-020-73449-7.
  2. Cho, E.-B., S.-Y. Lee, J.-h. Shin, and Y.-J. Hong, 2015: A study of the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J. Gifted/Talented Edu., 25, 37-58, doi: 10.9722/JGTE.2015.25.1.37.
  3. Cho, H. K., 1993: Researches on the atmospheric sciences in Korea, Atmosphere, 3, 22-27.
  4. Cho, H.-M., S.-W. Kim, Y.-S. Chun, H.-Y. Park, and W.-J. Kang, 2015: A historical review on the introduction of Chugugi and the rainfall observation network during the Joseon Dynasty. Atmosphere, 25, 719-734, doi: 10.14191/Atmos.2015.25.4.719.
  5. GWN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gwnu.ac.kr/kr/32639/subview.do].
  6. Ham, Y.-G., J.-H. Kim, and J.-J. Luo, 2019: Deep learning for multi-year ENSO forecasts. Nature, 573, 568-572, doi: 10.1038/s41586-019-1559-7.
  7. Hong, J.-W., J.-K. Hong, and J.-H. Kim, 2019: Contingent valuation survey on changes in citizens' perception on atmospheric pollution in Seoul, Korea, Atmosphere, 29, 213-218, doi: 10.14191/Atmos.2019.29.2.213.
  8. IPCC, 2021: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pp, doi: 10.1017/9781009157896.001.
  9. Jeong, S.-J., C.-H. Ho, S. Piao, J. Kim, P. Ciais, J.-G. Jhun, Y.-B. Lee, and S.-K. Park, 2014: Effects of double cropping on summer climate of the North China plain and neighboring regions. Nat. Clim. Chang., 4, 615-619, doi: 10.1038/nclimate2266.
  10. KMA, 2004: The History of 100 Years of Modern Meteorological Services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11 pp.
  11. KMA, 2020: The 3rd Meteorological Industry Promotion Basic Plan (2021~202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3pp.
  12. KMA, 2022a: https://www.kma.go.kr/kma/org/system/chart.jsp.
  13. KMA, 2022b: The Meteorological Business Registration in Korea.
  14. KMI, 2021: 2017-2021 Meteorological Industry survey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Institute, [Available online at https://www.kma.go.kr/down/notify/biz_notice2021.pdf.].
  15. KMI, 2022a: [Available online at https://www.kmiti.or.kr].
  16. KMI, 2022b: Meteorological industry explanation material prepar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Institute.
  17. KMS, 2015: The history of 50 years (1963~2013) of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KMS) in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60pp.
  18. KMS,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komes.or.kr:50000/1-1.htm].
  19. KJN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kongju.ac.kr/kongju/12364/subview.do].
  20. KN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knu.ac.kr/wbbs/wbbs/contents/index.action?menu_url=intro/about01&menu_idx=7].
  21. Lee, K.-W., 2008: On the stud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examination system of Gansanggam in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Astronomy Division. J. Kor. Ear. Sci., 29, 98-115. https://doi.org/10.5467/JKESS.2008.29.1.098
  22. Min, S.-K., 2020: Human fingerprint in global weather, Nature Climate Change, 10, 15-16, doi: 10.1038/s41558-019-0670-y.
  23. MOE,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academyinfo.go.kr/index.do].
  24. Oh, S.-G., and M.-S. Suh, 2019: Effects of irrigated cropland on the local and regional climate over northeast Asia in a regional climate model. Asia-Pac. J. Atmos. Sci., 55, 351-371, doi: 10.1007/s13143-018-0092-1.
  25. Oh, W.-T., 2003: Histor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mission. Atmosphere, 13, 16-27.
  26. PKN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pknu.ac.kr/main/44].
  27. Prinn, R.-G.,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arth system models. PNAS, 110, 3673-3680, doi: 10.1073/pnas.1107470109.
  28. PS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pusan.ac.kr/kor/CMS/HistoryMgr/list.do?mCode=MN164].
  29. Scher, S., 2018: Toward data-driven weather and climate forecasting: Approximating a simple general circulation model with deep learning. Geophys. Res. Letters, 45, 12,616-12,622. doi: 10.1029/2018GL080704.
  30. SN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snu.ac.kr/about/history/timeline].
  31. Yeh, S.-W., J.-S. Kug, B. Dewitte, M.-H. Kwon, B.-P. Kirtman, and F.-F. Jin, 2009: El Nino in a changing climate. Nature, 461, 511-514. https://doi.org/10.1038/nature08316
  32. YSU, 202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yonsei.ac.kr/sc/intro/history2.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