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and Needs of Educational Programs on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도 및 취업선호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및 필요성 연구 :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 Si-Eun Kim (Dept. of Rehabilit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
  • Cheul Ja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 김시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과학과 ) ;
  • 장철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3.01.14
  • Accepted : 2023.02.17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these perceptions and future preference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00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 primary survey was first conducted to shed light on students'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ollowed by an education program on sensory integration provided through an online video. After this training 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 additional survey assessed the their preferred employment routes and intention to take educational courses on clinical sensory integration therapy in the future. A secondary survey was then conducted, using the same form as the primary survey, to identify changes in the students'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 frequency analysi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employment-related preferences, and intention to take courses on sensory integration, and a paired samples t-test was used for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Results : In term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 variables of efficiency, facilitation, and experti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in their overall perceptions of the therapy after the program. In relation to their preferred employment routes after the program, 100 students (50 %) answered the "field of adults," and 100 (50 %) students answered the "field of children."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ensory integration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preferences for and perception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dditional research is recommended to organize a mor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e employees in organizations relat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감각통합중재는 미국의 작업치료사인 Jean Ayres에 의해 창시된 작업치료의 이론 중 하나로, 아동작업치료 임상에서는 이것을 빼놓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혁명을 일으킨 중재방법으로 기록되고 있다(Choi, 2021). 이 중재방법은 감각통합원리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감각통합이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고, 환경 속에서 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개념을 뜻한다(Kim & Min, 2016). 즉, 감각통합중재는 아동에게 조절된 감각자극을 제공하기 위한 기회를 제시하고, 적응반응(adaptive response) 을 계획, 조직화하고 의미 있는 활동들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함으로써 감각자극들을 처리하고 통합하는 중추신경계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재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Ayres, 1972).

2014년 5월 20일 발달장애인법이 제정되며 발달장애 아동들의 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고 이러한 장애아동의 재활치료로써 감각통합중재는 치료사뿐 아니라 아동의 보호자에게도 중요한 치료로 인식되고 있다(Chung & Seo, 2010; Shim, 2015). 그동안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효과는 이미 다양한 연구들에서 입증되어져 왔다. Oh와 Kang(2021)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작업수행 및 운동ㆍ자세기술, 시운동 통합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고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문제행동 및 자기조절력에 효과적인 중재법이라고 보고하고 있다(Kim 등, 2010). 또한 감각통합중재를 통해 환경에 대한 반응력을 개선하고,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감정 조절을 도와주며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Bullis & Foss, 1986). 이러한 감각통합중재를 포함한 조기중재를 통해 중재 효과를 극대화시킬 뿐 아니라 장애아동의 발달과정에서의 이차적 위험요인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대상자들의 수요는 점점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Pierce 등, 2016).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아동작업치료사의 활동영역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최근 작업치료사 구인시장을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발달재활 바우처 사업 등의 확대에 따라 아동 분야의 채용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병원이 아니더라도 지역사회 아동발달센터 등으로 작업치료사의 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다(Lim 등, 2020).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현시점에서는 전문성 있는 아동작업치료사의 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아동작업치료사의 사회적 수요는 높아지고 있는 반면, 작업치료전공생들의 취업선택에서 그 비중은 높지 않은 실정이다. 그들의 관심 취업영역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졸업 후 희망 취업지와 십년 후 희망 취업지에서 모두 종합병원, 재활병원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Shin 등, 2017). Shin 등(2017)은 이런 현상이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의료기관 이외 취업영역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해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사회적으로 감각통합중재가 클라이언트의 재활에 필요한 중재라고 인식하고 있고,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전문적 교육을 매우 희망하지만 관련된 정보를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인식개선을 위해 폭넓은 감각통합중재 교육 활성화가 시급히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Hwang 등, 2008). 실제로 임상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구체적인 진로방향과 졸업 후 취업분야를 결정하기 때문에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인식개선 및 전문성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Chung & Park,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 및 경남지역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고안한 감각통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전 후 비교를 통해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아동작업 치료사 양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 마련과 효율적인 물적 자원이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통합교육프로그램 후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도는 향상될 것이다.

둘째, 감각통합교육프로그램 후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감각통합분야 취업선호도 및 임상 감각통합치료 교육수강에 대한 요구도는 향상될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2021년 04월 0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부산, 경남 내 대학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 조사, 감각통합치료 교육, 2차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뒤,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절차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인식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차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대상자의 인식도를 확인한 뒤,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이후 1차 설문 조사와 동일한 양식의 2차 설문 조사를 추가로 시행하여 감각통합치료에 관한 인식도 및 취업선호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3. 연구 도구

1) 감각통합중재에 관한 인식도 설문지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감각통합중재에 관한 인식도 설문지는 Park 등(2015)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1차 재구성된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10명에게 2021년 03월 20일부터 25일까지 5일에 걸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애매하거나 이해되지 않는 문항, 내용의 의미전달에 적절하지 못한 문항을 수정ㆍ보완하였다. 그 후 국내 작업치료 전문가 2인 (작업치료과 교수 2인)에게 적절성을 검토 받아 최종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해당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문항, 감각통합 중재 전문성 7문항, 아동의 감각 처리 특성에 대한 이해도 5문항, 효율성 5문항, 감각통합 전반에 대한 인식도 3문항으로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감각통합중재의 인식도는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별로 그렇지 않다(4점), 보통이다(3점), 약간 그렇다(2점), 매우 그렇다(1점)으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낮을수록 인식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해당 설문지의 내적신뢰도는 .75로 나타났다.

2)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본 연구의 중재로 적용한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은 Korean parents’ network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2019)에서 제작한 영상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맞도록 개발하였고,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는 작업치료과 교수 1인과 경력 5년 이상의 아동분야 작업치료사 4인이 공동 참여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제작하였다. 참고 영상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영상이므로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은 작업치료 전공생의 인식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이론과 임상 현장에서의 실제 내용이 포함되어졌다. 1부 영상의 재생 시간은 총 6분으로 감각통합의 정의, 감각체계의 이해, 촉각 기능 이상에 대한 이해, 전정감각 기능 이상에 대한 이해, 고유수용성 감각 기능 이상에 대한 이해, 감각통합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 감각통합중재 순서에 대한 이해, 감각통합중재 환경에 대한 이해, 감각통합중재 도구에 대한 이해까지 총 9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2부 영상의 재생 시간도 6분으로 하여 실제 치료실 환경에서 적용하는 감각통합 중재 행위를 촬영한 후, 영상으로 제작하였다. 이 후 국내 작업치료 전문가 2인(작업치료과 교수 2인)에게 내용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 받아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되었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취업 선호도 및 임상 감각통합교육 수강 희망여부는 기술 통계를 이용한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고,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후에 대한 인식도 비교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Ⅲ.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특성은 남자가 72명(36 %), 여자는 128명(64 %)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특성은 1학년이 112명(56 %), 2학년은 88명(44 %)로 나타났다. 또한, 감각통합중재를 ‘들어본 경험이 있다’는 171명(86 %), ‘들어본 경험이 없다’는 29명(15 %)으로 나타났고, 들어본 경로로는 ‘강의 및 특강’이 153명(77 %), ‘인터넷, SNS’는 25명(13 %), ‘지인 소개’는 12명(6 %), ‘임상실습지’는 10명(5 %)으로 나타났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n= 200)

DHTHB4_2023_v11n1_113_t0001.png 이미지

2.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후에 따른 인식도 변화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후에 따른 인식도 변화는 Table 2와 같다. 먼저,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전문성은 17.46±2.13, 교육 후에는 10.61±3.15로 나타나 교육 전‧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p<.05),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 감각처리특성에 대한 이해도에서도 33.20±4.23, 교육 후에는 12.51±3.52로 나타나 교육 전‧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효율성의 경우에도 교육 전 15.48±1.41, 교육 후에는 8.89±1.80로 나타나 교육 전‧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마지막으로,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감각통합 전반에 대한 인식도 역시 교육 전 66.14±4.64, 교육 후에는 32.00±7.69으로 나타나 교육 전‧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able 2. Awareness change before and afte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education (n= 200)

DHTHB4_2023_v11n1_113_t0002.png 이미지

3.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후, 취업선호도 및 임상 감각통합중재 교육수강 희망 여부 비교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ㆍ후, 취업선호도 및 향후 임상 감각통합치료 교육 수강 희망여부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표 3과 같다. 교육 전 희망 취업지는 ‘성인 분야’가 152명(76 %), ‘아동 분야’는 48명(24 %)이었고, 교육 후 희망 취업지는 ‘성인 분야’가 100명(50 %), ‘아동 분야’는 100명(50 %)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임상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수강 희망 여부 조사에서는 교육 전에는 수강 여부가 ‘네’의 응답이 109명(55 %), ‘아니요’는 91명 (46 %)이었고, 교육 후 수강 여부에서는 ‘네’의 응답이 144명(72 %), ‘아니요’는 56명(28 %)로 나타났다.

Table 3. Changes in desired employment path and participation in clinical sensory integration therapy education (n= 200)

DHTHB4_2023_v11n1_113_t0003.png 이미지

Ⅳ. 고찰

작업치료사의 활동영역은 종합병원, 재활병원 등의 의료기관 위주에서 학교, 아동발달센터 등으로 점차 다양하게 확대되며 수요가 늘어가는 추세로, 특히 감각통합 중재를 주로 사용하는 아동작업치료 분야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Lee 등, 2014; Lim 등, 2020). 하지만 많은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및 신규작업치료사들이 학교 교육과 실제 임상에서의 괴리감을 느끼고 의료기관 외의 취업영역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Hong & Lee, 2022; Shin 등,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학)과 대학생들의 감각통합중재의 인식 재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전ㆍ후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인식도 변화를 알기 위해 1차 설문을 실시한 후 교육을 진행하였고 다시 같은 내용의 설문을 2차로 실시하였다. 교육은 감각통합에 대한 기본 정의와 감각체계 이해, 감각통합발달단계와 임상환경에 대해 동영상강의로 진행하였고 감각통합중재의 전문성, 감각처리 특성에 대한 이해도, 효율성 모두 교육 전,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높은 변화를 나타냈다. 뿐만 아니라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도에서도 교육 전ㆍ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작업치료의 취업분야는 매우 다양하며, 전공생들은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작업치료 전공생들은 입학 시 전공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며 전공에 대한 낮은 인식도는 전공만족도와도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Jeong & Park, 2013). 따라서 취업분야별 전공 지식 뿐 아니라 임상환경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론 뿐 아니라 실제 임상현장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촬영하여 제작하여 보다 임상에 대한 이해를 도와 감각통합중재의 인식도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상자들의 과반수가 감각통합중재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그 경로는 학교에서 진행되는 정규 교과목이나 특강이 가장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 전 희망취업경로 조사에서는 성인분야의 취업을 희망한다는 응답 (76 %)이 아동분야(24 %)에 비해 약 3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과의 괴리감으로 인해 해당 분야에 대한 이해도 부족이 원인인 것으로 사료된다(Kim & Lee, 2002).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 제공 후 아동분야에 대한 취업선호도는 21 %가량 증가하였고, 교육에 대한 요구도도 55 %에서 72 %로 향상되어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입증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교육요구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도 치료사들은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실제 수행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교육기관에서의 양질의 역량교육 제공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한 바 있다(Jung & Lee, 2022). 감각통합중재에 있어 그릇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면 치료를 받는 장애아동 및 보호자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Hwang 등, 2008) 정확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향 후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제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감각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대상자가 비교적 전공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1,2학년으로 제한되어있고, 부산ㆍ경남권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전국의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인식 및 취업선호로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시간이 짧아 본 연구의 프로그램만으로는 전반적인 감각통합중재 영역 인식도 재고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연구대상자 범위를 확대하고, 전문성 있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대상자들의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 및 요구도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Ⅴ.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 지역의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전 · 후의 인식도 및 선호도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감각통합 치료 교육 후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후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작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도가 향상되었다.

셋째,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후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감각통합중재와 치료실 환경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다.

넷째,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 후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의 희망 취업 경로 및 감각통합 교육 수강 여부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을 때 작업치료사와 감각통합치료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부산, 경남 지역의 장애 아동관련 기관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중재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감각통합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Ayres AJ(1972). Improving academic scores through sensory integration. J Learning Disabil, 5(6), 338-343. http://doi.org/10.1177/0022219472005006.
  2. Bullis M, Foss G(1986). Assessing the employment-relate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mildly mentally retarded workers. Am J Ment Defic, 91(1), 43-50.
  3. Choi HS(2021). Case-Smith'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8th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Co, pp.625.
  4. Chung JY, Park YH(2013). A Study on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Major with College Student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7(2), 33-38.
  5. Chung MJ, Seo JE(2010). A study on the states and demands for desire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according to property of handicapped children - focused on the children who received a benefit of vouchers work. Korean J Fam Welfare, 15(4), 157- 173.
  6. Chung JY, Park YH(2013). A study on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 of major with college student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J Occup Ther Aged Dementia, 7(2), 33-38.
  7. Hwang KC, Chang MY, Ro HL(2008). A study on the cognition of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working at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toward sensory integration therapy. J Korean Soc Sensory Integr, 6(1), 13-23.
  8. Hong HT, Lee HR(2022). Sensory integration clinical adaptation of novic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a child private clinic center. J Korean Soc Sensory Integr, 20(1), 39-54. http://doi.org/10.18064/JKASI. 2022.20.1.39.
  9. Jung HR, Lee JH(2022). Investigating professional competency and the needs of training for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J Korean Acad Sensory Integr, 20(1), 26-38. http://doi.org/10.18064/JKASI.2022.20.1.26.
  10. Kim DJ, Ko MS, Choi YK(2010).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on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self-control of children with mentally retarded. J Rehabil Psychol, 17(2), 1-24.
  11. Kim KM, Lee JS(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occupational therapy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the roles of occupational therapist. J Korean Soc Occup Ther, 10(2), 109-118.
  12. Kim SY, Min YS(2016). Literature review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children and youth regard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 focusing on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 Korean Soc Occup Ther, 24(4), 161-174. https://doi.org/10.14519/jksot.2016.24.4.12.
  13. Lee CY, Jung NH, Kim HJ(2021).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for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J Korean Soc Commun-Based Occup Ther, 11(1), 23-43. https://doi.org/10.18598/kcbot.2021.11.1.03.
  14. Lee HS, Chang KY, Jung MY, et al(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 Korean Soc Occup Ther, 22(2), 89-112. http://doi.org/10.14519/jksot.2014. 22.2.07.
  15. Lim SJ, Yang MA, Han DS, et al(2020). The study of job market by analysis of the recruitment advertisement for occupational therapy. Therapeutic Sci Rehabil, 9(2), 39-53. https://doi.org/10.22683/tsnr.2020.9.2.039.
  16. Oh HW, Kang BR(2021).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home program centered on vestibulo-proprioceptive sensory on COPM, COMPS-II, and VMI-VI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 Korean Acad Ther, 13(1), 43-52. http://doi.org/10.31321/KMTS.2021.13.1.43.
  17. Park HS, Kim KM, Chang MY(2015).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J Korean Acad Sensory Integr, 13(1), 33-43. https://doi.org/10.18064/JKASI.2015.13.1.033.
  18. Pierce K, Courchesne E, Bacon E(2016). To screen or not to screen universally for autism is not the question: why the task force got it wrong. J Pediatrics, 176, 182-194. https://doi.org/10.1016/j.jpeds.2016.06.004.
  19. Shin GI, Woo YS, Park HY, et al(2017). A study on career selection status and career confidence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n Korea. J Korean Soc Occup Ther, 25(3), 153-169. https://doi.org/10.14519/jksot.2017.25.3.12.
  20. Shim SS(2015). A critical review o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focused on the clause on the support center of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he developmental disability act. J Critical Soc Policy, 48, 187-218.
  21. Korean parents' network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Boda center]. The importance of sensory integration, 2019. Available at https://www.youtube.com/watch?v=6kJGUetrUjo, Accecced March 15,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