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ement of poli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for national defense considering the US third offset strategy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을 고려한 국방 인공지능 정책 발전방안

  • Se Hoon Lee (Republic of Korea Army Training & Doctrine Command) ;
  • Seunghoon Lee (Department of Industrial & Management Systems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Received : 2023.01.16
  • Accepted : 2023.01.26
  • Published : 2023.01.31

Abstract

This paper addressed the analysis of the trend and direction of the US defense strategy based on their third offset strategy and presented the practical policy implication of ensuring the security of South Korea appropriately in the futur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The countermeasures for the development ability of advanced weapon systems and secure core technologies for Korea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US third offset strategy for the futur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First, to carry out the innovation of national defense in Kore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AI), the long-term basis strategy for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robot and autonomous weapon system should be suggested. Second, the platform for AI has to be developed to obtain the development of algorithms and computing abilities for securing the collection/storage/management of national defense data. Lastly, advanced components and core technologies are identified, which the Korean government can join to develop with the US on a basis of the Korea-US alliance, and the technical cooperation with the US should be stronger.

본 논문은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국방 인공지능 관련 정책 및 3차 상쇄전략의 주요 과제와 경과를 살펴봄으로써, 미국 국방전략의 핵심 지향점 및 추진 동향 등을 분석하고, 미래 국방환경에서 우리나라의 안보를 담보하기 위한 유효적절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미래 국방환경을 위한 첨단 무기체계에 대한 개발 능력 및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대응방안을 미국의 국방 인공지능 정책과 연계하여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인공지능 기반의 국방혁신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무인·로봇, 자율무기체계 전력 운용을 위한 장기적인 추진전략이 마련되어 져야 한다. 둘째, 국방 데이터의 안전한 수집·저장·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컴퓨팅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한미 동맹에 기반하여 우리나라가 참여 가능한 첨단부품 및 핵심기술을 식별하고, 미국과의 기술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인, 이민호, 김영균, 이지미, 이숙자, 곽지훈, 정달영(2017), "국방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구", (사)한국융합안보연구원, 국가 R&D 연구보고서. 
  2. 장효성(2019), "주요국 인공지능 정책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CT Spot Issue. 
  3. 이현진, 이미혜(2021), "인공지능산업 현황 및 주요국 육성 정책", 한국수출입은행, K 뉴딜산업 INSIGHT 보고서. 
  4. 최인수, 황선웅, 강한태, 박준수, 이준호, 홍수민, 김수진(2018),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방지능정보화 발전방향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5. 오승환, 이주량, 최병삼, 임영훈, 윤정현, 추수진, 김수은, 김단비, 김가은, 양희태, 이제영(2020), "인공지능 기술 활용 강국을 향한 과학기술정책 제고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6. 이세훈, 이한우(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 방위산업 발전방안", 사회융합연구, 6(2), 53-70. 
  7. 강석율(2021), "미국의 3차 상쇄전략 추진 동향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8. 국방부 정책기획과(2022), "6대 국방운영중점 추진계획", 국방부 홈페이지 정책자료집. 
  9. 조한진, 정규만(2019), "4차 산업혁명 기반 핵심기술에 대한 기술성숙도와 산업과 연계 타당성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3), 49-57.  https://doi.org/10.15207/JKCS.2019.10.3.049
  10. 전자신문(2019.1.2.), "인공지능 핵심기술은 늦었지만...맞춤형 추격전략 필요". https://www.etnews.com/20181226000064. 
  11. 정두산(2021), "국방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방향 연구", 국방연구, 64(3), 27-60. 
  12. 경희권, 이준(2021), "미국의 인공지능 전략 방향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13. 박휘락(2015),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 한국군사학논총, 4(1), 3-27.  https://doi.org/10.34166/ROKMS.2015.4.1.3
  14. 김길준(2017),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이 한.중.일 해양안보에 미치는 영향", 해양전략, 173, 1-24. 
  15. 박준혁(2017), "미국의 제3차 상쇄전략(추진동향, 한반도 영향전망과 적용방안)", 국가전략, 23(2), 35-66.  https://doi.org/10.35390/SEJONG.23.2.201705.002
  16. 박영욱, 정재원, 김승천, 이우신, 유형곤, 이지선, 이규정(2020), "국방 인공지능 발전계획 수립 연구", 한국국방기술학회. 
  17. 이상국, 김기범, 양민주(2021), "지능화 국방력 건설방향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18. 안보전략연구센터 국제전략연구실(2020), "미.중.러의 국방 인공지능 정책 방향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19. 박태현, 송지은, 심승배(2022), "국내외 정보화정책 분석 및 국방분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0. 양영철, 남기헌, 황인빈, 진아연(2021), "인공지능기술 적용 전력의 획득체계 정립 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21. 조재규(2020), "국방 인공지능 인프라 분석 및 발전 방안", 국방정책연구, 36(4), 109-146.  https://doi.org/10.22883/JDPS.2021.36.4.004
  22. 김성현, 권혁진(2011), "국방정보화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방안", 한국국방연구원. 
  23. 송태은(2022), "바이든 행정부의 인공지능 국가정책: 평가와 함의",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4. 최근하, 오재진, 김영길(2020), "美 국방부 및 육군의 인공지능(AI) 전략이 한국군에 주는 시사점", 한국방위산업학회지, 27(1), 41-52.  https://doi.org/10.52798/KADIS.2020.27.1.4
  25. 임승혁, 최충현, 박민선, 최진철, 임형섭, 강현규(2020), "국방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R&D전략 연구(무인기의 유.무인 복합 전투수행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윤웅직, 심승배(2022), "미군의 합동전영역지휘통제 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한국국방연구원. 
  27. 보아코리아(2021.6.22.), "미 국방부, JADC2 사업 본격 시동...한국 등 동맹군에 공동표준 적용 모색". https://www.voakorea.com/a/korea_korea-politics_jadc2-dod-strategy-implications-korean-peninsula-focus-standard/6059630.html. 
  28. 설인효(2022), "바이든 행정부의 안보 국방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전략연구, 29(2), 257-296.  https://doi.org/10.46226/jss.2022.07.29.2.257
  29. 김경환(2020), "미국 방산시장 동향분석 보고서", 국방기술품질원. 
  30. 육군교육사령부, 한국국가전략연구원(2019),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미래 지상군 전투발전 및 활용 방향", 한국국가전략연구원. 
  31. 최현호(2018), "군사용 무인 로봇 트렌드(1)", 국방과 기술, 473, 42-55. 
  32. 한훈(2020), "군사 드론의 기초산업 현황 분석", 문화기술의 융합, 6(4), 493-498.  https://doi.org/10.17703/JCCT.2020.6.4.493
  33. 오선진(2021), "첨단 ICT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모델", 문화기술의 융합, 7(4), 705-710.  https://doi.org/10.17703/JCCT.2021.7.4.705
  34. 황선웅, 이윤호, 홍수민, 윤웅직, 박태현(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방소프트웨어 발전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35. 이재국, 이일로(2022), "국방 AI 플랫폼 개발을 위한 제언",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이슈페이퍼. 
  36. news1(2022.9.29.), "국방차관 국방 데이터 관리 위해 지능형 플랫폼 구축 추진". https://m.news1.kr/articles/?4816671 
  37. 보아코리아(2022.12.9.), "미 국방부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 중국 등 적국에 대한 전술적 우위 제공". https://www.voakorea.com/a/6868894.html 
  38. 차정미(2022), "미중 기술패권경쟁에 대한 세계의 인식과 전략, 한국외교에의 함의와 의회의 역할", 국회미래연구원, 국제전략 Foresight. 
  39. 한국산업기술진흥원(2021), "미국 공급망 100일 검토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반도체 및 배터리", KIAT 산업기술정책 브리프. 
  40. 서울경제(2022.9.15.), "한미 '차관급 국방 과학기술협력 채널 개설' 합의...무인.레이더 기술 등 국방 R&D 협의". https://www.sedaily.com/NewsView/26B30FSV5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