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적 변천과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유산 가치 해석

Historical Changes of Incheon Freedom Park and Its Heritage Value Interpretation as the Historic Urban Public Park

  • 김순기 (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전공)
  • Kim, Soon-Ki (Major in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1.21
  • 심사 : 2023.12.22
  • 발행 : 2023.12.31

초록

본 연구는 인천 자유공원의 '역사도시공원'으로서의 가치를 공원 및 주변지역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고지도 및 항공사진에 기반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자유공원의 시대별 변천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근현대사의 시대적·문화적 변화를 바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공원은 (1)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보여주는 증거일 뿐 아니라, (2) 국내 최초의 도시계획에 기반한 도시공원으로서의 역사적인 가치도 지니며, 또한 (3) 근·현대 급변한 시민 생활상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유산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유산 가치 규명에도 불구하고, 자유공원의 유산 가치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규명 및 복원·활용을 위해서는 향후 자유공원에 대한 깊이있는 자료의 탐색 및 발굴연구 등 추가 연구들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lue of Incheon Freedom Park as a 'historic urban park' through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park and surrounding areas. To this end, this study uses a time series analysis, as research method, based on old maps and aerial photograph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ark over time and to interpret them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n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k not only has (1) evidence of major event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but also (2) historical value as an urban park based on the first urban plan in Korea, and (3) very important heritage value that shows the rapidly changing civic lif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However, despite the identification of heritage values i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and excavate in-depth data on the park in order to more clearly identify, restore, and utilize the heritage values of the park.

키워드

참고문헌

  1. 길지혜, 박희성(2020).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8(2): 20-33.
  2. ICOMOS. 1982. H\istoric Gardens: The Florence Charter 1982.
  3. UNESCO. 2023. Th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4. 김순기(2022). 경관유산의 범위 정립: 경관 관련 유산 유형의 국제적 인식 확대를 바탕으로. 한국경관학회지. 14(2): 99-111.
  5. Ruoff, Eeva(2008). "Threats to the Genius Loci of the Public Parks: Saving the Historic Urban Parks of the 19th Century." In 16th ICOMOS General Assembly and International Symposium: 'Finding the Spirit of Place-Between the Tangible and the Intangible'. The Symposium held in Quebec, Canada, 29 September-4 October.
  6. ICOMOS. 2017. ICOMOS-IFLA Document on Historic Urban Public Parks.
  7. 이응규, 박영민(2022). 개항장 인천 공업의 발전사를 활용한 인천관광연구. 한국도서연구. 34(4): 77-96.
  8. 이규수(2007). 개항장 인천(1883~1910): 재조일본인과 도시의 식민지화. 인천학연구. 6: 5-34.
  9. 이동훈(2018). 1910년대 인천항 축항 사업과 식민지 사회: '동양유일' 이중갑문식 독의 준공. 인천학연구. 28: 7-44.
  10. 이영민(2005). 경인선 철도와 인천의 문화지리적 변화. 인천학연구. 4: 395-417.
  11. 이희환(2002). 근대 초기 '새인천'의 현성과정 연구: 연구과제를 중심으로 한 시론. 인천학연구. 1: 179-226.
  12. 손정목(1979). 개항기 도시시설의 도입과정: 공원의 설치. 도시문제. 155(7): 76-88.
  13. 곽남현, 한봉호, 곽정인(2020). 인천광역시 도시구조 변화에 따른 공원·녹지 변화 특성 연구. 국토계획. 55(3): 129-144.
  14. 손장원(2007). 인천만국공원 내 근대건축물 복원사업연구. 한국 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7(1): 21-28.
  15. 송주연, 김남조(2018). 근대문화유산관광지의 객관적 진정성, 체험, 실존적 진정성, 만족 간의 영향관계: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33(5): 43-66.
  16. 윤현위, 이호상(2016). 역사·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건축자산제도의 활용 모색: 인천의 근대건축물을 사례로. 인문학연구. 26: 37-66.
  17. 진종현, 신성희(2006). 도시정체성 형성을 위한 '과거'의 선택적 복원 과정: 인천시의 '만국공원(현 자유공원)' 복원론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0(2): 241-255.
  18. 국토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19. 강신용, 장윤환(2004). 한국근대도시공원사. 서울: 대왕사.
  20. 김용하(2013). 지도로 보는 인천의 변화. 인천발전연구원.
  21. 인천광역시 공식 블로그-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 다시 보는 만국공원. https://blog.naver.com/PostView.nhn?logId=incheontogi&logNo=221514024266.
  22. 김태중(1996). 개화기 궁정건축가 사바찐에 관한 연구: 고용경위와 경력 및 활동환경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7): 107-120.
  23. 日本硏 DATABASE - Overseas Images of Japan Database. https://sekiei.nichibun.ac.jp/GAI/en/detail/?gid=GK054002&hid=2394.
  2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https://www.museum.go.kr/modern-history/map_list.do?scale =10.
  25. 유동현(2018). 자유공원과 한성임시정부: '상해임시정부' 씨앗 뿌려진 만국공원. 작가들. 66(3): 330-336.
  26. 인천투데이-[개항장기행] '웃터골 운동장'과 민족교육자 '길영희교장'.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4946.
  27. 인천광역시 지도포털. https://imap.incheon.go.kr/icmap/map.jsp.
  28.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viewMainN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