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식의 사상과 원림 경영 연구 - 백학거를 중심으로 한 기초 연구 -

A Study of Su Shi(蘇軾)'s Philosophy and Garden Management - A Basic Study Focused on Baiheju(白鶴居) -

  • 신현실 (우석대학교 부설 정원고고연구소)
  • 투고 : 2023.10.05
  • 심사 : 2023.11.16
  • 발행 : 2023.12.31

초록

문화예술의 전성기였던 북송시기는 중국 원림사에서 큰 변화를 가져 온 시기이다. 이전 당대(唐代)에 발전하였던 은둔과 사념(思念)들이 문학과 회화 그리고 예술과 결합되며 원림은 예술작품으로 인식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북송시기 문학과 예술을 관통한 소식의 등장은 개인적 정원조성을 뛰어넘어 공공원림의 발전과 원림의 다변화에 영향을 주고 그의 오랜 폄적기간들은 지역문화와 특색을 이해하고 원림에 반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원림을 경영하였던 소식의 사상에 주목하여 그의 폄적생활과 사상의 관계성을 통해 문인으로서의 그의 원림 경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소식이 경영한 현존하는 혜주의 백학거 원림을 중심으로 소식이 경영한 문인원림의 양태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가치를 표출하였다. 첫째, 유불도 삼가(三家)에 능통했던 소식은 백학거의 입지와 원림 구성요소에 사상과 독특한 조망 기법을 결합하여 경관을 즐기고 있다. 고택은 소박한 형태이나 내경과 외경의 결합을 통해 확장성을 지니고 있고 내경은 단일공간으로 인식되도록 구성하되 공간의 중첩적 경험과 다경관의 동시적 감상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반면 공간에는 반드시 위계를 설정하여 질서를 두고 있다. 둘째, 원림은 지역의 특징을 반영하여 아열대성 식물이 다수 나타나고 있고 건조물과의 색채적 대비를 고려하여 활색생향(活色生香)적 식재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의적 정신세계를 원림에 투영하여 심신수양과 이상세계의 탐구적 장소로 원림을 차용하였고 거욕과 수심적 마음수행을 위한 장소로서 식재는 간결하되 특징을 잘 내보일 수 있는 수종을 선별 식재하여 원림 공간에 율동감과 입체감을 주고 있다. 셋째, 백학거는 시대별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후손들에 의해 소식이 조영한 원림의 양태와 원림 요소들이 현존하여 유산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heyday of cultural and artistic achievement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the history of gardens in China. The developments and contemplations that had evolved during the previous Tang Dynasty became intertwined with literature, painting, and art, leading to garden being perceived as works of art.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Su Shi(蘇軾) that permeated literature and art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had an impact beyond individual garden creatio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gardens and the diversification of garden. His long exile period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reflect the local culture and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garden.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ology of Su Shi(蘇軾) that managed various garden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exlie life and ideology. To do so, the study examines the form of the literati's gardens managed by Su Shi(蘇軾),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Baiheju(白鶴居) garden in Huizhou, reveal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values. First, Su Shi(蘇軾), who was proficient in the Three Hous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ombined his philosophy and unique perspective techniques with the location and composition elements of Baiheju(白鶴居) to enjoy the landscape. Although the ancient residence has a simple form, it possesses expansive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views. The interior is designed to be perceived as a single space, but it allows overlapping experiences of space and simultaneous appreciation of different sceneries.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layout incorporates a hierarchical order to establish a sense of order. Second, the garden reflects the lo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numerous tropical plants and presenting vibrant and contrasting colors with structures. The planting forms embrace the concept of "huosei seikou" (活色生香) to enhance the color harmoniously. Additionally, the garden incorporates the poet's spiritual world, projecting it onto the garden as a contemplative place for spiritual nourishment and exploration of the ideal realm. For the pursuit of serenity and profound contemplation, the selected plantings are simple yet distinctive, providing rhythm and depth to the garden space. Third, Baiheju(白鶴居) has undergone changes over the years, but fundamentally, the form and elements of the garden shaped by Su Shi(蘇軾)'s descendants persist, confirming its heritage valu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영자. 蘇軾의 哲理詞 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p.1
  2. "東坡先生之英才絕識, 卓冠一世, 平生斟酌經傳, 貫穿子史, 下至小說雜記, 佛經道書, 古詩方言, 莫不事究. 故雖天地之造化, 古今之興替, 風俗之消長, 與夫山川草木, 禽獸鱗介, 昆蟲之屬, 亦皆洞其機, 而貫其妙, 各而為胷中之文" 宋 王十朋集注, 《蘇東坡詩集注》, <增刋校正百家註東坡先生詩序> 《民國八年上海商務印書館四部叢刊景宋務本堂刻本》
  3. 余遷惠州一年, 衣食漸窘. 重九將近, 樽爼蕭然. 乃和淵明 <貧士> 詩七首, 以寄許下' 髙安' 宜興諸子姪, 并令過同作. <和貧士七首> 문연각사고전서
  4. "余去嵗三月, 自水東嘉祐寺, 遷居合江樓, 迨今一年, 多病鮮歡, 頗懐水東之樂. 得歸善縣後隙地數畆, 父老云: 此古白鶴觀也. 意欣然, 欲居之, 乃和此詩." <和移居二首> 문연각사고전서
  5. "'丁丑二月十四日, 白鶴峯新居成, 自嘉祐寺遷入. 詠淵明<時運>詩云: 斯晨斯夕, 言息其廬. 似為余發也. 乃次其韻. 長子邁 與余别三年矣. 挈携諸孫, 萬里逺至. 老朽憂患之餘, 不能無欣然." <和時運四首 (幷引)>
  6. "按周益公題跋云: 東坡年五十九, 南遷過太和縣, 作秧馬歌, 贈曾移忠." (清) 查慎行補注, 《東坡先生編年詩補注》, 권38, 《清乾隆二十六年廣陵查開香雨齋刻本》
  7. "貶謫之地, 見如舊遊, 有終焉之志. 賢者固隨寓而安." (清)王文誥注, 《蘇文忠公詩編注集成》, <集成目錄>, 《清嘉慶二十四年武林韻山堂刻後印本》
  8. "(慶暦) 三年(1043)癸未, 是年先生八歲, 入小學, 按 《志林》 云: 吾八歲入小學, 以道士張易簡為師." (宋) 蘇軾撰, 《東坡集》, 《清光緒三十四年至宣統元年寶華盦翻刻明成化本》
  9. "既而讀 《莊子》 喟然歎息曰: 吾昔有見於中, 口未能言, 今見 《莊子》 得吾心矣. (宋) 蘇轍撰, 《欒城集》, 後集, 巻22, <亡兄子瞻端明墓誌銘> 《欽定四庫全書本》"
  10. "'心似巳灰之木, 身如不繫之舟, 問汝平生功業, 黄州惠州儋州.", (淸) 翰林院編修, 查慎行撰, 《蘇詩補註》, 巻48, 《欽定四庫全書本》
  11. "慎按東坡晚年, 留心養生之術, 于龍虎鉛汞之説, 不但能言, 而且能行. 二詩闡抉道家内外丹, 殆無餘藴.", (清) 查慎行補注, 《東坡先生編年詩補注》, 권39, 《清乾隆二十六年廣陵查開香雨齋刻本》
  12. "'但為小人擠排, 不得安于朝廷, 鬱憏無聊之甚, 轉而逃入于禪, 斯亦通人之蔽也.", (清) 黄宗羲輯, (清) 全祖望訂補, 《宋元學案》, 권99, <蘇氏蜀學略>, 《清道光二十六年何紹基刻本》
  13. "又 <與朱元晦> 曰: 東坡初年亦闢禪學, 其後乃溺之, 謂其不知道可也 ,槪與王氏同貶, 恐太甚. 論法者, 必原其情.", (清) 黄宗羲輯, (清) 全祖望訂補, 《宋元學案》, 권99, <蘇氏蜀學略>, 《清道光二十六年何紹基刻本》
  14. 黄宫字, 道家以臍下爲丹田, 腦頂爲黄宫, (清) 查慎行補注, 《東坡先生編年詩補注》, 권41, 《清乾隆二十六年廣陵查開香雨齋刻本》
  15. 양사총(2019). 송대문인원림미학연구. 무한대학교. p1.
  16. 郭熙. 《林泉高致: 山水訓》. 然则林泉之志 烟霞之侣 梦寐在焉耳 目断绝今得妙手郁然出之 不下堂筵坐穷泉壑 猿声鸟啼依约在耳 山光水色 滉漾夺目 此岂不快人意 实获我心哉 此世之所以贵夫画山之本意也. 不此之主而轻心临之 岂不芜杂神观 溷浊清风也哉.
  17. 李玘修, 惠屆五嶺東南, 負山面海, 爲大郡 島嶼灣澳, 倭舶洋檣, 飛淩風濤, 叩弦而歌" (明) 劉梧篡. 嘉靖 惠州府志 12卷.
  18. 혜경전도(惠景全圖). 명조 숭정4년(1631)제작. 귀선현지(歸善縣志). 苏文忠先生寓惠全集.
  19. 惠州府志(1881).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도서관 소장.
  20. 宋) 蘇軾著 ; 汪超導讀 ; 汪超注譯, 蘇軾集[M]. 長沙 : 嶽麓書社, 2019.03. 白鶴峰新居欲成, 夜過西鄰翟秀才, 二首: "甕間畢卓防偷酒, 壁後匡衡不點燈. 待鑿平江百尺井, 要分清暑一壺冰. 佐卿恐是歸來鶴, 次律寧非過去僧. 他日莫尋王粲宅, 夢中來往本何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