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tegrated Science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and Group Intelligence: A Focus on Values and Integration with Software

통합과학 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예비교사의 학습동기 및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가치관과 소프트웨어 접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3.11.30
  • Accepted : 2023.12.26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n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emphasizing group intelligence, values, and software application in response to societal demands. The results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utilizing group intelligence enhanced the learning motivation of pre-service teachers, particularly demonstrating improvements during the implementation phase. Secondly, the group intelligence-based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 cultivated the group intelligenc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manifesting positive effect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demonstration, and feedback. Thirdly, it was evident that the integration of software and individual values into science curriculum requires specialized support.

이 연구는 사회적 요구에 의해 강조되고 있는 집단지성, 가치관,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로 첫째, 집단지성을 활용한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교사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켰다. 특히 수행과정에서 학습동기가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지성 기반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교사들의 집단지성 역량을 함양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 시연, 피드백하는 전 과정에서 집단의 긍정적 영향이 발현되었다. 셋째, 과학 교과에 소프트웨어와 개인의 가치관은 접목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위해 전문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20S1A5B5A17087408). This research utilized research data from Dankook University's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in 2020.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2. 교육부(2021). 2022 개정 총론 주요 사항.
  3. 교육부(2022). 2022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남상덕(2022). 메터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38(4), 111-134.
  5. 박기락, 김형범(2023).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1), 43-55.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1.43
  6. 봉미미, 김성일, Johnmarshall Reeve, 임효진, 이우걸, Yi Jiang, 김진호, 김혜진, 노아름, 노언경, 백선희, 송주연, 신지연, 안현선, 우연경, 원성준, 이계형, 이민혜, 이선경, 이선영, 이지수, 정윤경, Catherine Cho, 황아름(2012). SMILES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cales): 학습환경에서의 학생동기척도. 고려대학교 두뇌동기연구소 홈페이지 http://bmri.korea.ac.kr/english/research/assessment_scales/list.html?id=assessment.
  7. 서미림, 정은영(2023). 초등학생의 디지털 소양 함양을 위한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7(2), 127-138. https://doi.org/10.21796/JSE.2023.47.2.127
  8. 손연아(2016). 사회적 책임을 접목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구조 및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통합교육 전략 제안. 육문화연구, 22(6), 279-312.
  9. 손연아, 맹희주(2012).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교과교육학연구, 16(2), 539-563. https://doi.org/10.24231/RICI.2012.16.2.539
  10. 송윤희(2016). 집단지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과교육학연구, 20(5), 395-406. https://doi.org/10.24231/RICI.2016.20.5.395
  11. 양미경(2012). 학문공동체의 집단지성 활성화를 위한 학회운영원리의 탐색: 교육학회를 중심으로. 교육원리연구, 17(1), 167-203.
  12. 오선경(2023). 대학 교양 글쓰기에서의 챗GPT 활용 사례와 학습자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7(3), 11-23.
  13. 오준영, 손연아(2018).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합과학 교육 전략 제안: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1-20.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1.1
  14. 이영희, 윤정현(2021).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기반 동료평가 활용 대학 수업모델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7(6), 163-190.
  15. 지덕영(2019).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24-238.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24
  16. 최수형, 강희경, 안나(2015). 동료에 대한 신뢰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2(1), 147-169.
  17. 한신, 정한호, 김형범, 김용기(2023).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1), 133-142.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1.133
  18. Berger, G. H., & Gaunitz, S. C. B. (1978). Self-rated imagery and encoding strategies in visual memory.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0(1), 21-24.
  19. Cobern, W. W. (1991). World view theory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NARST Monograph No. 3. Manhattan. KS: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