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Scientce-Related Attitudes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3.11.28
  • Accepted : 2023.12.26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involved 40 sixth-grade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aker education program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whereas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a traditional teacher-centered class as outlined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econ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science class applying the TMSI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to science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40명을 대상으로 각 20명씩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6학년 2학기 '계절의 변화' 단원의 내용을 10차시를 선정하여 연구집단의 학생들은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을, 비교집단의 학생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통적 교육방법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둘째, TMSI모형을 적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단계별 메이커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향상된 영역별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별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이 관련 교과 수업의 즐거움으로 이어지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정(2018).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인애, 김명기(2017). 메이커 활동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487-515.
  3. 교육부(2015). 2015 개정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4. 김성수, 유현석(2019). 시멘트와 거푸집을 이용한 중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융합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6), 129-138. https://doi.org/10.15207/JKCS.2019.10.6.129
  5. 김성운(2020). 지구자전과 태양의 겉보기 운동학습을 위한 역할놀이 활동의 학습효과 및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29-39.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1.29
  6. 김성인, 김진수, 강성주, 김태영, 윤지현(2019). 아두이노를 활용한 디자인씽킹 기반의 중학생 메이커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4(1), 162-189. https://doi.org/10.35140/KIIEDU.2019.44.1.162
  7. 김순식(2019). 소집단 토의.토론을 강조한 메이커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54-63.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1.54
  8. 김우식(2022). 메이커교육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정현(2020). 과학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혜란, 최선영(2023). 초등 과학 수업에서 VR 기술을 활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동물의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2(3), 399-408.
  11. 남기원, 이수연(2017). 메이커스페이스 탐색을 통한 유아 메이커 교육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21(6), 205-228.
  12. 박근형(2020). 메이커교육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선혜(2021).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메이커교육 경험이 사회적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희정, 이종연(2018).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미래교육 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4), 649-678.
  15. 성혜경, 문성환(2022). TMSI 모형 기반의 에너지 절약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2(1), 35-44. https://doi.org/10.22368/KSECCE.2022.12.1.35
  16. 엄승표, 이동원(2020). 메이커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26(4), 161-180.
  17. 여혜원(2019). 과학개념에 기반 한 메이커수업에서 학생들의 활동 과정 및 메이커 역량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우영진, 이재호(2018).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창의정보문화연구, 4(1), 35-43. https://doi.org/10.32823/JCIC.4.1.201804.35
  19. 윤성혜, 강우리, 이명우(2017). 고등학생 대상 저작도구활용 앱 개발 교육의 정의적.인지적 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415-424.
  20. 윤지현, 권지훈, 강성주(2019). 중학생을 위한 디자인 씽킹 기반 메이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561-584.
  21. 윤혜진, 강인애, 강은성(2019). 메이커교육 아웃리치 프로그램 사례: 메이커 정신 함양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5(2), 365-393.
  22. 윤희건, 최선영(2015). 초등과학에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9(3), 321-332. https://doi.org/10.21796/JSE.2015.39.3.321
  23. 이동국(2019). 메이커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3), 577-600.
  24. 이사야(2017). STEAM 기반 메이커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영은, 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513
  26. 이재호, 장준형(2017). 과학영재용 소프트웨어 코딩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영재교육연구, 27(3), 331-348.
  27. 이지선(2017). 메이커교육에 디자인 사고적용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54, 225-234.
  28. 이창윤, 홍훈기(2018). 메이커 활동에 기반을 둔 화학 탐구 R&E 프로그램의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131-154.
  29. 임유나, 민부자, 홍후조(2015). 이공계 진로의식 신장을 위한 초등 5~6학년용 설계기반 미래 유망직업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35(1), 73-84.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73
  30. 조경미, 이연승(2018).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8(1), 341-366.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1.014
  31. 조헌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대학교육의 변화와 교양교육의 과제. 교양교육연구, 11(2), 53-89.
  32. 한광민, 신나민(2021). 어린이법회 지도법사를 위한 메이커교육 연구. 종교교육학연구, 66, 205-233.
  33. 함형인, 김기열, 김기수(2016). 3C-Maker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22(4), 103-119.
  34. 황중원, 강인애, 김홍순(2016).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2, 166-176.
  35. Bevan, B., Gutwill, J. P., Petrich, M., & Wilkinson, K. (2014). Learning through STEM-Rich tinkering: Findings from a jointly negotiated research project taken up in practice. Science Education, 99(1), 98-120.
  36. Dougherty, D. (2013). The maker mindset. In M. Honey & D. E. Kanter (Eds.), Design. Make. Play. Growing the next generation of STEM innovators (pp. 7-16). Routledge.
  37. Fraser, B. J. (1981).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38. Halverson, E. R., & Sheridan, K. (2014). The maker movement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84(4), 495-504. https://doi.org/10.17763/haer.84.4.34j1g6814038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