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작 기법

Search Result 3,18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Video Cartoon Production using Video Technology (비디오 기법을 이용한 영상 카툰 제작에 관한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216-21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비디오 영상이나 일반 캠코더로 촬영한 비디오 영상을 비디오 편집기법을 기법을 이용하여 카툰 형식의 콘텐츠로 제작하여 웹 툰 이나 카툰 콘텐츠로 제작하여 활용 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스마트폰이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영상 편집 기법을 적용하고, 스토리텔링으로 영상을 만들고 카툰으로 제작하여 비디오 카툰 콘텐츠로 제작한다. 현재 대부분의 카툰이 2D 형식의 카툰이 지배적인데 차후 비디오 카툰을 제작함으로써 비디오 콘텐츠로 보다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 일상의 영상도 비디오 편집기법으로 다양한 영상 편집 및 표현으로 창조적인 콘텐츠를 제작 할 수 있다고 사료한다.

  • PDF

A Study of the Etched Animation Expression Techniques of Piotr Dumala (Piotr Dumala의 메조틴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동판화의 제작 기법 연구)

  • Jang, Seo-Woo;Kim, Jea-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8
    • /
    • pp.685-692
    • /
    • 2017
  • Fine art production methods are frequently incorporated into animation production. The Printing Expression method is often employed among fine art production. There are three main techniques in Printing Expression: Silk Screen, Woodcut and Etching. Animations that use Silk Screen and Woodcut techniques are quite common. However, it is rare to find Etching techniques in animations. So with that being said, I would like to introduce etching animation through the work of Piotr Dumala; the well known Ink Etched film director. Also, I analyzed the characters: movement, unique texture and sensuous feeling; that only mezzotinted Etched-Animation expression technique can show. If we can expand methods on how to show our imagination through etching techniques, it can allow many directors to produce etched animation films in which they can express their imagination.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the KwangDahoe Tying on the Sword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도검 패용 광다회의 제작기법 분석)

  • Baek, Je-Sun;Chung, Kwang-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0 no.3
    • /
    • pp.64-87
    • /
    • 2017
  • Dahoe is a traditional braid in Joseon Dynasty. There are many Dahoe artifacts, which can give us a glimpse of the costume, culture, and life of that era. The study of Dahoe is necessary in various fields, but it is difficult because this manufacturing technique has been passed down from hand to hand. Few studies have been done so far. This research examines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KwangDahoe which is passed down by Maedeupjang (Decorative Knotting) and is generally used for knotting and/or tying object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ieKwangDahoe, made through the same method as WonDahoe, is the square hole in the middle. It was impossibile to remake the original braid because there is no confirmed number of the strand.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do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n serious degradation state of the fib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non-destruc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method for Dahoe and assess their applicability. First, we analyzed the artifacts' manufacturing technique based on the database of the Dahoe's manufacturing technique. In order to do that, we undertook schematization, restoration, morphological analyzation of the Dahoe. And then, X-ray CT scans were perform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B. These results of scanning were interpreted based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The selected Tie-KwangDahoe on the sword for the study are artifacts including artistic value and symbolism in Joseon Dynas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e found that both artifacts were made of 20-strand braid of single cross according to the length-scale measure. It was manufactured using 8-strand on left-right side, 12-strand on front-back side by the braiding manufacturing technique method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of Dahoe's manufacturing technique is based on the database and the analysis results. I hope this research can be useful in various professional fields of Dahoe in the future. Moreover, I hope this can be of any help in preserving Korean cultural heritage.

A Study 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 Techniques Flash Animation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법에 따른 특성 연구)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309-31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만화, 게임, 웹, 앱, 모바일 등에서 2D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의 기법들의 특성들을 나타낸다. 제작 콘텐츠가 어떤 디바이스에서 어떤 애니메이션을 연출할 것인가를 먼저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콘텐츠의 목적에 맞는 애니메이션 기법을 사용함으로 콘텐츠 제작 시간과 경제성과 완성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Web Interactive Contents Use for Motion Graphic (모션그래픽을 이용한 웹 인터렉티브 콘텐츠 활용)

  • Joo, He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423-42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모션 그래픽 진화에 따른 모션 그래픽 트랜드 변화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웹의 트랜트 변화와 함께 웹에서의 모션 그래픽스의 인터렉티브 기법에 관해서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렉티브 기법을 적용한 웹 동영상 콘텐츠 기법들을 나타내었다. 웹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 및 활용으로 플래시 동영상 제작 활용을 나타내었다. 웹에서의 인터렉티브 콘텐츠는 이용목적에 따라 제작 및 활용 기법이 다양하다. 따라서 콘텐츠 이용에 대한 인터렉티브 콘텐츠 제작 및 활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 PDF

Making Photomontage using Transfer Mode (Transfer Mode를 활용하는 포토몽타주제작기법)

  • Yoon, Young-Beam;Kim, Su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7
    • /
    • pp.102-10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imagination which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facts and reproduce the photos as a media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ies for creative expression and the experience of the day-to-day oper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eme of art genre. The art work for this study using digital images in Autodesk Combustion Workspace as the upper and lower layers were synthesized using the Transfer Mode feature. This study proposed a new photomontage production model, and challenged for the Possibility of a variety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media art. Especially the production presents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video.

Study on Electronic Music Production Techniques 'Focused on Sampling Techniques' (전자음악 제작 기법에 관한 고찰 '샘플링 기법을 중심으로')

  • Kwon, Hyun-woo;Lee, Seny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7-98
    • /
    • 2015
  • 기술의 발전과 함께 한 전자음악 제작 기법은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로 확대되고 있다. 샘플링 기법 또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새로운 음악 창작 기법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저작권과 윤리적인 문제가 남아 있지만 변형의 음악으로서 새로운 음악 기법과 창조적인 음색 창조가 가능한 샘플링은 현재까지 많은 뮤지션들에의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샘플링의 발전 양상과 실제 전자음악에서 사용된 샘플링을 분석해 전자음악 제작에서의 샘플링의 과정과 음색 제작을 분석해 보고자 케미컬 브라더스(Chemicl Brothers)의 <스타 기타(Star Guitar)>의 샘플링 방법을 분석해 보았다.

  • PDF

콘크리트 모듈 시공이음부의 설계기법

  • Yang, In-Hwan;Ju, Geon-Hyeong;Kim, G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95-197
    • /
    • 2011
  • 플로팅 건축구조용 콘크리트 부유체 구조는 현장 근처의 제작장에서 제작한 후에 제작된 부재를 현장으로 이동하여 가설장비를 이용해 각 부재를 조립해서 함체 구조를 완성하는 방법인 프리캐스트 부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연결부의 기능과 구조적 성능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연결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함체 연결부에 적용할 수 있는 연결기법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Technique of 3-D Terrain Modelling (3차원 지형모델링의 효율적 기법에 관한 연구)

  • 윤철규;신봉호;양승룡;엄재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2
    • /
    • pp.207-21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im at presenting efficient technique of 3-D Terrain Modelling through multilateral approach methods and to compare with raw data, using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The subject religion of this study are selected two sites and take into consideration for degree of freedom about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by precision analysis of digital cartographic map-ping using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bave shown that . First, making digital cartographic map, the technique of making it using low-desn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by TIN-based results to good and fast run-time in A and B sites all together. Second, the visualization analysis results of digital cartographic map using TIN and GRID-based terrain modeling techniqus similar exacts A and B sites, but the terrain modeling techniqus by TIN-based are small data size than GRID-based with the data with the data size of saving with DXF files. Third, making digital catographic map using terrain modeling techniques by Grid-based, the standard errors of low-densed randomly located point data and interpolated data using gridding method have more good results by radial basis function interpolation techniques at A and B sites all together.

  • PDF

Automatic Camera Control for Automated Digital Cinematography from Text (텍스트로부터의 자동 디지털 영상제작을 위한 카메라 자동제어)

  • 장세민;박종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904-906
    • /
    • 2004
  • 영화를 제작하는 과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본에는 필요한 부분마다 영상기법이 명시되어 있어서 실제 장면을 구현하는 과정에 원작자가 의도하는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교통사고 사건보고서나 동화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려는 경우 이러한 영상기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자연언어로 기술된 자료로부터 디지털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영상기법을 추출하는 방안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선행 연구에서는 동화를 대상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자동 생성을 위해서 시간 관리, 참조 해결, 위치 설정, 세부 명령 결정 및 다수 캐릭터 제어 등의 요소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이고 특히 시간 관리 중에서 적절한 장면전환이 필요한 경우를 자동으로 파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결합범주문법을 사용하여 동화 문장에 나타나는 작가의 의도를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다양한 카메라 운용기법을 자동으로 파악하여 적용한 디지털 영상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 구현한 시스템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