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 Analysis of Documenting the Gardens of Old Houses with the Measurement Drawings of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국가민속문화재의 실측도면을 통해 살펴본 고택 정원의 기록화 경향 분석

  • LIM, Cheyeon (Dept. of Research and Planning, Hanu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yong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임채연 ((재)한울문화재연구원 연구기획실) ;
  • 이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22.03.31
  • Accepted : 2022.08.16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ocumentation trend of garden components such as plants, infrastructure, unit facilities, and structures, based on 188 measurement drawings of 94 old houses in a report on the documentation of the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nts and structures continuously appeared as the subject of measurement drawings, while infrastructure was often omitted. It was confirmed that unit facilities, which are smaller than other components, were frequently excluded from the documentation subject as well due to frequent changes such as movement, loss, and expansion. Second, the level of expression in measurement drawings showed different aspects for each component. The unit facilities showed a large change over time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documentation, and the level of documentation was somewhat polarized, particularly toward the latter stage. This suggests that the level of documenting the drawings limited to specific facilities improved, but the overall level of drawings did not improve, such as a lack of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techniques suitable for various unit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documenting the drawings for plants, infrastructure and structures did not change to a significant degree, implying that no improvements were made to the expression of components. Third, as for the technique of detailed expression, in the case of plants, vegetation status was prepared without distinction of old or protected trees that have historical value. Above all, there was no record of the vegetation structure that could help grasp the vegetation landscape of the outer area. As for the infrastructure, there was no consistent expression technique to systematically convey topographic changes such as the height and slope of the land. In addition, since there was no subtype classification defined for unit facilities and structures, there was no subject or method of documen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category of documentation, which has been concentrated on buildings in old houses, to gardens, and called attention to the need for documenting the garden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ld houses as an integration of the building and outer area.

본 연구는 국가민속문화재의 기록화 보고서에 수록된 고택 94곳의 실측도면 188장을 토대로 식물, 기반시설, 단위시설, 구조물 등 정원 구성요소의 작성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측도면의 작성대상으로 식물과 구조물은 지속적인 등장을 보였으나, 기반시설은 누락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규모가 작은 단위시설도 이동, 멸실, 증설 등 잦은 변화로 빈번히 기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둘째, 실측도면의 표현 수준은 구성요소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먼저, 단위시설은 시기에 따른 작성 수준의 편차가 컸고, 특히 후기로 갈수록 작성 수준의 양극화가 나타났다. 이는 특정 시설에 국한된 도면의 작성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다양한 단위시설에 맞는 표현 기법의 세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전반적인 수준이 상향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한편, 식물, 기반시설, 구조물은 모든 시기에서 도면의 작성 수준이 유사하게 나타나 구성요소의 표현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세부적인 표현 기법에서 식물의 경우 역사적 가치가 있는 노거수나 보호수의 구분 없이 식생 현황이 작성되었고, 무엇보다 외부공간의 식생 경관을 파악할 수 있는 식생 구조에 대한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반시설에서는 대지의 높이나 경사 등 지형 변화를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일관된 표현 기법이 부재하였다. 또한, 단위시설과 구조물은 하위 유형의 세분류가 정의되지 않아 기록 대상과 기록 방법이 전무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그간 고택에서 건축물에 집중되어 온 기록화의 범주를 정원으로 확대하고, 건축물과 외부공간이 일체된 공간으로 고택의 보존관리를 위한 정원 기록화의 필요성을 환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형훈, 「서열척도를 이용한 효율적 FMEA 설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pp.12~13.
  2. 국토교통부(2016),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pp.22~49, 169~200.
  3. 국토교통부(2016),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pp.50~84.
  4. 국토교통부(2016), 「조경공사 표준시방서」, pp.120~168.
  5. 권상준.이학규, 「조경설계기법의 전산화에 관한 연구」, 산업개발연구 Vol.9,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1991, pp.56~61.
  6. 김미선, 「조경식재설계도면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설계의도전달 매체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pp,19~44.
  7. 김민수, 「한국 조경제도의 국제표준화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Vol.37, No.4, 한국조경학회, 2009, pp,55~62.
  8. 김영모, 「전통 정원의 보존 및 복원 원칙 설정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Vol.25, 2007, pp.80~81.
  9. 문화재청, 「중요민속문화재 지정조사 보고서」, 2015.
  10.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보고서」, 2012, pp.12~14.
  11. 이행렬, 「컴퓨터를 이용한 조경설계 도면작성기준에 관한 기준」, 산업과학연구 No.8,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1999, pp.9~15.
  12. 임채연, 「고택의 조경 실측도면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13. 정연준, 「조경설계 도면의 캐드레이어 표준화에 관한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pp,48~61.
  14. 진혜영.정미애.신현실.노재현, 「문화재 미지정 민가 정원의 유산적 가치 및 조영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Vol.17, 2019,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