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during the Period of Foundation and Change of the Garden Pond Site in Guhwang-dong, Gyeongju

경주 구황동 원지(九黃洞 園池) 유적 창건 및 변화 시기의 조영과 성격 변화

  • KIM, Hyungsuk (Research Division, Foundation of Silla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 김형석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22.06.14
  • Accepted : 2022.08.16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is the very essence of the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thousand-year-reign of Silla.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landscape sites of the capital of Silla other than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due to the lack of related dat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e garden pond in Guhwang-dong, whose complete appearance was identified through excavation following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Since the excavation of the garden pond in Guhwang-dong, Gyeongju, there have been disagreements in academia as to whether it is a palace pond or a temple pond of Bunhwangsa Temple.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garden pond that it is divided into two periods, it was interpreted that it would have functioned as a ritual facility related to Ryong (oriental dragon) belief in the 6th to 7th centuries, the first period, and as a garden pond with enhanced landscaping functions in the 8th to 9th centuries, the second period. In addition, it is highly probable that it was the site of Cheongyeongung Palace (青淵宮) and Jochujeong Pavilion (造秋亭) mentioned in the literature records. The "ㄹ"- shaped waterway, a characteristic facility of the first period, was found; however, considering its width and depth, it is insufficient to conclude that it was a simple drainage facility. Rather, it is more likely that it functioned as a passageway for the conceptual entry of Ryong during Ryong rituals. Furthermore, some have suggested that it may have been a ceremony-related Yusang-goksu (流觴曲水) facility. These facilities related to Ryong rituals were reorganized in the second period. Specifically, the nature of the garden pond was changed centered on the landscaping function in connection with the addition of a curved revetment, garden stone, and pavilion buildings, and the dismantlement of the "ㄹ"-shaped waterway and hexagonal building. As for nature, it can be regarded as a royal facility in terms of decorative elements including the ritual function of the first period and the gwimyeonwa (ghost face tiles) of the second period.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upper part of the embankment adjacent to the west side of the site was removed, it is very apparent that the main building wa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mbankment. There would not have been a large-scale building site because it served the functions of ritual and recreation, rather than being the residence of the king.

신라왕경 경주는 신라 천년의 문화와 기술이 집약된 도시이다. 하지만 신라왕경의 조경 유적에 대해서는 동궁과 월지 외에는 관련 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연구가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궁과 월지에 이어 그 전모가 발굴조사로 확인된 구황동 원지의 조영 특성과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경주 구황동 원지는 발굴조사 후 지금까지 궁원지(宮園池)이냐 분황사의 사원지(寺院池)이냐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원지의 특징인 두 시기로 구분되는 유구의 양상으로 볼 때 1차시기인 6~7세기에는 용 신앙과 관련한 제의시설, 2차시기인 8~9세기에는 조경적 기능이 강화된 원지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문헌 기록에 나오는 청연궁(青淵宮)과 조추정(造秋亭)이 있던 자리일 가능성이 높다. 1차시기의 특징적인 시설로 'ㄹ'자형 수로가 확인되는데 수로의 폭과 깊이로 보아 단순 배수시설로 보기에는 부족하며, 용 제의와 관련하여 관념상 용이 들어오는 통로로 여겨진다. 나아가 의례와 관련한 유상곡수(流觴曲水) 시설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용 제의 관련 시설이 2차시기가 되면서 개편되는데 굴곡진 호안, 정원석, 누정 건물의 등장과 'ㄹ'자형 수로, 육각형 건물의 폐기 등과 관련하여 경관 기능 중심의 원지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성격과 관련하여서는 1차시기의 제의기능과 2차시기의 귀면와를 포함한 의장적 요소로 볼 때 왕실 관련 시설로 볼 수 있다. 원지 서편에 인접한 축대 상부가 삭평된 것으로 볼 때 주 건물지는 축대 상부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왕이 거처하는 이궁이 아닌 제의기능과 유휴기능을 가졌기 때문에 대규모 건물지는 없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려사(高麗史)」
  2. 「삼국사기(三國史記)」
  3. 「삼국유사(三國遺事)」
  4.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5. 「일본서기(日本書紀)」
  6.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7, 「경주 분황사 종합정비계획」.
  7. 경주시.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1, 「경주 구황동원지 종합정비계획」.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1997, 「감은사 발굴조사보고서」, p.84.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04, 「경주 남산 정밀학술조사보고서」, p.826.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08a, 「경주 구황동 황룡사지전시관 건립부지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pp.13, 80, 87, 92, 97, 155, 158, 160, 166, 283, 625, 630, 별지도면.
  1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08b, 「경주 구황동 황룡사전시관 건립부지내 유적 복원정비기초자료집」, pp.280, 338, 399, 401.
  12. 김규원, 2021, 「신라왕경 S1E1지구의 조경 공간 고찰」, 「경주 황룡사지 동편 S1E1지구 정비 및 활용을 위한 학술대회 논문집」,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88.
  13. 김동하, 2021, 「신라 분황사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미」, 「신라왕경의 사찰과 정원」,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223.
  14. 김봉희, 2019, 「최치원 관련 유상곡수 유적과 현황」, 「加羅文化」, Vol.29, p.5.
  15. 김현희, 2013, 「신라우물 조사 현황」, 「신라우물 성격과 활용방안」,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p.63~64.
  16. 김형석, 2022, 「新羅王京 造景 遺蹟의 造營 特性」,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노재현, 2018, 「강진 백운동 별서 유상곡수의 형태와 기능 고찰 -한중 유상곡수 디자인의 특성비교를 통하여-」, 「강진 백운동 원림 학술 심포지엄」, pp.61~88.
  18. 박윤정, 2007, 「한일 고대 원지의 변화를 통해 본 구황동 원지의 성격 연구」, 「한일문화재논집」, Vol.1, pp.88~133.
  19. 안계복, 2021, 「통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신라왕경 연못」, 「신라왕경의 사찰과 정원」,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p.122~183.
  20. 양정석, 2021, 「신라 왕경의 변천 속 분황사와 구황동 원지」, 「신라왕경의 사찰과 정원」,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p.258~279.
  21. 오승연, 2003, 「한국 고대 궁원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승연, 2004, 「한국 고대 궁원지의 전개양상과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문화재」, Vol.37, pp.65~87. https://doi.org/10.22755/KJCHS.2004.37.65
  23. 오승연, 2011, 「新羅의 宮苑池 -九皇洞苑池의 性格을 중심으로」, 「백제연구」, Vol.53, pp.57~87.
  24. 이근직, 2013, 「신라에서 경주까지」, 학연문화사, pp.29, 77, 105.
  25. 정구복.노중국.신동하.김태식.권덕영 번역, 2012, 「역주 삼국사기 2」,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pp.84, 681, 686.
  26. 최광식, 2021a, 「신라 王京의 寺刹과 園池 유적의 역사적 의미 -芬皇寺와 九皇洞 원지 유적을 중심으로-」, 「신라왕경의 사찰과 정원」, 신라문화유산연구원, pp.8~35.
  27. 최광식, 2021b, 「분황사와 구황동 원지 유적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 「先史와 古代」, Vol.67, p.229.
  28. 최광식.박대재 역주, 2014, 「삼국유사 1」, 고려대학교출판부, pp.318, 471.
  29. 네이버지도, map.naver.com(접속일: 2022.04.18.)
  30. 한국고전종합DB, db.itkc.or.kr(접속일: 2022.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