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Systems and Landscapes in Traditional Chinese Seowons

중국 전통서원의 수체계와 수경관의 구성적 특성

  • MA, Shuxiao (School of Architecture and Art, Hebei University of Engineering) ;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마서효 (중국 하북공정대학(河北工程大學) 건축 및 예술학과) ;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22.06.02
  • Accepted : 2022.08.16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seowons and to obtain dat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scapes unique to Korean seow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from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location, water system,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10 representative traditional seowons in China including Yuelu Seowon(嶽麓書院)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observation is as follows. The water system of Chinese seowons is dualized into an inner and an outer water system, and in general, two and a maximum of three water bodies are superimposed on the outside. The locations of seowons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Four double-sided round water type sites, three converted face water type sites, one three-sided round water type site, a four-sided round water type, and a waterproofing type(依山傍水型). Therefore, compared to the typical Korean seowon facing water in the front and a mountain in the back(背山面水型), the Chinese seowons showed a highly hydrophilic property. The water shapes of the external water system were meandering(46.0%), mooring(36.0%), and broad and irregular(9.0%). In addition, water conception(水態) were streams(31.8%), rivers(27.3%), springs(13.6%), falls(9.1%), lakes(4.5%) and ponds(4.5%), in that order. As for waterscapes of the water system inside the seowon, there were seven in Akrok Seowon and four in Mansong Seowon, indicating a comparatively higher number of waterscapes. Since the 27 detailed waterscapes in 10 seowons that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including ponds and half-moon ponds, they appeared to be more diverse than the Korean seowon.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interior waterscape of the traditional Chinese seowon, the ritualistic order, where at least one half-moon pond or square pond(方池) was arranged, is well displayed. In particular, the half-moon pond(伴池),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Korean seowon, was found to be a representative waterscape element, accounting for 42.8%. If the square pond of Nanxi Seowon based on Zhu Xi's poem 「Gwanseoyugam(觀書有感)」 is also treated as a square-shaped half-moon pond, the proportion of half-moon ponds in the waterscape will be as high as 50%. The pond shapes consisted of 28% square, 24% each for free curve and round shape, 20% for semi-moon shape, and 3.8% for mountain stream type. This seems to differ greatly from the square-shaped Korean seow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 total of 10 types of structures related to the waterscape inside the Chinese seowon: 11(26.8%) pavilion and bridge sites, five gate room sites(牌坊: 16.5%), four gate and tower sites(樓, 1.4%), two Jae sites(齋, 6.2%), and one site each(3.1%) of Heon(軒), Sa(祠), Dae(臺), and Gak(閣). In particular, the pavilions inside seow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andscape pavilion(景觀亭 27.2%), tombstone pavilion(碑亭, 18.2%), and banquet pavilion(宴集亭, 54.5%). In general, it was confirmed that the half-moon pond with a pedestal bridge, and the pavilion were the major components with a high degree of connection that dominate the waterscape inside the Chinese seowon.

본 연구는 중국 서원의 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서원 고유의 수경관 특성을 준거할 수 있는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문헌조사와 현장 관찰조사를 바탕으로 악록서원을 비롯한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 서원 10개소의 입지와 내·외부의 수체계 그리고 수경관의 연출 특성을 조사 분석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 서원의 수체계는 내부와 외부 수체계로 이원화되며 보편적으로 외부에 2개, 최다 3개의 수체가 중첩된 양상을 보였다. 외부 수체계에 입각한 서원의 입지유형은 양면환수형 4개소, 환산면수형 3개소 그리고 삼면환수형, 사면환수형, 의산방수형이 각각 1개소 등 총 5개 유형으로 분류됨에 따라, 배산면수형(일명 배산임수형)의 전형을 보이는 한국 서원과 비교할 때, 매우 적극적인 친수성을 보였다. 외부 수체계의 수형(水形)은 곡류형(46.0%), 계류형(36.0%), 광형(廣形)과 부정형(각 9.0%)으로 구분되었으며 수태(水態)는 계(溪, 31.8%), 강(江, 27.3%), 샘과 우물(泉·井, 13.6%), 폭(瀑, 9.1%), 호(湖, 4.5%) 그리고 지(池, 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원 내부 수체계 상의 수경관은 악록서원에서 7개소, 만송서원에서 4개소 순으로 상대적 수경관의 수가 많았다. 조사대상 10개 서원에서는 확인된 총 27곳의 세부 수경관은 지당(池塘)과 반지(伴池)를 포함하여 총 6개 유형으로 분류됨으로써 한국 서원보다 다양성이 매우 높았다. 주목할 만한 것은 중국 전통 서원의 내부 수경관에는 최소한 반지나 방당(方塘)이 1개소 이상 연출되는 예제적 질서가 잘 드러났다. 특히 한국 서원에서는 보기 어려운 반지는 42.8%를 차지하여 중국 서원의 대표적인 수경관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주희의 「관서유감」 시에 근거한 남계서원의 방당 또한 방형의 반지로 취급한다면 수경관에서 차지하는 반지의 비중은 거의 50%에 육박한다. 지당의 형태는 방형(28%), 자유곡선형과 원형(각 24%), 반월형(20%), 계류형(3.8%)로 구성되었는 바, 이는 방형 일색의 한국 서원과는 매우 다른 특성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서원의 내부 수경관 관련 조형물은 정(亭)과 교(橋) 11개소(26.8%), 방(坊) 5개소(16.5%), 문(門)과 누(樓) 4개소(1.4%), 재(齋)가 2개소(6.2%) 그리고 헌(軒)·사(祠)·대(臺)·각(閣)이 각 1개소(3.1%) 등 총 10개 유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서원 내부의 정자는 경관정(景觀亭 27.2%), 비정(碑亭, 18.2%), 연집정(宴集亭, 54.5%) 등 3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전반적으로 정자, 반교를 갖는 반지 그리고 패방은 중국 서원 내부 수경관을 지배하는 연계성 높은 주요 구성요소임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2012, 「조선시대 충청지방 읍치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5.
  2. 김덕현, 2011, 「한국 서원의 입지와 경관에 대한 독해」, 「한국서원학보」 제1집, pp.9~46.
  3. 김천민, 2020, 「한.중 서원건축의 배치형식에 관한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노재현.신상섭, 2009, 「치(置)와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짜임」, 「한국조경학회지」 37(4), pp.72~85.
  5. 마서효, 2022, 「중.한 서원 수경관의 구성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송미영, 2008, 「중.한 서원교육의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이상호, 2014, 「한국서원의 입지와 경관에 대한 해석적 연구: 루.정이 있는 서원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수환, 2010, 「조선조 영남과 청대 산동의 서원 비교 연구」, 「민족문화논총」 46(1), pp.225~246.
  9. 이호, 2012, 「한.중 서원건축의 비교연구: 악록.백록동.도산.병산서원에 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낙찬.김홍화, 2005, 「한.중 초기서원 교육 비교」, 「비교교육연구」 15(3), pp.1~28.
  11. 정우진.염소지.심우경, 2011,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4), pp.182~197. https://doi.org/10.14700/KITLA.2011.29.4.182
  12. 조인철, 2019, 「한국 소수서원과 중국 백록동서원의 비교고찰: 건립배경과 자연환경의 풍수적 특성을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50, pp.157~196.
  13. 허태호, 2021, 「조선시대 향교와 서원의 공간구성과 풍수입지에 관한 연구: 지역별 주요 향교와 서원을 중심으로」, 서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明)李安仁 等撰, 2009, 「石鼓書院志」, 長沙: 嶽麓書社.
  15. (清)紀昀等, 1999, 「清欽定四庫全書」,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6. (清)李元度, 2013, 「南嶽誌」, 長沙: 嶽麓書社, p.20.
  17. (清)吳兆熙.張先掄, 2011, 「善化縣志」, 長沙: 嶽麓書社.
  18. (清)趙寧 等修撰, 鄧洪波 等點校, 2012, 「嶽麓書院志」, 長沙: 嶽麓書社, p.74.
  19. (淸)陳夢雷著, 「古今圖書集成.職方典」, 157卷.
  20. (漢)劉熙, 2016, 「釋名」, 北京: 中華書局出版社.
  21. 薑露潔, 2019, 江西傳統書院園林調查研究, 江西農業大學 碩士學位論文, pp.42, 54.
  22. 江西省鉛山縣地方志編纂委員會辦公室編, 1994, 「鵝湖書院志」, 合肥: 黃山書社.
  23. 薑亞沙.經莉.陳湛琦, 2005, 「中國書院誌」第9冊.北京: 全國圖書館文獻縮微複制中心, p.44.
  24. 薑程, 2020, 中.韓 書院 立地 及 空間構成의 比較硏究,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高立人, 2008, 「白鷺洲書院志」, 南昌: 江西人民出版社, pp.10, 54.
  26. 高崧.韓冬青.歐陽之曦, 王正, 2011, 白鹿洞與嶽麓-兩個南方古典書院的形態解析與比較, 建築與文化 11: pp.90~93.
  27. 郭建衡.郭幸君, 2014, 「石鼓書院」, 湖南:湖南大學出版社, p.77.
  28. 宮嵩濤, 2014, 「嵩陽書院」, 長沙: 湖南大學出版社, p.27.
  29. 金銀珍, 2007, 中韓書院比較考察, 南平師專學報 26(1), pp.115~117.
  30. 鄧洪波, 2012, 「中國書院史」, 武漢: 武漢大學出版社.
  31. 李雨薇.柳肅, 2013, 寧波保國寺大殿建成1000周年學術研討會暨中國建築史學分會 2013年會論文集, pp.1~6.
  32. 馬時雍, 2003, 「萬松書院」, 杭州: 杭州出版社, p.10.
  33. 方舒麗, 2015, 浙江傳統書院的園林環境研究, 浙江農林大學 碩士學位論文.
  34. 楊慎初, 2002, 「中國書院文化與建築」, 武漢: 湖北教育出版社, p.108.
  35. 楊慎初, 2003, 「嶽麓書院建築與文化」, 長沙: 湖南科學技術出版社, p.66.
  36. 楊慎初主編, 2001, 「中國建築藝術全集10」. 北京: 中國建築工業出版社, p.4.
  37. 於友先, 1988, 「中國大百科全書-建築 園林 城市規劃」 北京: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38. 於曉明, 2016, 明清時期江南書院之景觀研究. 華東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p.26.
  39. 王立斌, 2013, 「鵝湖書院志」, 長沙: 湖南大學出版社,p.124.
  40. 王鵬.趙鳴, 2016, 中國古代書院園林變遷考略, 古建園林技術 12, pp.20~24.
  41. 王舒.王應臨, 2019, 中國傳統書院園林空間特征及變遷因素研究, 中國風景園林學會2019年會論文集, pp.259~266.
  42. 一方, 2006, 「至聖嶽麓」, 北京: 中國檔案出版社.
  43. 任勤紅.安得洙, 2017, 中國白鹿洞書院與韓國紹修書院環境營造與園林意匠比較研究, 中國園林 第5期, pp.117~122.
  44. 張亞祥.劉磊, 2001, 泮池考論, 古建園林技術 2, pp.36~39.
  45. 張倩楠.劉彤彤, 2014, 觀生意-宋代理學視角下的中國古典園林創作, 建築與文化 5, pp.89~90.
  46. 張夏菲, 2016, 浙江書院現狀調查及景觀營造研究, 浙江大學 碩士學位論文, p.116.
  47. 趙所生.薛正興, 1995, 「中國曆代書院誌」, 南京: 江蘇教育出版社, 第1冊 p.154.第9冊 p.216.第10冊, pp.325, 723.
  48. 朱鈞珍, 2003, 「園林理水藝術」, 北京: 中國林業出版社, p.2.
  49. 周鑾書 主編, 2003, 「千年學府-白鹿洞書院」, 南昌: 江西人民出版社.
  50. 中文大辭典編纂委員會(1966), 「中文大辭典」中國台北: 中國文化研究所.
  51. 陳昱君, 2017, 曆史文獻中的嶽麓書院格局演變研究, 湖南大學 碩士學位論文, pp.13~46.
  52. 鄒裕波, 2011, 中國傳統書院景觀設計淺析, 清華大學 碩士學位論文, p.24
  53. Dilthey, Wilhelm, 1989, Introduction to the human sciences edited, with an introduction, by Rudolf A. Makkreel and Frithjof Rodi.,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22.
  54. http://circ.kookmin.ac.kr/xe2010/circ(최은진, 2010, 현대 중국의 서원. 중국 현대를 읽는 키워드 100.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55. https://image.baidu.com
  56. https://so.gushiwen.cn/guwen/bookv_46653FD803893E4F198F5D5C62F2A955.aspx(중국 古詩文網)
  57. https://www.google.com/maps(구글 지도)(2016). 浙江書院現狀調查及景觀營造研究 p.90.
  58. https://www.meipian.cn/2hygnhsl
  59. https://www.vjshi.com/watch/499403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