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Techniques of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백제 한성기 토성의 축조기술

  • Received : 2022.03.29
  • Accepted : 2022.05.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which has been researched most frequently among the Three Kingdoms.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reviewed and dividing into 'selection of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ase', 'construction of the wall', and 'finish, extension and repair'.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techniques were mobilized for building these earthen fortifications. Techniques which were adequate for the topography were utilized for reinforcing the base, and several other techniques were used for constructing the wall. In particular, techniques for wall construction may be clearly divided into those of the fill(盛土) and panchuk(版築) techniques. The fill method has been assumed since the 2000s to have been more efficient than the panchuk technique. This method never uses the structure of the panchuk technique and is characterized by a complex soil layer line, an alternate fill, use of 'earth mound(土堤)'/'clay clod(土塊)', and junctions of oval fill units. The fill method allows us to understand active technological sharing and application among the embankment structures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panchuk technique is used to construct a wall using a stamped earthen structure. This technique is divided into types B1 and B2 according to the height, scale, and extension method of the structure. Type B1 precedes B2, which was introduced in the late Hanseong Period. Staring with the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 in Seoul, the panchuk technique seems to have spread throughout South Korea. The techniques of the fill and panchuk techniques coexisted at the time when they appeared, but panchuk earthen fortifications gradually dominated. Both techniques have completely different methods for the soil layers, and they have opposite orders of construction.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both have different technical systems.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began from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and were handed down and developed until the Woongjin-Sabi Periods. In the process, it seems that there existed active interactions with other nations. Recently, since studies of the earthen fortifications have been increasing mainly in the southern areas, it is expected that comparative analysi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ill be done intensively.

이 글은 삼국시대 토성 가운데 가장 많은 조사가 이루어진 백제 한성기 토성을 대상으로 축조기술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토성의 축조공정을 '입지선정과 기저부 조성', '체성 축조', '공정의 마무리와 증축 및 보수'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백제 한성기 토성의 축조에는 다양한 기술이 동원되었음이 분명하게 확인된다. 지형조건에 따라 알맞은 기초보강기술이 적용되었으며, 본격적인 체성의 축조에도 여러 가지 기술을 활용하였다. 특히 체성축조 기술의 경우 성토기법과 판축기법으로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성토기법(A식)은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인식된 기술로, 판축에 비해 고식적인 기술로 추정된다. 판축구조물을 사용하지 않은 기술로, 복잡한 토층선, 교호성토 방식, 토제 및 토괴 활용, 타원형 성토단위의 연접 등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성토기법은 삼국시대 성토구조물 사이의 적극적인 기술 공유와 응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판축기법(B식)은 판축구조물을 이용하여 성벽을 구축하는 기술로, 판축구조물의 높이와 규모, 확장방식을 기준으로 B1식과 B2식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B1식이 선행하며, 한성기 말기에 B2식이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판축기법은 서울 풍납토성을 시작으로 하여 남한지역 각지로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토기법과 판축기법은 등장시점부터 공존하였으며, 점차 판축토성 위주로 변화하였다. 성토기법과 판축기법은 토층 양상이 판이하며 축조 순서 또한 정반대이다. 따라서 양자는 기술 계통이 서로 달랐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한성기부터 시작된 토성의 축조기술은 웅진·사비기에도 계승 및 발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는 다른 국가와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있었을 것이다. 최근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토성 조사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백제를 포함한 주변 국가와의 비교·분석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영, 2012a, 「오산천~황구지천 유역의 마한.백제 유적과 그 의미」, 「오산천.황구지천 유역 발굴조사의 최신 성과와 마한.백제」 (재)중앙문화재연구원.한신대학교박물관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 권오영, 2012b, 「고대 성토구조물의 재료에 대한 재인식」, 「백제와 주변세계」, 성주탁 교수 추모논총 간행위원회.
  3. 高龍圭, 2001, 「韓國南部地域 版築土城의 硏究」, 「古文化」 58,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 김도훈, 2019, 「風納土城 築造技法에 대한 소고」, 「단군학연구」 제40집, 단군학회.
  5. 김대영, 2017, 「百濟 熊津城 城郭 築造過程에 대한 硏究」, 「先史와 古代」 第52號, 한국고대학회.
  6. 金武重.李厚錫.李奕熙, 2012, 「華城 吉城里土城의 構造와 性格 -華城 鄕南 料里 270-7番地 發掘調査 成果를 中心으로-」, 「백제와 주변세계」, 성주탁 교수 추모논총 간행위원회편, 진인진.
  7. 김봉근, 2018, 「판축 목주와 영정주의 비교 고찰」,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30주년 기념 학술회의」,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8. 金峰槿, 2020, 「中国古代土城筑培技朮研究」, 北京大学 博士研究生学位论文.
  9. 김봉근, 2021, 「중국 동북지역 청동기시대 토성의 현황과 과제」, 「고조선단군학」 제44집, 고조선단군학회.
  10. 김진만, 2012, 「함안 성산산성 축조기법의 토목공학적 연구」, 「함안 성산산성 고대환경복원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11. 김진영, 2017, 「안성 도기동산성의 발굴성과와 성벽구조에 대한 소고」, 「高句麗渤海硏究」 第58輯, 고구려발해학회.
  12. 金容民, 1997, 「扶蘇山城의 城壁築造技法 및 變遷에 대한 考察」, 「韓國上古史學報」 26, 韓國上古史學會.
  13. 金虎俊, 2013, 「美湖川 中上流의 百濟土城 現況과 特徵」, 「百濟學報」 10, 百濟學會.
  14. 羅東旭, 1996, 「慶南地域의 土城硏究 -基壇石築型 版築土城을 中心으로-」, 「博物館硏究論集」 5, 釜山廣域市立博物館.
  15. 朴淳發, 2010, 「益山 王宮里 遺蹟 宮墻과 神籠石 山城의 起源」, 「百濟硏究」 5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6. 박순발, 2018, 「한반도 城의 출현과 전개 -백제를 중심으로-」, 「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 -가야 왕성을 탐구하다-」(제24회 가야사국제학술회의),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17. 박순발, 2021, 「풍납토성 축성의 의의(意義)」, 「풍납토성 축성기술의 비밀을 풀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18. 朴重均, 2014, 「忠北地域 百濟 初期 山城의 類型」, 「韓國城郭學報」 26, 韓國城郭學會.
  19. 박중균, 2017, 「한성백제 성곽유적의 최근 발굴성과와 과제」, 「서울지역 고중세 성곽유적에 대한 주요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제60회 전국역사학대회 고고학부 자료집, 전국역사학대회협의회.
  20. 박중균, 2019a, 「한성기의 백제산성」, 「백제의 산성」 2019 가을 특별전시회 도록, 한성백제박물관.
  21. 朴重均, 2019b, 「정북동토성의 성벽 축조기법과 축조시기 검토」, 「百濟學報」 27, 百濟學會.
  22. 박중균, 2021, 「풍납토성의 성벽 축조기법 및 축조시기 검토」, 「고고학」 제20권 제3호, 중부고고학회.
  23. 朴泰祐, 2007, 「百濟 泗沘羅城 構造에 대한 檢討」, 「湖西考古學」 16, 湖西考古學會.
  24. 成周鐸, 1988, 「百濟都城築造의 發達過程에 대한 硏究」, 「百濟硏究」 1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5. 成懸華, 2021, 「百濟 泗沘城壁의 築造樣相과 意義」, 忠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6. 孫在賢, 2015, 「韓國 古代 盛土構造物에서 土塊의 사용과 그 의미」,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申熙權, 2001, 「風納土城의 축조기법과 그 성격에 대하여」, 「風納土城의 發掘과 그 成果」, 한밭대학교 개교 제 74주년기념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밭大學校 鄕土文化硏究所.
  28. 申熙權, 2008, 「中韓 古代 築城方法 比較 檢討 -西山城址와 風納土城의 비교를 중심으로-」, 「湖西考古學」 18, 湖西考古學會.
  29. 신희권, 2014, 「삼국시대 토축 구조물의 부엽법(敷葉法) 연구」, 「白山學報」 第98號, 白山學會.
  30. 심광주, 2007, 「중부 내륙지역 고대산성의 성격과 특성」, 「한반도 중부내륙 옛 산성군 UNESCO 세계문화유산등재대상 선정 학술대회 발표집」, 한국성곽학회.
  31. 심광주, 2018, 「임진강 유역 삼국의 성곽과 관방체계」, 「임진강 유역, 분단과 평화의 고고학」 2018 경기문화재연구원.중부고고학회 학술대회.
  32. 심광주, 2020, 「가야 성곽으로 본 토목 기술」, 「가야인의 技術」,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개소 30주념 기념 학술심포지엄.
  33. 심상육.이명호.김태익.김선옥, 2014, 「부여나성 동나성 2문지 발굴조사의 의의」, 「百濟文化」 5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34. 심규훈, 2016, 「백제성곽의 축조기법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沈正輔, 2003, 「風納土城의 築造技法과 性格에 대한 考察」, 「文物硏究」 7,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36. 안성현, 2016, 「남한지역 토성벽에 잔존하는 석축부에 대한 연구」, 「야외고고학」 25, 한국매장문화재협회.
  37. 安城賢, 2020, 「慶南地域 古代 城郭의 考古學的 硏究」, 창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尹武炳, 1982, 「扶蘇山城 城壁調査」, 「韓國考古學報」 13輯, 韓國考古學會.
  39. 이보람, 2019, 「서울 풍납동 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유적」, 「2019년 중부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 성과」, 중부고고학회.
  40. 이성준.김명진.나혜림, 2013,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韓國考古學報」 88, 韓國考古學會.
  41. 李奕熙, 2013a, 「漢城百濟期 土城의 築造技法」, 한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혁희, 2013b,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보」 89, 한국고고학회.
  43. 李奕熙, 2014, 「鎭安 臥亭土城의 構造와 性格 再檢討」, 「湖西考古學」 31, 호서고고학회.
  44. 이혁희, 2016a, 「백제 토성 축조기법의 특징과 변천」, 「유리건판으로 보는 백제의 성곽」, 국립중앙박물관.
  45. 이혁희, 2016b, 「VI.고찰 1. 조사구역 성벽의 축조 양상」, 「몽촌토성II- 2014년 몽촌토성 북서벽 구 목책 설치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한성백제박물관.
  46. 이혁희, 2017, 「홍성 신금성의 구조와 성격 재검토」, 「야외고고학」 30, 한국매장문화재협회.
  47. 李奕熙, 2018, 「百濟土城의 築造技術 檢討」, 「水利.土木考古學의 現況과 課題II」, 우리문화재연구원.
  48. 이혁희, 2019a, 「백제의 토성과 함안 가야리토성의 비교」, 「아라가야의 전환기, 4세기」, 도서출판 선인.
  49. 이혁희, 2019b, 「백제 한성기 도성지역의 토지활용과 경관의 변화 -마한 백제국에서 고구려 점령기까지-」, 「韓國考古學報」 111, 韓國考古學會.
  50. 李奕熙, 2020, 「서울 夢村土城 築造技術의 豫備的 考察」, 「柳本照男さん古稀記念論集 -忘年之交の考古學-」, 柳本照男さん古稀記念論集刊行會.
  51. 이현숙, 2018, 「백제 웅진성의 조사성과와 웅진왕도의 경관」, 「百濟文化」 第59輯,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52. 이현숙.천승현, 2020, 「공주 공산성(사적 제12호) 왕궁지 연결도로 발굴조사 성과」, 「백제 유적의 최신 조사 및 연구 성과」 2019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우수연구소) 학술심포지움,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53. 이홍종, 2015,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고고학」 14-1호, 중부고고학회.
  54. 장기명.최문정.박정재, 2022, 「신라 월성 서성벽의 축조 공정과 인신공희」, 「嶺南考古學」 제92호, 嶺南考古學會.
  55. 車勇杰, 1988, 「百濟의 築城技法 -版築土壘의 調査를 중심으로-」, 「百濟硏究」 1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56. 최경규, 2019, 「아라가야 토목구조물의 기술적 특징과 그 의미」, 「문물연구」 36, 동아문화재단.
  57. 崔種圭, 2007, 「風納土城의 축조기법」, 「風納土城 500년 백제왕도의 비젼과 과제」, 풍납토성 발굴 10주년 기념 제16회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발표요지, 국립문화재연구소.
  58. 풍납토성발굴조사단, 2021, 「2021년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조사 성과」, 「풍납토성 축성기술의 비밀을 풀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59. 한병길, 2003, 「충청지역 백제토성의 축조양상」, 「先史와 古代」 19, 韓國古代學會.
  60. 小山田宏一, 2009, 「天然材料を用いた土構造物の補講と保護」, 「狹山池博物館硏究報告」 6, 大阪府立狹山池博物館.
  61. 小山田宏一, 2018, 「古代日韓補强土工法の俯瞰的整理」, 「纏向學硏究」 第6号, 纏向學硏究センタ-硏究紀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