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nservation for Earthenware Horn Cups with a Horse Head Decoration(Treasure)

보물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의 제작 기법 연구와 보존처리

  • KWON, Ohyo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M, Chulhe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U, Jia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Hanseul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Changyuel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 권오영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함철희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유지아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김한슬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박창열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Received : 2021.09.29
  • Accepted : 2021.10.29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Earthenware horn cups with horse head decorations were excavated from Tomb No. 7 of Bokcheon-dong, Dongraegu, Busan Metropolitan City. Made of earth in the shape of a horn, these cups are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to drink alcohol or beverage. Large numbers of earthenware horn cups of various shapes were excavated from tombs located in the old territories of Silla and Gaya. A pair of earthenware horn cups were excavated from Tomb No. 7, and the two cups are almost identical in overall shape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despite different sizes.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for the bigger one of the two horn cups this time. There are two cracks toward the horse head decorations around the mouth with missing parts observed. The chest of the horse touches the ground with one side decorating the horse head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conical mouth of the horn cup. It is in the U shape, striking a balance based on two legs attached behind. The surface of the horn cup was made with a potter's wheel, and the connection to the horse head has traces of cutting and trimming. The horse head is expressed realistically with its features including the ears, eyes, nose, and mouth well apprehended and its color is grey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artifact by examining its internal structure through the condition survey in a non-destructive way. CT imaging was used to figure out its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o diagnose its condition, and accordingly the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to stabilize the artifact. The precise diagnosis on conservation condition found that there are two chips in the spout with their cracks extended. One of the chips is connected with separation added to the crack. The material which has been used for connection in the past was collected for the infrared spectroscopic analysis, which was identified to be nitrocellulose resin for the connection. Therefore, this conservation treatment focused on removing the old material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cracks. Before conservation treatment, the condition survey and scientific examination for the artifact were carried out to secure data about the earthenware horn cup with horse head decorations(Treasure). Based on them, effective plans for its conservation treatment was sought for and then existing adhesive was safely removed, and restoration material was selected to take into account its reversibility. In additi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according to optimal methodologies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sultation meeting with experts.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제7호 무덤에서 출토되었다. 뿔을 본떠 흙으로 만든 것으로 액체를 담아 사용된 것으로 생각되며 신라·가야 지역의 무덤에서 여러 형태의 뿔잔이 다수 출토되었다. 뿔잔 2점이 한 쌍으로 출토되었으며 크기는 서로 다르지만 전체적인 형태와 제작 기법은 거의 동일하다. 이번 처리를 마친 유물은 발굴된 두 개의 뿔잔 중에 큰 형태에 해당하며 구연부를 중심으로 말머리장식 쪽으로 균열이 두 군데에 있었으며 소실된 편도 관찰되었다. 뿔잔은 말의 가슴을 바닥에 닿게 하고 이를 중심으로 한쪽은 말머리를 장식하고 반대쪽은 원추형의 뿔잔 입구가 있고 뒤쪽에 2개의 다리를 붙여 뿔잔의 균형을 맞춘 U자형의 형태이다. 뿔잔의 표면은 물레로 성형하고 말머리와 연결된 부분은 깎아 다듬은 자국이 있다. 말머리의 형상은 간결하게 귀·눈·코와 입 등 특징을 잘 파악하여 사실적으로 표현했으며 색은 회색이다. 이 연구에서는 비파괴 상태조사를 통하여 내부 구조를 알아보는 등 제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C·T영상을 통하여 제작 기법을 알아보고 상태를 진단하여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해 유물을 안정화 하였다. 보존상태 정밀진단 결과, 구연 두 곳에 결손부분이 있고 균열이 연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중 한 곳은 균열에 이격이 더해진 상태로 접합이 된 상태였다. 과거 접합이 이루어진 재료를 수습하여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질산셀룰로오스계 수지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보존처리는 과거의 재료를 제거하고 균열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상태조사 및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여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보존처리 방안 모색, 기존 접착제의 안전한 제거 및 복원 재료의 가역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보존처리는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최상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4, 「도자기.유리 보존처리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pp.75~83.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문화재보존처리접착제」, 국립문화재연구소, pp.149~155.
  3.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8, 「보존처리 지침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pp.33~65.
  4. 권오영.박영환.이장존.박창열.이선명, 2019, 「보물 제597호 토기 융기문발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고문화」93, pp.169~174.
  5. 동아대학교박물관, 2010, 「국보.보물」, 동아대학교박물관, p.25.
  6. 동아대학교박물관, 2014,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개교 68주년 기념특별전」, 「동아의 국보.보물」, 동아대학교박물관, p.112.
  7. 문화재청, 2014,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 도자기」, 문화재청, pp.26~29.
  8. 안병찬.홍종욱, 2006, 「남북공동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실태 보고서1」, 국립문화재연구소.남북역사학자협의회.
  9. 이선명.권오영.박종서.한우림, 2019, 「국보 제326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의 과학적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35(5), p.459.
  10. Koob, S.P., 1996, "Using Acryloid B-72 for the Repair of Archaeological Ceramics." Conservation Notes 21, May 1996, Materials Conservation Laboratory, Texas Memorial Museum.
  11. Noake, E., Lau D., Nel, P., 2017, 'Identification of cellulose nitrate based adhesive repairs in archaeological pottery of the University of Melbourne's Middle Eastern archaeological pottery collection using portable FTIR-ATR spectroscopy and PCA', Heritage Science 5(3), p.5. https://doi.org/10.1186/s40494-017-01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