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nalysis for attributes of OUV of the capital of Shilla Kingdom

세계유산 신라왕경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속성 분석

  • KIM, Euiyeo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21.09.30
  • Accepted : 2022.02.04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According to the "Special Act on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re Relics of the Shilla Kingdom" enacted in 2019, the Shilla Kingdom refers to the capital of Shilla and Unified Shilla period, and refers to Gyeongju, where the king lived, and the nearby area. Shilla Wanggyeong is a heritage register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00 under the name of Gyeongju Historic Site and belongs to Wolseong District, Hwangnyongsa District, and Daeneungwon District among the five districts registered as Gyeongju Historic Site. Unlike the Namsan and Sanseong districts, the Shilla Kingdom is a heritage consisting mostly of archaeological sites without physical substance. Gyeongju City sought to promote local tourism while providing more direct experiences to visitors by restoring the heritage that constitutes the Shilla Kingdom. Starting with the restoration of Woljeonggyo Bridge in 2005, the Shilla Wanggyeong restoration project began in earnest. Gyeongju City tried to restore the building site on the west side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after Woljeonggyo Bridge, but it was canceled due to opposition from the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opposed the restoration and recommended a heritage impact assessment for similar projects in the future. During the miscarriage impact assessment procedure, there is an OUV attribute analysis process of the heritage to be evaluated. This study intends to preemptively derive OUV attributes for the Silla Kingdom through literature and overseas case analysis. In the case of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World Heritage Management were examined, and in overseas cases, the architectural works of Krakow Historical District, Stonehenge and Abbury Geoseok Ruins in England, and Le Corbusier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ttributes of the Silla Kingdom were deri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projects of other heritage constituting the Shilla Kingdom or construction plans in nearby areas in the future and serve as an indicator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Shilla Kingdom more effici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eritage.

2019년 제정된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신라왕경은 신라 및 통일신라 시기의 수도를 일컫는 말로서 왕이 거주하고 정치하던 경주 및 그 인근 지역을 말한다. 신라왕경은 경주역사유적지구라는 명칭으로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이며 경주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된 5개 지구 중 월성지구와 황룡사지구, 대릉원지구에 해당한다. 신라왕경은 남산지구나 산성지구와 달리 대부분이 물리적 실체가 없는 고고학 유적(archaeological sites)으로 구성된 유산이다. 경주시는 신라왕경을 구성하는 유산들을 복원하여 관람객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관광을 진흥하고자 하였다. 2005년 월정교 복원을 시작으로 신라왕경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경주시는 월정교 다음으로 동궁과 월지의 서편 건물지를 복원하려 하였으나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복원을 반대하면서 차후 유사한 사업에 대한 유산영향평가를 권고하였다. 유산영향평가 절차 중 평가 대상 유산의 OUV속성 분석과정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신라왕경에 대한 OUV속성 도출을 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선제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문헌연구의 경우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및 세계유산 관리와 관련된 국내·외의 연구자료를 살펴보았고 해외사례는 폴란드 크라쿠프 역사 지구, 영국 스톤헨지와 에이브베리 거석 유적,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라왕경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속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신라왕경을 구성하는 다른 유산의 복원사업 또는 인근 지역의 건설공사 계획 수립 과정에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기존에 수립된 신라왕경의 관리체계를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지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주시청, 2018, 「2017 경주시 관광실태조사 보고서」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20, 「세계유산 보존관리 제도와 경주 월성」, pp.23~26.
  3. 東京文化財研究所, 2019, 「世界文化遺産の遺産影響評価に関する調査研究事業報告書」
  4. 문화재청, 2017,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5. 문화재청, 2019,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p.24, p.38.
  6. 문화재청, 2019, 「세계문화유산을 위한 유산영향평가 지침」, pp.17~24.
  7. Highway England, 2018, A303 Stonehenge Amesbury to Berwick Down Heritage Impact Assessment Scoping Report, pp.23~24.
  8. IUCN, 2008, Outstanding Universal Value: Standards for Natural World Heritage, A Compendium on Standards for inscriptions of Natural Properties on the World Heritage list, p.2.
  9. Kalman, Herold, 2021, Heritage Planning, Routeledge, pp.401~403.
  10. UNESCO, 1977, Operation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11. UNESCO, 1980, Operation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5.
  12. UNESCO, 1998, Report of the World Heritage Global Strategy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xpert Meeting, pp.13~16.
  13. UNESCO, 2005, Operation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14.
  14. UNESCO, 2005, Special Expert Meeting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the Concept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pp.21~29.
  15. UNESCO, 2008, World Heritage Papers 25: World Heritage and Buffer Zones
  16. UNESCO, 2009, WHC-09/33.COM/8E
  17. 김가영, 2016, 「한국 비무장지대(DMZ)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적 가치에 관한 연구 -전쟁.분단 관련 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석사학위 논문
  18. 류성룡, 2016, 「한국의 전통산사 OUV 도출을 위한 공간 특성 연구 - 조선후기 고지도와 건조유물 변화기록을 이용하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53,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19. 박희성, 2019, 「쑤저우 정원의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지」37(1), 한국전통조경학회
  20. 오소미, 2017, 「세계유산 관점에서 본 한옥교회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세계유산학과 석사학위 논문
  21. 우경식 외 2인, 2017, 「한국 다도해갯벌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대한지질학회
  22. 조효상, 2013, 「世界遺産協約의 基礎槪念 硏究 -卓越한 普遍的 價値, 眞正性, 完全性에 關하여-」, 한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 석사학위 논문
  23. 존 허드, 2010, 「세계문화유산도시와 탁월한 보편적 가치 정립의 난관」, 「향토서울」75, 서울역사편찬원
  24. 한아선, 2014, 「낙안읍성의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 논문
  25. 현상규, 2016,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발굴을 위한 해안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월곶.갑곶.오두.초지돈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박사학위 논문
  26. Denyer, Susan, 2011, Retrospective Statements of OUV for World Heritage Properties: Authenticity & Integrity, Workshop for the 2nd Cycle of World Heritage Periodic Reporting for Western Europe, ICOMOS, pp.10~19.
  27. Jokilehto, Jukka, 2008, What is OUV? Defining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Cultural World Heritage Properties, Monuments and Sites, ICOMOS
  28. Ugarte, Katti Osorio, 2012, The Attributes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a World Heritage Property: The case of the Archaeological Site of Panama Viejo and Historic District of Panama, Canto Rodado No.7
  29. Sanjbod, Hannaneh Sobhani, Hermans, Luuk, Rejinders, Daniek & Veldpaus, Loes, 2016, Captain, where can we find the attributes?, The Historic Environment: Policy & Practice 7:2-3, Routeledge
  30.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
  31. 유네스코와 유산 https://heritage.unesco.or.kr
  32. 유네스코 세계유산 홈페이지 https://whc.unesc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