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orld brand strategy using traditional patterns

전통 문양을 활용한 세계의 브랜드 전략 - 기업 브랜드 정체성을 중심으로 -

  • KIM, Mihye (Dept. of Cultural Heritage, Hanseo University Graduate School)
  • 김미혜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 Received : 2021.09.13
  • Accepted : 2022.01.14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Calling the 21th century the age of 'cultural competition' is not an overstatement. In an era of globalization, we try to find the 'identity of our country' in our culture. 'Culture' is the unique ethnicity of the people of each country that reflects the traces of their lives. As the world is transforming into a multi-dimensional place, traditional patterns in reference to cultural uniqueness and original formativeness are the brands that represent the people. France's luxury brand, GOYARD's Y-shaped pattern naturally made during the persistent traditional handmade process is still France's representative corporate brand and is considered prestigious even after 150 years have passed. On the other hand, in low-income countries, patterns created in the natural process of weaving fabrics are succeeded as a unique cultural aesthetic and are lov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Like this, people living in the global multi-dimensional world look to attain the framework 'One Planet Perspective' which is to succeed their own native culture and preserve the unique culture of others.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relief organizations delivering relief supplies to Columbia's "Wayu tribe" due to the water shortage in 2013, a handmade product, "Mochila Bag" was discovered. Triggered by this incident, Europe and Korea decide to import it to support the livelihood of the "Wayu tribe." Also, the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of the traditional culture in minority tribes that have evolved through thousands of years have been listed on UNESCO and preserved worldwide. Likewise, culture doesn't suddenly appear overnight, but rather the brand representing the company is the pattern used in the trend of the era kept for over 100 years. Moreover, patterns that reflect the country's identity are inherited as the unique aesthetic of the culture. Our country does inherit the unique aesthetic of our culture, but doesn't have a 'strong image' that displays the practical value reinterpreted creatively and aesthetically to fit the modern trend. Traditional patterns are important in perspective of study and theoretical research, but the brand's image using those patterns is a new medium from the past existence continuing to the current tradition.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age of a company that uses traditional patterns will have high economical potential as a national brand.

21세기는 '문화경쟁' 시대라고 말해도 과언은 아니다.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날 우리는 '자국의 정체성'을 문화에서 찾으려 한다. '문화'란 그 민족이 살아온 발자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자국민의 독특한 민족성을 말한다. 세계는 하나의 다차원적인 지구로 변해가는 이 시점에서 민족적 고유성과 독창적 조형성을 담은 전통 문양은 자국민을 대표하는 브랜드다. 프랑스의 명품 브랜드 고야드 문양은 수작업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Y자형 패턴을 볼 수 있다. 이 문양은 160년이 지난 오늘날 프랑스를 대표하는 기업 브랜드로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한다. 반면 저소득국가의 경우 직물을 직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문양은 민족적 고유한 미의식으로 계승되어 지구촌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 이처럼 다차원적인 세계를 살아가는 지구촌 사람들은 자국의 문화를 계승하려는 의지와 타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보존하려는 이른바 '지구는 하나라는 시각(One Planet Perspective)' 프레임 워크를 실현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콜롬비아의 '와유 부족'은 2013년 식수난으로 국제 구호기구들이 이들을 찾아가 구호품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핸드메이드 제품인 '모칠라백'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유럽과 한국에서도 이를 수입하여 판매를 결정한 것은 '와유 부족'의 생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또한 소수 부족의 전통문화 속에서 천 년 동안 진화해 온 미적·문화적 가치는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문화란 하루아침'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적어도 100년 이상 지속되면서 그 시대의 트렌드에 적용된 문양은 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다. 또한 나아가 국가 정체성을 반영한 문양은 민족적 고유한 미의식으로 계승되기도 한다. 우리는 민족적 고유한 미의식을 계승하고 있으나 이를 현대적인 추세에 맞게 창의적이고 심미적으로 재해석한 실용적 가치를 보여주는 전통 문양 브랜드는 없다. 이에 본연구는 세계의 문양 브랜드 전략을 파악하고 한국 기업 브랜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동해, 2017, 「문화상품 기획 및 제작 작품집」, 한서대학교 문화산업융성, 디지털 인재 양성 사업단, p.1.
  2. Aaker, Jennifer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ech, 34(August), pp.347~356. https://doi.org/10.1177/002224379703400304
  3. Alexandar L Biel, 1993, 「"Converting image into Equity", Brand Equity & Advertising's Role in Bui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67~70.
  4. Fetscherin. M, 2010, 「The determinants and measurement of a country brand: the country brand strength index.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pp.466~479.
  5. Pappu, R., & Quester, P, 2010, 「Coutry equity: 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evidence.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pp.276~291.
  6. C. Sautter, 「Le Prix de La Puissance, Paris, Le Seuil」(1973), and 「Les Dents duwGeant, Paris, Olivier Orban」(1987). 사이몬 안홀트 지음, 김유경 옮김, 「국가 브랜드 국가 이미지」, p.169 재인용.
  7. 김병옥, 2007, 「감성구조화를 통한 브랜드 디자인의 공감각적 표현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20.
  8. 김영식, 2010, 「국가 브랜드 구축을 위한 브랜드 문양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37~38.
  9. 사이몬 안홀트 지음, 김유경 옮김, 「국가 브랜드 국가 이미지」, p.169.
  10. 강정석, 2013, 「해외PR 및 국가 브랜드 제고를 위한 전략목표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행정학연구원, p.20.
  11. 김선영,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Dep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Vol.21 No.2, pp.151~166. https://doi.org/10.29049/rjcc.2013.21.2.151
  12.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시장조사처, 2000, 「21세기 신산업, 문화를 수출한다」, p.4.
  13. 문광희, 2012, 「한패션 사업의 전개와 글로벌화 전략」, 「동양예술」제20호, p.416.
  14. 선명규, 2012, 「중국 문화산업의 현황과 전망」,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중국학부 교수.
  15. https://ko.wikipedia.org/wiki/버버리
  16. https://www.joongang.co.kr/
  17. https://www.edaily.co.kr/news
  18. https://aithe.tistory.com/9
  19.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
  20. https://namu.wiki/w/가몬(일본)
  21. https://blog.naver.com/imhjson/
  22. https://www.bing.com/images/search
  23. 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ellow
  2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
  25. http://korean.china.org.cn/2021-05/1, 글/샹융(向勇), 베이징(北京)대학교 예술학원 교수, 문화산업연구원 부원장
  26. https://heritage.unesco.or.kr/투르크메니스탄의 -카펫제작-공예/
  27. https://md2biz.tistory.com/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