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 of corporate working environment on job enthusiasm

기업의 근로 환경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Ryu, Sung-Yong (Soon chun hyang University Creative Life College) ;
  • Lim, Sang-Ho (Soon chun hyang University Creative Life College)
  • 유성용 (순천향대학교 창의라이프대학) ;
  • 임상호 (순천향대학교 창의라이프대학)
  • Received : 2022.09.27
  • Accepted : 2022.10.14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This study is a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corporate working environment on job enthusiasm. Based on the 6th work environment survey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1 among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ome 44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had on job enthusia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ith a β value of .307.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enthusias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employment type and income level. The significance probabilities were .028 and .012, respective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mporary workers and daily workers in employment type. was analyzed to exist.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However, in Satisfied, 148 men and 181 women, out of a total of 329 respondents, 45% male and 55% female in satisfaction. could know a little mor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resources so that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n demonstrate their abilities by creating a working environment that workers can be satisfied with.

본 연구는 기업의 근로 환경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로서 통계청 자료 중 2020년~2021년에 시행되었던 6차 근로환경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 중 일부 440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 환경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업무만족은 β값 .3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열의는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의확률은 각 .028, .012로 나타났으며, 고용형태에서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소득수준은 200만원 미만과 300만원 미만이 직무열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성별과 근로환경만족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한다에서는 남자 148명, 여자 181명으로 총 329명의 응답자 중 만족한다에서 남자가 45%, 여자가 55% 비율로 남자 보다 여자가 조금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근무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근로환경 조성으로 조직구성원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와 자원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근로환경을 바탕으로 직무 열의에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밝히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주(2020), "노동환경변화와 근로시간 관련법 제도의 개선방안",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박정운(2014), "근무환경과 개인성격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연구개발 인력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이재관(2019), "근무환경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 세종시로 이전한 중앙부처 공무원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윤소겸(2021), "국내 기업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박성주(2020), "노동환경변화와 근로시간 관련법 제도의 개선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설상수(2022), "조직 내 주도적 업무여건이 근로자의 근로환경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이재창.임윤아.박종예.백윤주(2021), "조직문화유형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경영리뷰, 12권 3호, PP. 321-344.
  8. 이승호.조윤례.허성찬.최홍석.조윤례.전만중.이종영 (2020), "근로자의 근무시간 미스매치와 근로환경만족도 및 결정요인 분",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9. 이슬(2020), "성별에 따른 한국근로자의 우울감과 근무환경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임원호(2020),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열의에 미치는영향 : 잡크래프팅의 조절효과 및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명자(2018), "고용안정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정해광(2020), "베이커리의 종사자의 직무환경이 조직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