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of the End-of-Life Care in Korea

임종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Received : 2022.08.29
  • Accepted : 2022.10.12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hospice that were published in KCI from July 2003 to 2022. Using Korea Citation Index, a total of 115 papers were select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earch on terminal care were conducted mostly from 2017 to 2019. A total of 26 papers were published o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15 papers were mostly conducted with nurses and nursing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ose nurses were working in tertiary hospitals, long-term care hospitasl, and general hospitals. The research topics of the published papers are mainly related to end-of-life care attitude, end-of-life care performance,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and end-of-life care stress. Among them, 78.3% of the papers adopt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Concerning the IRB, 64.3% of the papers got an approval.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can shed some lights on hospice care field by analyzing the trends of terminal care studies.

본 연구는 2003년부터 1월부터 2022년 7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임종간호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을 이용하였으며 총 11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종간호 논문은 200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서 2019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출판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연구는 주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간호사의 경우 주로 상급종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논문의 주요 주제로는 임종간호 태도, 수행,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가 많았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78.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논문의 IRB 승인 여부를 분석한 결과, IRB 승인을 받은 논문은 64.3%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임종간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수영, 이병숙,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 수용경험: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6호, pp.781-790, 2013.
  2. 박재영, 말기 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 통계청, 2021 출생.사망통계(잠정), 2022.
  4. 강지혜, 이윤미, 이현주,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과 연명의료결정에 대한 인식,"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9-49, 2019.
  5. 안미숙, 이금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17권, 제3호, pp.122-133, 2014. https://doi.org/10.14475/kjhpc.2014.17.3.122
  6. 법제처,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2022.
  7. P. King and S. Thomas, "Phenomenological study of ICU nurses' experiences caring for dying patie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5, No.10, pp.1292-1308, 2013. https://doi.org/10.1177/0193945913492571
  8. D. Hui, R. Santos, G. Chisholm, S. Bansal, T. Silva, K. Kilgore, C. Crovador, X. Yu, M. Swartz, P. Perez-Cruz, R. Leite, M. Nascimento, S. Reddy, F. Seriaco, S. Yennu, C. Paiva, R. Dev, S. Hall, J. Fajardo, and E. Bruera, "Clinical signs of impending death in cancer patient," The Oncologist, Vol.19, No.6, pp.681-687, 2014. https://doi.org/10.1634/theoncologist.2013-0457
  9. World Health Organization, Palliative care: Symptom management and end of life care. Integrated management of adolescent and adult illness, 2013.
  10. R. Ferguson, "Care coordination at end of life: the nurse's role," Nursing, Vol.48, No2, pp.11-13, 2018. https://doi.org/10.1097/01.NURSE.0000527610.70581.fa
  11. 박은희, 김남영,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83-193, 2018.
  12. M. Kurian, S. Daniel, A. James, C. James, L. Joseph, A. Malecha, E. Martin, and J. Mick, "Intensive care registered nurses' role in bereavement support,"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Vol.16, No.1, pp.31-39, 2014. https://doi.org/10.1097/NJH.0000000000000018
  13. A. Raymond, S. Lee, and M. Bloomer, "Understanding the bereavement care roles of nurses within acute car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6, No.13-14, pp.1787-1800, 2017. https://doi.org/10.1111/jocn.13503
  14. 박미라, 제남주,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21권, 제4호, pp.124-136, 2018. https://doi.org/10.14475/kjhpc.2018.21.4.124
  15. 김희영, 남금희.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의 관계에 미치는 공감역량과 극복력의 매개효과,"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20권, 제4호, pp.253-263, 2017. https://doi.org/10.14475/kjhpc.2017.20.4.253
  16. 조계화, 박애란, 이진주, 최수정, "임상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 호스피스 인식 및 영성이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03-116, 2015. https://doi.org/10.35301/KSME.2015.18.2.103
  17. 김지영, 김묘성, "임종 환자를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재 경험," 질적연구, 제19권, 제2호, pp.112-130, 2018. https://doi.org/10.22284/QR.2018.19.2.112
  18. R, Heeks and S. Bailur, "Analyzing e-goverment research: Perspectives, philosphies, theories, n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24, No.2, pp.243-265, 2007. https://doi.org/10.1016/j.giq.2006.06.005
  19. A. Molassiotis, F. Gibson, D. Kelly, A. Richardson, R. Dabbour, A. Ahmad, and N. Kearney, "A systematic review of worldwide cancer nursing research: 1994 to 2003," Cancer Nurisng, Vol.29, No.6, pp.431-440, 2006. https://doi.org/10.1097/00002820-200611000-00001
  20. 오복자, "국내 종양간호연구의 분석:2003-2008," 대한종양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80-87, 2010.
  21. 한남경, 김상희, 김명신, 김종근, 김창환, 최승혜 "성인간호학회지(2010~2014)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동 향 분석: 간호이론 활용을 중심으로," 제27권, 제5호, pp.527-536, 2015.
  22. 김현심, 이순영,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신융합연구, 제20권, 제6호, pp.105-115, 2022.
  23. 옥정휘, 이명선,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를 결정한 암환자 가족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4-51, 2012. https://doi.org/10.35301/KSME.2012.15.1.34
  24. 김현숙, 최은경, 김태희, 윤혜영, 김은지, 홍진주, 홍정아, 김건아, 김성하,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어려움과 임종간호 교육요구 조사: 혼합연구방법,"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22권, 제2호, pp.87-99, 2019. https://doi.org/10.14475/kjhpc.2019.22.2.87
  25. 권소희, 김영주, "간호사의 가족간호 자신감과 가족간호 교육요구도: 임종기 환자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pp.356-367, 2021. https://doi.org/10.5932/JKPHN.2021.35.3.356
  26. 정선영, "간호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68-177,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68
  27. 신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생의 의미,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제22권, 제3호, pp.65-74, 2011. https://doi.org/10.7231/JON.2011.22.3.065
  28. 김정희, 문경숙, 신복순, 장은하, "일 지역 요양시설의 임종돌봄서비스," 가정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16-227, 2015,
  29. 최인덕, 이은미, "실태조사를 통한 자익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855-869, 2010.
  30. 박효진, 강은희, "간호사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환자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76-86, 2020.
  31.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8권, 제4호, pp.306-313, 2015.
  32. 홍희정, 최성희, "환자의 임종을 경험한 간호사의 자기 성철과 삶의 의미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문사회21, 제12권, 제6호, pp.3137-3152, 2021.
  33. 백유경, 최은정, "내과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및 임종간호수행,"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제18권, 제4호, pp.267-275, 2015. https://doi.org/10.14475/kjhpc.2015.18.4.267
  34. 김익태, 송준아, "요양병원 노인 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 실무과정과 장애요인을 중심으로," 노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11-322, 2021.
  35. 강성례, "질적연구에서의 윤리성에 관한 고찰," 대한질적연구학회, 제6권, 제1호, pp.67-76, 2021.
  36. 서근원,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교육학연구, 제46권, 제3호, pp.133-161, 2008.
  37. 신혜원, "간호학에서 질적연구 동향 분석(2011-2020년)," 질적연구, 제22권, 제2호, pp.61-73, 2021. https://doi.org/10.22284/QR.2021.22.2.61
  38. 전은영, 노준희, "가정간호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가정간호분야를 중심으로," 제27권, 제2호, pp.210-218, 2020.
  39. 이고은, 박성호, 이효진, 박수진, 김상희, "국내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간호윤리 연구의 통합적 문헌 고찰(2011-2020),"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pp.59-80, 2021. https://doi.org/10.35301/KSME.2021.24.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