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of Political Youtubers on Voters'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정치 유튜버의 공신력 속성이 콘텐츠 태도와 유권자의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김하나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 Received : 2022.08.26
  • Accepted : 2022.10.11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of political youtubers on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politicians/political party and political decision making. The total number of 326 responses from online survey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 that three factors of source credibility, similarity, charisma, and expertise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political contents on youtub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Five attributes of source credibility, familiarity, charisma, similarity, attractiveness, and trustworthiness positively affected attitude toward political youtube contents and politicians/political parties. Furthermore,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politicians/political parties significantly increased voting intention to politicians/political parties.

본 연구는 정치정보원이 다양화되면서 그동안 설득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정보원의 속성을 정치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정치 유튜버에 적용해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326명을 대상으로 국내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정치 유튜버의 유사성, 카리스마, 전문성의 순으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콘텐츠를 통해 노출되는 정치인/정당에 대한 태도에는 정치 유튜버의 친숙성, 카리스마, 유사성, 매력성, 신뢰성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튜브를 통해 노출되는 정치콘텐츠의 경우 콘텐츠에 대한 태도와 그 콘텐츠에 등장하는 정치인/정당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콘텐츠에 대한 태도는 정치인/정당에 대한 태도와 이들에 대한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Keywords

References

  1. Digital News Report(2020) https://www.digitalnewsreport.org/survey/2020/overview-key-findings-2020/
  2. 장석준, "정치 유튜브방송 이용과 정치대화, 정치효능감, 정치참여간의 영향 관계분석,"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57권, pp.89-132, 2020
  3. R. Effing, J. Hillegersberg, and T. W. Huibers, "Social Media Participation and Local Politics: A Case Study of the Enschede Council in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2013.
  4. 오대영, "유튜브 정치동영상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학습효과: 정치효능감, 정치관심도,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1호, pp.97-115, 2018. https://doi.org/10.24159/JOEC.2018.24.1.97
  5. R. Lewis, Alternative Influence: Broadcasting the Reactionary Right on YouTube, NY: Data & Society Research Institute, 2018.
  6. K. English, K. Sweetser, and M. Ancu, "YouTube-ification of Political Talk: An Examination of Persuasion Appeals in Viral Video,"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55, No.6, pp.733-748, 2011. https://doi.org/10.1177/0002764211398090
  7. 김하나, "환경이슈를 활용한 정치광고가 유권자 태도 및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정보원의 공신력, 메시지프레임, 정당일체감을 중심으로," 정치정보연구, Vol.25, No.1, pp.1-34, 2022.
  8. T. N. Ridout, E. F. Fowler, and J. Branstetter, "Political Advertising in the 21st Century: The Rise of the YouTube Ad," Presented in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0 Annual Meeting. 2010.
  9. L. Vesnic-Aiujevicet and S. Bauwel, "YouTube: A Political Advertising Tool? A Case Study of the Use of YouTube in the Campaign for the European Parliament Elections 2009," Journal of Political Marketing, Vol.13, No.3, pp.195-212, 2014. https://doi.org/10.1080/15377857.2014.929886
  10. A. Litvinenko, "YouTube as Alternative Television in Russia: Political Videos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2018," Social Media+ Society, Vol.7, No.1, pp.1-9, 2021.
  11. 민진홍, 최규문, 더 잘 검색되고 더 정확히 도달되는 유튜브 상위 노출의 모든 것, 한빛미디어, 2020.
  12. Digital News Report(2021) https://reutersinstitute.politics.ox.ac.uk/digital-news-report/2021
  13. 박상현, 김성훈, 정승화, "유튜브 정치.시사 채널 이용이 정치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9호, pp.224-237,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9.224
  14. J. B. Stiff and P. A. Mongeau, Persuasive Communication, NY: The Guilford Press, 2003.
  15. C. Hovland, I. Janis, and H. Kelley,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53.
  16. R. E. Petty and J. T. Cacioppo, Attitudes and Persuasion: Classic and Contemporary Approaches, Boulder, CO: Westview Press.1996,
  17. R. Ohania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Vol.19, No.3, pp.39-52, 1990. https://doi.org/10.1080/00913367.1990.10673191
  18. R. Lewis, "This is What the News Won't Show You: YouTube Creators and the Reactionary Politics of Micro-celebrity,"Television & New Media, Vol.21, No.2, pp.201-217, 2020. https://doi.org/10.1177/1527476419879919
  19. A. Marwick, Status Update: Celebrity, Publicity, and Branding in the Social Media A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13.
  20. 이맹탁,이준영,심성욱, "유튜브 뷰티 인플루언서 속성이 콘텐츠 태도, 제품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광고학연구, 제31권, 제5호, pp.117-141, 2020.
  21. 이혜린, 양미현, 최지희, 김다은, 장수연, "1인 미디어 공신력 판단기준에 대한 세부요소 분석: 뷰티유튜버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30권, 제6호, pp.75-95, 2019.
  22. C. Pornpitakpan, "The Persuasiveness of Source Credibility: A Critical Review of Five Decades' Eviden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4, No.2, pp.243-281, 2004.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4.tb02547.x
  23. M. J. Metzger and A. J. Flanagin, "Psychological Approaches to Credibility assessment online," In S. S. Sundar (Ed.), The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Communication Technology (pp.445-466),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15.
  24. I. Kareklas and D. D. Muehling, "Reexamining Health Messages in the Digital Age: A Fresh Look at Source Credibility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Vol.44, No.2, pp.88-104, 2015. https://doi.org/10.1080/00913367.2015.1018461
  25. 석보라, 김활빈, "유튜브 1인 미디어 뷰티 채널의 이용 동기가 채널 평가,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1권, 제4호, pp.168-198, 2019.
  26. 유현주, 김헌, "1인 미디어 콘텐츠의 인플루언서 요인이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호, pp.45-59,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045
  27. B. Mullen and C. Johnson, "Distinctiveness-based Illusory Correlations and Stereotyping: A Meta-analytic Integr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29, No.1, pp.11-2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09.1990.tb00883.x
  28. D. Trampe, D. A. Stapel, F. W. Siero, and H. Mulder, "Beauty as a Tool: The Effect of Model Attractiveness, Product Relevance, and Elaboration Likelihood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Psychology & Marketing, Vol.27, No.12, pp.1101-1121, 2010. https://doi.org/10.1002/mar.20375
  29. Y. J. Kim and J. H. Na, "Effects of Celebrity Athlete Endorsement on Attitude towards the Product: the Role of Credibility, Attractiveness and the Concept of Congru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arketing and Sponsorship. Vol.8, No.4, pp.23-33, 2007. https://doi.org/10.1108/IJSMS-08-04-2007-B004
  30. D. Sompel and I. Vermeir, "The Influence of Source Attractiveness on Self-perception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for 6- to 7-year-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40, No.5, pp.575-582, 2016. https://doi.org/10.1111/ijcs.12302
  31. A. King and A. Leigh, "Beautiful Politicians," KYKLOS, Vol.62, No.4, pp.579-593, 2009. https://doi.org/10.1111/j.1467-6435.2009.00452.x
  32. 차배근, 설득커뮤니케이션개론, 나남, 2001.
  33. 이재영, 고혜민, "온라인 추천정보와 선호 유사성의 역할: 2단계 구매 의사 결정 모델을 중심으로," 지식 경영연구, 제16권, 제3호, pp.149-169, 2015,
  34. 증가녕, 김인재, "유튜브 뷰티 채널에서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8권, 제6호, pp.409-425, 2018.
  35. 장우영, "정보/미디어 선택과 편향 동원," 한국정치학회보, 제52권, 제5호, pp.87-113, 2018. https://doi.org/10.18854/KPSR.2018.52.5.004004
  36. N. J. Stroud, "Polarization and Partisan Selective Expo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0, No.3, pp.556-576, 2010. https://doi.org/10.1111/j.1460-2466.2010.01497.x
  37. M. A. Kamins, "Celebrity and Noncelebrity Advertising in a Two-sided Contex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29, No.3, pp.34-42, 1989.
  38. 김현숙, 한상필, "화장품브랜드와 광고모델에 대한 사전지식이 신념편향, 브랜드평가, 구매충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1호, pp.7-35, 2011.
  39. 정용국,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3호, pp.7-28, 2018.
  40. R. J. House, "Charismatic Leadership in Service-producing Organiz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Vol.3, No.2, pp.5-16, 1992. https://doi.org/10.1108/09564239210011944
  41. 김용만, 서희정, 정정희, "스포츠용품의 브랜드개성과 지각된품질이 브랜드 카리스마 형성요인을 통해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0권, 제4호, pp.31-43, 2005.
  42. 송병식, "카리스마 리더십과 도전적 직무동기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와 리더신뢰와 혁신분위기의 조절효과," 경영사학, 제41권, pp.187-210, 2006.
  43. 안차수, "정치 후보자의 이미지 구성과 측정도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의 후보자 이미지 속성과 지지도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4호, pp.321-354, 2011.
  44. 이정교, 우린, "뉴스 앵커의 카리스마가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 뉴스 시청의도, 프로그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앵커의 동일시와 공신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4호, pp.173-214, 2012.
  45. 최지윤, 정윤재,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8권, 제4호, pp.47-72, 2017.
  46. 김혜영, 안보섭, "온라인 1인 미디어 개인 방송 BJ에 대한 매력도와 신뢰성이 미디어 채널에 대한 시청 몰입, 상호 작용성, 인지된 즐거움과 이용자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연구," 광고연구, 제118권, pp.78-126,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