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using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Determinants in Capital and Non-Capital City Regions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Received : 2022.05.29
  • Accepted : 2022.07.13
  • Published : 2022.10.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hous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re reviewed using data from the 4th - 14th Youth Panel Survey(YP2007)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period 2010 - 2020.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welling are analysed. As a result, males, highly educated, and employed people are more likely to live in their own homes and apartments, but many of them seem to be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contrary, economically independent young people tend to occupy their dwellings in the form of jeonsei/monthly rent and live in multi-family units, villas, and officetel. To support the youth in overcoming their key issues such as housing affordability, jobs, and marriage, so that they can play their roles, the cost of homeownership and rent should be tailored to their economic situation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4-14차(2010~2020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주거 관련 특성 현황들을 정리해보고, 심층적으로 주거의 특성들(자가 여부, 아파트 거주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 고학력층, 취업한 청년층은 자가 및 아파트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부모와 동거중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경제적으로 독립한 청년층의 경우, 전/월세 형태의 입주형태와 다세대, 빌라, 오피스텔 등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청년층이 주거, 일자리, 결혼 등의 문제로부터 벗어나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택 마련 및 임대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청년층의 경제적 상황과 수준 등에 맞게 맞추어져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원.배민경.박승훈(2016), "수도권과 광역권의 청년 임차가구 주거비 부담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16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8(2): 210~215.
  2. 김선주(2020),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과 주거만족도", 「주택도시연구」, 10(1): 39~62.
  3. 김형균(2019), "1인 가구 증가에 대한 세계의 대응", 「국제사회보장리뷰」, 11: 5~15.
  4. 배병우.남진(2013), "서울시 거주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 분석", 「서울도시연구」, 14(1): 23~38. https://doi.org/10.23129/SEOULS.14.1.201303.23
  5. 변수정(2018), 「청년층의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이무선(2017), "다항 로짓모형을 이용한 청년 1인가구의 주거 점유형태 영향요인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6): 469~481. https://doi.org/10.5762/KAIS.2016.17.6.469
  7. 이태진.김태완.정의철.최은영.임덕영.윤여선.최준영.우선희(2016),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이현정(2015a), "2012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청년 임차가구의 지역별 주거 실태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1): 81~90.
  9. 이현정(2015b), "수도권 사회진출초기 임차자의 주거비 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1): 71~79.
  10. 이현정.김모윤(2019), "청년층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주거수준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주거학히논문집」, 30(4): 55~64.
  11. 정희주.오동훈(2014), "청년세대 1.2인 가구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2): 95~113.
  12. 한국고용정보원, 「청년패널조사」, 2010~2020년.
  13. Ermisch, J. (1999), "Prices, Parents and Young People's Household Forma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45(1): 47~71. https://doi.org/10.1006/juec.1998.2083
  14. Ermisch, J. and P. Di Salvo (1997), "The Eonomic Determinants of Young People's Household Formation", Economica, 64(256): 627~644. https://doi.org/10.1111/1468-0335.00103
  15. Haurin, D., P. Hendershott and D. Kim (1993), "The Impacts of Real Rents and Wages on Household Forma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6(2): 284. https://doi.org/10.2307/2109434
  16. Haurin, D., P. Hendershott and S. Bourassa (1997), "Home or Alone: The Costs of Independent Living for Youth", Social Science Research, 26(2): 135. https://doi.org/10.1006/ssre.1997.0590
  17.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Youth Panel", 2010-2020.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