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ure and Birth in Newlywed Couples by Using Panel Data

패널자료를 이용한 신혼가구의 주택점유형태와 출산 관계 연구

  • 신형섭 (LH 토지주택연구원 주거복지연구실)
  • Received : 2022.07.24
  • Accepted : 2022.10.06
  • Published : 2022.10.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ousing tenure and childbirth by exploiting the correlation probability effect method that accounts for household heterogeneity. Using the newlywed household panel from 2011 to 2022, we find that home own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childbirth in newlyweds. Specifically, newlywed households with housing tenure show a 6.2%p higher birth rate and a 5.7%p higher second childbirth than newlywed households living in rented houses. For the case of first childbirth, we employ the probability effect probit model since the endogeneity was not detected between housing tenure and birth rate. We documen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housing tenure on childbirth in that the first childbirth rate is higher for households without housing tenures. The negative effects on first childbirth could be attributed to the economic burden due to initial housing ownership, while housing tenure could eventually provide housing stability, leading to positive effects on more than one childbirth. Finally, we identify that households with childbirth over the last year show a 4.2%p and 3.9%p lower probabilities of housing tenure in the total sample and second childbirth sample,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increased living cost due to childbirth could delay home ownership.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를 이용하여 2011년(14차 년도)부터 2020년(23차 년도)까지 총 9개 년도의 신혼가구에 대한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가구의 이질성을 통제한 상관 확률효과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가점유여부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과 출산이 자가점유여부의 영향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시도한 합동(pooled) 축차형 이변량 프로빗(Recursive Bivariate Probit)모형의 추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자가점유의 내생성뿐만 아니라 가구의 이질성을 고려한 모형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자가점유는 신혼가구의 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표본을 이용한 경우 자가점유 주택에 거주하는 신혼가구는 주택을 임차하여 거주하는 신혼가구에 비해 출산 확률이 6.2%p 높았으며, 둘째 자녀 출산에 대해서는 5.7%p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첫째 자녀 출산에서는 자가점유와 출산변수간의 내생성이 확인되지 않아 확률효과 프로빗 모형으로 분석하였는데 이 경우 자가점유 가구가 임차가구에 비해 출산 확률이 오히려 7.5%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가점유가 출산회수에 따라 출산에 대한 영향력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첫 출산에서는 주택구입으로 인한 부담 등의 부정적 영향이 긍정적 영향보다 높았으며, 다자녀 출산에서는 자가점유가 제공하는 주거안정 등의 긍정적 효과가 부정적 효과보다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출산이 자가점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출산을 최근 1년 이내에 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자가점유 확률이 출산을 최근 1년 이내에 한 가구가 그렇지 않은 가구에 비해 자가점유 확률이 전체표본에서는 4.2%p, 둘째 자녀 출산표본에서는 3.9%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나 다자녀 출산으로 인한 양육비용 부담은 자가보유를 미루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2021),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 세종.
  2. 박준오(2014), "주거실태와 출산・혼인력 관계분석, 결혼차수를 중심으로", 「2014년 상반기 연구보고서」, 제II권: 50~85.
  3. 박천규.이영(2010), "결혼 후 3년 이내 출산이 주택소비에 미치는 영향", 「주택연구」, 18(1): 27~39.
  4. 송헌재(2012),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가구의 출산결정요인 분석", 「응용경제」, 14(3): 51~78.
  5. 신형섭(2022), "신혼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변화와 주택점유형태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6. 신형섭.정의철(2021), "주택점유형태가 신혼가구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연구」, 29(1): 5~32.
  7. 유진성(2020), "거주유형이 결혼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 「KERI Insight」, 20(10): 1~28.
  8. 이삼식(2013), "주거환경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183: 1~8.
  9. 장지영.정의철(2019), "대출제약이 신혼가구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부동산.도시연구」, 12(1): 89~112.
  10. 정관석.이재우(2018),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주택자금대출이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연구」, 28(4): 7~22.
  11. 천현숙.정희남.김혜승.하수정.오민준.장미혜.이택면.김난주.임진영.박태원.송향숙.한연오.유민태.박채민(2013), 「저출산에 대응한 주택 및 도시정책방향연구 II」, 세종: 국토연구원.
  12. 천현숙.이길제.김준형.윤창원(2016), 「주택과 출산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세종: 보건사회연구원.
  13. 통계청(2021), "2020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 대전.
  14.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노동패널조사」, 2011~2020년.
  15. Chamberlain (1980), "Analysis of Covariance with Qualitative Data", Review of Economic Studies, 47(1): 225~238. https://doi.org/10.2307/2297110
  16. Ermisch, J. and D. J. Pevalin (2004), "Early Child-bearing and Housing Choices",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13: 170~194. https://doi.org/10.1016/j.jhe.2004.07.001
  17. Feijten, P., C. H. Mulder, N. Kumar and A. Martinez-Cruz (2002), "The Timing of Household Events and Housing Events in The Netherlands: A Longitudinal Perspective", Housing Studies, 17(5): 773~792. https://doi.org/10.1080/0267303022000009808
  18. Filippini, M. and W. Greene (2018), "A Note on the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Correlation Parameters in the Bivariate Probit and the Recursive Bivariate Probit", Economic Letters, 167: 104~107. https://doi.org/10.1016/j.econlet.2018.03.018
  19. Goodman, A. and M. Kawai (1982), "Permanent Income, Hedonic Prices and Demand for Housing: New Evidence", Journal of Urban Economics, 12(2): 214~237. https://doi.org/10.1016/0094-1190(82)90016-X
  20. Greene, W. H. (2018), Econometric Analysis, 8th Edition, London: Pearson Education.
  21. Lauster, N. T. and U. Fransson (2006), "Of Marriages and Mortgages: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Homeownership in Sweden", Housing Studies, 21(6): 909~927. https://doi.org/10.1080/02673030600917826
  22. Mundlak, Y. (1978), "On the Pooling of Time Series and Cross Section Data", Econometrica, 46(1): 69~85. https://doi.org/10.2307/1913646
  23. Murphy, M. and O. Sullivan (1985), "Housing Tenure and Family Formation in Contemporary Britain", Europen Journal of Population, 1(3): 230~243.
  24. Ost, C. E. (2012), "Housing and Children: Simultaneous Decisions? A Cohort Study of Young Adults' Housing and Family Formation Decision",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5(1): 349~366. https://doi.org/10.1007/s00148-010-0345-5
  25. Vignoli, D., F. Rinesi and E. Mussino (2013), "A Home to Plan the First Child? Fertility Intentions and Housing Conditions in Italy", Population Space and Place, 19(1): 60~71. https://doi.org/10.1002/psp.1716
  26. Wooldridge, J. M. (2010),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2nd Edition, Cambridge: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