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교사상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and Injon(The Supreme being of Man: 人尊) Thoughts

  • Youn, Jae Ke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
    • /
    • pp.445-462
    • /
    • 1996
  • 본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종교 사상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인간 관념인 인존사상을 통하여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교육적 가치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순사상 자체가 가지는 학문적 의의를 밝히고 그것의 교육학적 해석을 통하여 그 학문적 영역의 저변을 확대하는데에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근세 조선후기사회의 종교·문화적 배경을 검토함으로써 대순사상이 당시대의 기층 민중들에게 어떠한 종교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가를 살피고 또한 그 기본구조를 분석하여 대순사상이 제시하는 종교적 구도를 개념화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패러다임 위에서 대순사상이 지향하는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교육적 이상 실현의 가능성을 지닌 내재적 존재로서의 인존의 형성이론을 고구하여 교육적 인간상의 이상적인 모델을 확인한다. 또한 인존사상에서 표방하는 교육적 시사성이 현대 교육의 제문제에 어떠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 PDF

An Interpretation of Human View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 Ahn, Shi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3
    • /
    • pp.1-30
    • /
    • 2019
  • There have been three trends in the study of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insider theology, outsider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erpret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Mircea Eliade's New Humanism. We find similarities between Daesoon Thought and Eliade's New Humanism. Daesoon Thought deals with the complexities of life as being labyrinth-like and puts Jeungsan's view of humanity at the center of a Daesoon worldview. Jeungsan examines the existential problems which humans face in the Former World, and gives the religious remedies of Haewon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sangsaeng (the grateful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to transform humanity's worldview for usage in the Later World. Jeungsan suggests a way of peace instead of the revolution of Donghak.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Jeungsan changes the mutual contention of the Former World into the mutual beneficence of the Later World. The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re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in the three realms, and proposes a system of ethics that promotes virtue and reproves vices and human-centericism. In conclusion, the view of humanity in Daesoon Thought is an unapologetic view of homo-religiosus from within a new humanism.

The Features of Daseuk Ryu, Yeungmo's Sijo (다석(多夕) 류영모(柳永模) 시조(時調)의 특질(特質))

  • Park Kyu-Hong
    • Sijohaknonchong
    • /
    • v.24
    • /
    • pp.199-221
    • /
    • 2006
  • Daseuk Yeungmo Ryu, the author of the most Sijo poem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his Sijo poems were once introduced by me. which is a small part of his world of Sijo, though. The goal of this study is, as its succeeding research, to reveal the features of Daseuk's Sijo poems and their significance in detail. There have been not a few poems which accepted religious content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Gesong In the Buddhist Ze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encounter between literature and religion. What is more. Buddhism was in alliance with Hyang-go in the Silla dynasty and with Gasa in the Chosun dynasty. Gasa was effectively used in accepting Buddhism as well as Taoism and Catholicism. Sijo has seemed to be farther from religion than Gasa has. However, Daseuk, a renowned religious thinker in the 21st century. expressed his religious ideas in Sijo, which has not been found in the history of Sijo before. Considering Hangeul as a special tool of expression, Daseuk delivered his condensed ideas in poetic dictions in a unique way. Each word in his Sijo poems implies his religious ideas, which are marked in a special transcription. It makes his Sijo difficult to understand. Yeungmo Ryu's Sijo poems should not be left unnoticed just because they are hard to understand but should have follow-up researches so that Daseuk's Sijo, which is the most in number and the most unique in its style, have to be embraced in Korean literature.

  • PDF

A Comparative Study on Spiritual Humanism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영성인본주의 비교연구)

  • Kim Yong-hwa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4
    • /
    • pp.141-175
    • /
    • 2023
  • This comparative study combines the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o examine Daesoon Thought. Comparative religious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does not presuppose an a priori framework of the essence of religion because it targets various aspects of religion which are revealed within a historical field. However, it does not decompose and return to psychological or social phenomena like social sciences. In addition, with the emergence of religious pluralism, the climate of focusing on similarities between religions has already been accomplished to some degre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many spiritual movements in modern spirituality reveal mixed or amorphous characteristic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specific religious membership. It is time to overcome instrumentation and restore the transcendence of its original appearance even in secular humanist reasoning. It can be said that this reveals the perception that the ills and crises of modern civilization should be overcome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acquired world of Daesoon Thought. It could further be said that the main culprit of evil behavior is instrumental reason or degenerated reason rather than spirituality. Religion is the intellectual crystalline body of humankind and aims at human perfection and salvation. However, extremists in previous times amplified conflicts between religions and formed ideas suitable for their specific regions through different experiences. This generated mental rifts that proved greatly influential. At the time of initial inception, each religion confronted and fought other ideologies, but whe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began, the necessity for inter-spiritual communication became urgent. It could be said that happiness is the realization of human spirituality by exploring the vision of humanism. In that case, the combined methodologies of compar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reveal that the spirituality of Daesoon Thought would enable a humanism based on human dignity. This would be a path for seeking spirituality through human life and living as a true human being. Spiritual humanism as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aims to share the problems of modern civilization and provide a critical view of modern civilization that shows the roots of prevailing thought are stuck in a Cartesian dualistic view of humanity and the world. The type of spiritual humanism to examined here focuses on a cosmotheandric vision by considering the spiritual return to Daoism via Daesoon Thought. This would treat human beings like heaven in alignment with Donghak ideology and honor the human dignity proposed by Daesoon Thought. It would also deliver sentient beings from suffering and to bliss in accordance with the aims of faith in Maitreya Buddha, and it would implement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in fulfillment of Daesoon Thought.

The Origin of Korea Mental Culture in Ethnical Religions (민족종교에 나타난 한국 정신문화의 원류)

  • Kim, Hyon-Woo;Lee, Gyung-Wo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2
    • /
    • pp.243-280
    • /
    • 2017
  • To the mid 19th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movements about religion in Korea society. Protestant which first flew in 1885 grew up greatly and Confucianism of traditional thought sought for religionization to survive. At once new religions named Korea ethnical religion appeared. They are Donghak(東學), Daejonggyo(大倧敎), Jeungsangyo(甑山敎) and Won-Buddhism. Generally speaking, these ethnical religions deeply relates with Korea original mental culture. In this paper, I want to infer that these religions have Korea origin metal culture. The first, I will consider some traditional thoughts of (1) worshiping of Heaven, (2) practice and (3) harmony from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ies and thoughts. Ans then I will infer how these traditional thoughts from origin mental culture appear in ethnical religions of Donghak(東學), Won-Buddhism(圓佛敎), and Jeungsangyo(甑山敎).

대순사상의 종교 문화 조화정신

  • 왕쭝위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2
    • /
    • pp.87-131
    • /
    • 2014
  • 한국은 백 년 이래로 군사적 침략과 경제적 대변혁을 맞았으며, 또한 종교와 문화적 측면에서 전통의 중흥기와 서학의 유입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역사적 경험은 주변 국가의 국민들이 배울 만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연관하여 대순진리회가 역사를 계승하고 창신을 이루어나가는 측면의 문제는 정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대순진리회의 종지는 '음양합덕, 신인조화, 해원상생, 도통진경'이다. 특히 대순진리회는 해원상생 사상으로 조화정신을 집중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해원은 고대 단주로부터의 원을 푸는 것에서 시작되며, 인류가 근본적으로 여러 세대에 걸친 원한을 풀어야만 행복하고 안락한 시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역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해원을 푸는 방책으로 제시하는 상생은 당시의 갑오동학혁명이나 역사상 많은 종교에서 원한을 해결하는 방법과 구별되는 것이다. 과거에 있어서는 상극의 방법으로 원한을 해결하여 왔으나, 상극의 방식은 오히려 새로운 원한을 더욱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현대에 있어 원한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악을 선으로써 대하는 것이라고 한다. 증산 성사 및 그 후학들은 사회의 질서를 새롭게 세우는 문제와 전통사회에서 인간 간의 조화를 방해하고 원한을 용인하는 구습을 개조하고 원을 소멸하는 문제에 주의를 기울였다. 이러한 변혁은 평등의 관념을 나타내고 있다. 증산께서는 전 세계적인 관점에서 민족과 국가 그리고 종교 간의 조화를 실현해야 할 것을 강조하셨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는 매우 폐쇄적인 상황에서 서양 국가의 침략을 받던 시기였는데, 증산 성사께서 미래의 세계는 마땅히 화합을 이루고 서로의 장점을 배우는 세계가 될 것임을 예견하셨다는 것은 그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증산의 후천개벽사상 역시 조화의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후천개벽사상은 전통적 참위를 현대적으로 개조한 것으로 민중을 적극적으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증산께서는 각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표하셨고, 또한 매우 진지한 태도로 타 종교로부터 자신이 주창하는 사상과 관련한 자원을 흡수하셨다. 동양의 전통적인 유불선 삼교를 가장 중요한 종교와 문화형태로 인정하시고, 그 삼교의 내용을 두로 포용하셨으며, 심지어 예수교와 서양문화까지 모두 아우르는 태도를 보여주셨다. 서양의 문화 역시 증산께서 추구하시는 신세계의 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증산께서 당시 세계의 역사적 방향에 대해 통찰하고 있었고 이 통찰 속에서 종교 간의 관계가 조화롭게 되어야 함을 주창했음을 말해 준다. 대순사상에는 민간 무교의 내용 역시 풍부하게 들어있다. 부뚜막신, 사명, 아표신, 마장군, 백의군왕, 황천신 등 민간에서 유행했던 다양한 신령숭배의 내용을 흡수했을 뿐만 아니라, 주문과 부를 태우는 법술로 신명과 관련된 내용을 표현하고 있으며, 칠성과 관우의 신앙까지 수용하고 있다. 또한 증산 성사는 동학과 같은 신종교까지 받아들이셨다. 증산께서는 동학혁명의 비참한 최후를 완화시켰던 위대한 역사적 공적을 이루셨으며, 신종교 운동의 사회적 형태를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내력을 지닌 교도들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였다. 이로 볼 때 결국 증산께서 주창한 대순사상은 사람들 간의 충돌과 모순을 소멸시키고, 조화와 상생의 사회 환경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A Study on Religious Thought Regarding Hospitality for the Phenomenon of Transnational Migr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초국적 이주 현상에 대한 환대의 종교사상 고찰 -대순사상의 '양심'을 중심으로-)

  • Seog Chang-hoo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3
    • /
    • pp.1-29
    • /
    • 2022
  • In this era of transnational migr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igns of the times regarding religion. Dur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ociety, migration cannot be avoided, and as such, Korea should look towards hospitality with practical themes of religion and religious people aiming for pe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because this understanding of the conscience connects people to their heavenly endowed nature and their original selves. First, in order to explore the religious ideas of hospitality for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study viewed the issue through three analytical frames: exclusive perception, tolerant perception, and pluralistic perception, and then criticized these from the perspective of hospitality. Furthermore, hospitality was viewed as an attitude of attempting to expand one's sense of self in dealing with others. Religiously, it was derived that the expansion of one's sense of self should aim for relationships of Sangsaeng (相生 mutual beneficence) as these go beyond mere symbiosis. In addition, as a way to overcome otherness, the religious idea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towards migrants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Daesoon Thought. In Daesoon Thought, the mind is the source of Heaven and Earth and also the essence of human existence. There are two aspects of mind that arise in humans: conscience and private interest. In Daesoon Thought, the conscience enables human potential and aims for a return to the source. In other words, it is to abandon private-interest and regain one's nature and the essence of one's personality. This can be done through Mujagi (無自欺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embodying and maintaining a mind that does not deceive itself. In Daesoon Thought, the practice of Sangsaeng ethics based on Mujagi is expressed as Haewon Sangsaeng (解冤相生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working for the betterment of others. Therefore, when the relational and communal perspectives of Daesoon Truth and Sangsaeng are reinforced, the argument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ethics of Haewon Sangsaeng based on Mujagi into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 spirit expressed as unconditional hospitality was found to be sound.

心なおしによる平和 -現代日本の新宗教の平和主義-

  • 島薗進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16
    • /
    • pp.183-202
    • /
    • 2003
  • 일본의 종교계는 2001년에 일어난 미국에서의 동시다발적 테러사건 이후, 적극적으로 평화를 위한 활동에 뛰어 들었다. 가령 뉴욕에 본부를 두고 있는 세계종교자 평화회의(WCRP)는 일본 종교교단들이 상당히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세계적 규모의 종교협력단체로서, 미국에 의한 보복공격의 억제를 꾸준히 그리고 강력하게 호소해 왔다. 1970년에 설립된 이 세계종교자 평화회의의 설립자 가운데 한 사람이자, 30여년에 걸쳐 지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인물로서 입정교성회(立正佼成會)의 개조인 니와노 닛쿄(庭野日敬)를 들 수 있다. 니와노는 1930년에 법화경에 의한 선조 공양의 가르침을 깨달은 후, 불교의 핵심이 이타행 실천에 있다고 가르치면서 열심히 포교활동을 계속해 왔다. 1950년대 이후에는 종교협력과 사회참여에 적극적으로 전념했으며, 그 결과 입정교성회의 종교활동 전체 속에 평화운동이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니와노는 불교의 가르침이야말로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사상을 담고 있다고 설한다. 즉 자연과 타자 사이에 조화로운 관계가 유지되도록 평화의 마음을 실현해야 한다는 가르침이 그것이다. 특히 분노와 질투와 공격적인 마음을 가지지 말며, 자비의 마음으로 타자를 대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것이 우주 본래의 실재와 합치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모든 것이 일치할 수 있다고 굳게 믿는 니와노는 종교협력이 평화실현에 있어 중요한 방법이라고 간주한다. 그런데 니와노가 '평화주의국가 일본'이라는 이념에 많은 부분을 의거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런 이념이 과거의 전쟁에 대한 일본의 충분한 반성에 입각한 것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나아가 그는 상이한 종교간의 일치 가능성에 대해 다소 낙관적이며, 또한 불교와 동양사상이 평화를 지향한다는 이해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이 미약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민속적 종교토양에서 생겨난 종교적 평화주의의 이상 및 실천으로서, 니와노 닛쿄와 입정교성회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

  • PDF

A Study on the Sijo of Da-seuck Ryu Yeung-mo (다석 유영모의 시조 연구)

  • Park Kyu-hong
    • Sijohaknonchong
    • /
    • v.22
    • /
    • pp.5-2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Da-seuck(다석) and his Sip those were never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terature yet. Daseuck who kept company with Yook-dang(육당) and Chun-won(춘원) was a great philosopher of religion. He had ranged over world wide philosophy and founded his own angle of view to God. He had written diary in which many Sijo Poems more than 2,200 were written for 20 years from 1955 to 1974. The special features of his Sijo and the historical meanings are: First, Daseuck had written the most numerous Sijo Poems in number. Second,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his Sijo is that most of his Sijo Poems contains his own ideas of God that is caused by his religious belief and his angle of view to Sijo. Third, his poetic words are too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he had used Korean old language that he understand them peculiarly.

  • PDF

A Study of Approach to the Religious Faith in Industrial Design - Especially on the Creative Idea of Christianity - (제품디자인의 종교적 사상의 접근 연구 -기독교적 창조사상을 중심으로-)

  • 박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72-73
    • /
    • 1999
  • 1-1. 디자인은 종합과학이다. 아래 도표는 디자인이 종합과학의 두엇을 만족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설명이다. 1-2. 종교(학)적 연구 접근의 구체적 사유ㆍ첫째, 모든 과학이 궁극적으로 인간의 행복추구에 목적이 있다면 산업디자인학도 과학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행복추구를 위한 방편이 되는 종교와 신학을 마땅히 연구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ㆍ 둘째, 이 세상은 무신론자들뿐만 아니라, 유신론자들에 의해서도 제품은 디자인되고, 생산되고, 교환되고, 분배되고, 소비되는 사회이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종교와 신학에 바탕한 디자인의 논리는 설득력을 가지며, ㆍ 셋째, 비록 종교적 견해를 달리함으로 인한 수긍될 수 없는 부분이 있을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종교적 견해가 다름으로 파생되는 문제이지, 논제가 그 자체의 논리성을 갖고있다면 마땅히 배타되어 져서는 아니 될 것으로 보아진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