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n Grit of Clinical Nurses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05.23
  • Accepted : 2022.07.25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mental health, and grit level of clinical nurses, and the effect of these variables on gr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5 clinical nurses working at C city general hospital, and data collection is from August 1, 2021 to August 31,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ffects of nurse grit on job satisfaction (β= .20, p= .008), mental health (β= .04, p<.001) and was sequential. The better the mental health, an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grit. The ment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of grit.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linical nurse grit are ment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it of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ncrease ment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와 이들 변수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되었고, 연구대상자는 C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4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ANOVA,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그릿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만족(β= .20, p=.008), 정신건강(β= .04, p<.001), 순으로 나타났고 정신건강이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릿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과 직무만족도가 그릿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임상간호사의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정신건강,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의료 환경의 급속한 변화는 최고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고도의 전문적 간호업무를 요구하고 있으며, 간호사는 24시간 입원 환자를 돌보기 위한 교대근무 등 간호사만의 직업적 특성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를 저해하기도 하며[2], 이직의도를 높이고[31[4], 소진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나[5] 환자간호의 최접점에 있는 간호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가 필수적이다.

직무만족도는 자신의 직무에 대한 태도, 인식, 감정, 행위 경향들의 복합체로, 자신이 가진 직무 또는 직무경험 평가에 있어 스스로 인식하는 즐겁고 긍정적인 정서 상태이다[6]. 직무만족도는 조직 내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하며,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생산성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2]. 직무에 만족하는 간호사는 높은 조직 몰입도와 간호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기[8.

정신건강은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과 관련 있고,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정신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다[9].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10]. 직무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이 증가할수록 전신건강이 좋이지는 것을 확인하여[9]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일에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간호의질을 높이고 간호활동의 효율화를 위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회복탄력성 등을 복합적으로 관리 할 필요가 있다.

그릿은 각 개인이 도전적인 상황에 닥쳤을 때, 포기하지 않고 계속하여 장기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한다는 점에서[11], 병원이라는 긴장도 높은 업무환경속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역량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대상자의 그릿은 직무만족도와 재직의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고[12] 신규간호사의 그릿은 임상수행능력과 모두 유의한 정적관계가 보고되었다[13]. 간호사의 직업만족도와 회복력, 그릿을 조사한 연구에서도 그릿이 높고, 스스로 전문적인 성장을 추구 할 수록 환경에 잘 적응하고 일을 지속하려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14].

최근 다각적으로 변화하는 의료 환경속에서 이에 적응해야 하는 임상간호사가 자신의 직무스트레스, 직무 만족도, 정신건강 정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그릿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적 특성인 그릿을 키우기 위해 그릿의 영향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고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정도와 이들 변수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간호사 대상으로 한 그릿에 관한 연구는 간호사의 그릿에 대한 개념분석[15], 임상간호사의 그릿, 직무만족도와 재직의도와의 관계[12],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대한 융복합적 연구[13] 등 그릿과 재직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지만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개인의 내적 특성인 그릿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개인의 내적 특성인 그릿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대상자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3.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C 시에 소재한 5개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C 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2)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허락한 자

연구의 표본 수는 G-Power analysis 3.1.9.7 (20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기 위해 유의수준 0.05, 효과크기 0.15, 검정력 0.8, 예측요인 12개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산출된 표본 수는 127명이었으며, 본 연구대상자인 145명은 연구에 필요한 표본수를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윤리적고려

본 연구는 C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CSIRB-2021029)을 받은 후 시행되었으며, 비대면 상황을 고려하여 인터넷을 통한 설문으로 대상자에게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설문을 시작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절차 및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며 연구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과 원하지 않는 경우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문에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자가 동의서에 동의 체크나 서명을 한 후 진행하도록 하여 대상자의 동의여부를 확인하였고, 설문을 마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쿠폰을 답례로 제공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도구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으로 연구자에게 이메일을 통하여 도구 사용에 대한 승낙을 받아 사용하였다.

1)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는 김매자와 구미옥[16]이 개발하고 안미경[1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23문항의 6개영역으로 '전혀 느끼지 않는다' 1점, '아주 심하게 느낀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김매자와 구미옥[16]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5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91이었다.

2) 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는 Weiss 등(1967)의 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Park[18]이번안한 Korea-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K-MSQ)로 측정하였다. K-MSQ는 총 20문항으로, '매우 불만족 한다' 1점, 매우 만족한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내재적 영역은 '나에게 부여되는 업무량' 혼자 독립적으로 일 할 수 있는 기회' 때때로 다른 일을 할 기회' 우리 부서에서 "중요한 인물"로 인정받을 기회' 등 내적인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외재적 영역은 내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 임금수준' '승진기회' 자율권* 등으로 외적인 만족도로 구성되어 있고, 전반적 영역은 근무환경', 직장 동료들 사이의 관계' 성취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Park[18]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내재적 영역 Cronbach's α= .79, 외재적 영역 Cronbach's α= .81, 전반적 영역 Cronbach's α= .87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재적 영역 Cronbach's α= .83, 외재적 영역 Cronbach's α= .80 전반적 영역 Cronbach's α= .82, 총 Cronbach's α= .92이었다.

3) 정신건강

정신건강은 고성희[19]가 개발하고 이화인, 최화숙[20]이 수정·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19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음을 의미한다. 개발당시 고성희[19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 .93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95이었다.

4) 그릿

그릿은 박효선, 이경미, 신나연[21]이 개발한 임상간호사 그릿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14문항으로, '항상 그렇지 않다' 1점, 항상 그렇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그릿이 높음을 의미한다. 박효선 등[21]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91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92 이었다.

2.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5곳의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코로나 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인터넷이나 SNS를 통하여 대상자를 모집하고 인터넷 설문을 통하여 비대면으로 조사 하였다. 모집문구에 연구 대상자가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글을 게시하고, 연구의 자발성과 연구 허락은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합니다.'라는 문구에 체크를 함으로써 대상자의 동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설문지 작성 시간은 15~20분 이내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총 160부의 설문지 중 미완성 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설문 6부를 제외하고 최종 145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3.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 정도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3)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그릿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여성이 142명(97.9%)로 남성보다 많았고, 평균나이는 40.32+11.11세이었다. 종교는 무교가 76명 (52.4%), 결혼상태는 기혼이 93명(64.1%), 교육정도는 대학교가 76명(52.4%)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근무경력은 153.61+112.38개월이었다. 근무부서는 병동이 100명(69.0%), 근무형태는 3교대가 67명(46.2%)으로 가장 많았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N=145)

ICU=Intensive care unit; OR=Operation room; ER=Emergency room AKR=Artificial Kidney room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정도는 [Table 2]와 같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88.33+12.84점, 직무만족도는 62.69+11.20점이었다. 정신건강은 65.94+12.03 점. 그릿은 42.94+7.42점이었다.

Table 2. Study subject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mental health, grit (N=145)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 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 정도는 [Table 3] 과 같다.

나이에 따라 직무스트레스가 (t= 2.42, p<001) 차이가 있었으며, 결혼여부에 따라 정신건강(F= 7.97, p= .001), 그릿(F= 7.07, p= .001)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에 따라 직무만족도(P= 4.17, p= .017) 정신건강(F= 6.14, p= .003), 그릿(F= 6.21, p= .003)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Difference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mental health, grit by characteristics (N=154)

ICU=Intensive care unit; ER=Emergency room; AKR=Artificial Kidney room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r=-.28, p- .001), 정신건강(r= -.19, p- .020), 그릿(r= -.19, p=.019)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정신 건강(r=.42,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릿은 직무만족도(r=.43, p<001), 정신건강(r=.62, p<.001) 로 양의 상관관계로 그릿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 정신건강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4. Correlation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mental health, grit

5.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요인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다중회귀분석에 앞서 종속변수의 독립성 검정으로 자기상관이 없는지 검정하기 위해 Durbin-Watson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Durbin-Watson값은 1.977로 2에 가까워 독립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정규성 검정을 위해 왜도 첨도를 확인하였고 왜도는 0.56~6.80의 범위였으며, 첨도는 .050~44.93이었다. 그 외 히스토그램, Q_Q plot, 정규확률을 확인하여 심각한 정규성 위반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간호사의 그릿과각 변수간의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 공차 한계는 .787~.916로 .10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지수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1.092~1.270으로 10이하의 값으로 나타나 변수 간 다중공선성은 없었다.

Table 5. Effect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on grit of clinical nurses

R=.650; R2=.423; adi R2=.41

해당 개념의 상대적 기여도 평가를 위해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정신건강을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 설명력은 41.1%(R'= .411, p<.001)이었고, 회귀식은(F= 34.43, p<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그릿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만족도(/3= .20, p- .008), 정신건강(8= .04, p<.001) 순으로 나타났고 정신건강이 좋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릿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그릿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V. 논의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정신건강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그릿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 (r= -.28, p= .001), 정신건강(r= -.19, p= .020), 그릿 (r= -.19, p= .019)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가 근무하면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장애를 받을 정도의 부담을 느끼는 상태[22]로 서미경과 조규영[4]의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유의한 양의 상 관관계(r= .172, p<.05)를 보여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r= -.254,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형주등[3]의 연구에서도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임상간호사의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10]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일이 간호의 질을 높이고 간호활동의 효율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할수 있다. 간호사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되어[23), 간호 업무 질을 높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를 높이므로 이직의도를 방지하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직무만족도는 정신건강(r= .42, p<.001) 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김상경, 김근면[2]의 연구에서 직무만족도는 전문직 자아개념(r= .56, p<.001) 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일을 전문직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8= .52, p<.001)으로 나타나 직무만족도는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 등과 상호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2]. 직무만족도와 정신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간호사가 직무에 만족함으로 업무효율을 증진 시킬필요가 있다.

그릿이란 장기적인 목표에 대한 인내와 열정으로 시간이 지나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으로[11](24], 실패나 역경, 정체(plateaus)에도 불구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역경과 고난을 인내하는 특성이 요구된다[25]. 본 연구에서 그릿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직무만족도(β= .20, p= .008), 정신건강(β= .04, p<.001)순으로 정신건강과 직무만족도가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박민희, 조숙희[12]의 연구에서 대상자의 그릿과 직무만족도(r= .31,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진희, 구미옥[13] 의 연구에서도 신규간호사의 재직 의도는 그릿(r=.32, p= .016), 임상수행능력(r= .33, p<.001)과 모두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그릿이 직무만족도 뿐 아니라 재직의도 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수 있다. Terry, Peck, Baker[26]의 연구에서 간호학생과 간호사의 그릿을 비교한 연구에서 신규간호사는 학생간호사 보다 자기효능감은 증진되었지만, 그릿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t= -7.17, p<.001) 현장에서 업무를 시작하면서 그릿이 감소해 현장업무를 하는 간호사에게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위해 그릿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릿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집중적으로 도전하는 것을 필요로 하며[25], 이는 실패와 역경에도 포기 없이 장기간 지속해야 함을 의미한다[24]. 이러한 특성은 간호사의 업무에 필요한 기질로 그릿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정신건강 정도가 환자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직무만족도와 정신건강이 그릿을 증진시키기 위한 요인으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의 질을 높이고 간호활동의 효율화를 위해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정신건강을 유지함으로 그릿을 증진시켜야 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정신건강, 그릿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개인의 내적 특성인 그릿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만족도(r= -.28, p= .001), 정신건강(r= -.19, p= .020), 그릿(r= -.19, p= .019)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감소하고, 그릿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r= .43, p<.001)과 정신건강(r= .62, p<.001)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그릿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만족도(β= .20, p= .008), 정신건강(β= .04, p<.001)순으로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정신건강이 그릿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직무만족과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함으로 그릿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병원 조직에서 인적 자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인력인 만큼 임상간호사의 그릿에 초점을 두고 직무만족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김정숙, 김춘자,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의 관련성,"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11-319, 201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4.311
  2. 김상경, 김근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와 일반 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0권, 제3호, pp.1609-1624, 2018. https://doi.org/10.37727/jkdas.2018.20.3.1609
  3. 나형주, 유성희, 권영란,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4권, pp.133-147, 2022. https://doi.org/10.37727/jkdas.2022.24.1.133
  4. 서미경, 조규영,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및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1권, 제5호, pp.2699-2712, 2019. https://doi.org/10.37727/jkdas.2019.21.5.2699
  5. 최명이, 소향숙, 고은,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딜레마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제26권, 제1호, pp.42-51, 2019. https://doi.org/10.7739/jkafn.2019.26.1.42
  6. E. A. Loke,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Hand 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976.
  7. A. Hakami, H. Almutairi, R. Otaibi, T. Otaibi, and A. Battal,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ealth Science Journal, Vol.14, No.1, pp.1-5, 2020.
  8. 김누리, 김성은, 장소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제15권, 제1호, pp.58-68, 2022. https://doi.org/10.34250/jkccn.2022.15.1.58
  9. 윤성자, 황주희, 박은하, 최명희, "대학병원 간호사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6호, pp.1215-1224, 2019.
  10. 신선화, 김화진,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의해 조절된 감사의 매개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제26권, 제4호, pp.378-387, 2020.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4.378
  11. C. L. Munro and A. A. Hope, "Grit Makes us Unstoppabl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28, No.5, pp.334-336, 2019. https://doi.org/10.4037/ajcc2019871
  12. 박민희, 조숙희, "임상간호사의 그릿, 직무만족도와 재직의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 제25권, 제3호, pp.285-293, 2019. https://doi.org/10.22650/JKCNR.2019.25.3.285
  13. 고진희, 구미옥,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69-380, 2020. https://doi.org/10.15207/JKCS.2020.11.4.369
  14. K. Sellers, M. Riley, D. Denny, D. Rogers, J. M. Havener, T. Rathbone, and C. Gomez-Di Cesare, "Retention of Nurses in a Rural Environment :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Resilience, Grit, Engagement, and Rural Fit," Online Journal of Rural Nursing & Health Care, Vol.19, No.1, pp.4-42, 2019. https://doi.org/10.14574/ojrnhc.v19i1.547
  15. 이지연, 허유진, 이원진, 오정은, "간호사의 그릿에 대한 개념분석," Crisisonomy, 제15권, 제5호, pp.35-48, 2019.
  16. 김매자, 구미옥,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17. 안미경,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8. I. J. Park, A Validation Study of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aire (MSQ),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19. 고성희, 한국인의 정신건강개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20. 이화인, 최화숙, "영적건강과 정신건강과 기독교 신앙성숙간의 관계," 호스피스학술지, 제39권, 제1호, pp.1-11, 2003.
  21. 박효선, 이경미, 신나연, "임상간호사의 그릿 (Grit)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제26권, 제1호, pp.55-64, 2020.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55
  22. 구미옥, 김매자, "임상 간호원의 업무스트레스에 관한 분석적 연구," 대한간호학회, 제15권, 제3호, pp.1-11, 2017.
  23. 김미진, 강균영,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6권, 제5호, pp.39-47, 2015. https://doi.org/10.15207/JKCS.2015.6.5.039
  24. A. Duckworth and J. J. Gross, "Self-Control and Grit: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23, pp.319-325, 2014. https://doi.org/10.1177/0963721414541462
  25.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26. D. R. Terry, B. Peck, and E. Baker, "Self-efficacy, grit and perceptions of rural employment: What changes occur after graduation?," Online Journal of Rural Nursing and Health Care, Vol.21, No.2, pp.44-68, 2021. https://doi.org/10.14574/ojrnhc.v21i2.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