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Centrality of Domestic Areas and Ports: Using SNA Methodology

SNA 분석을 이용한 해상 수출입화물의 네트워크 구조와 국내 항만의 중심성 분석

  • 김주혜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학과) ;
  • 김치열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영경제학부)
  • Received : 2022.11.28
  • Accepted : 2022.12.2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Unlike the past, efforts must be made to interpret physical distribution from a network perspective as the service area expands spatially. In addition, logistics networks are undergoing rapid changes due to various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structure of maritime cargo and the centrality of port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the trade data of domestic maritime at five-year intervals,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network structure and identifie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centrality of domestic ports. Ports with the highest centrality, which is seen as a port that plays the role of an intermediary, emerged in the order of Busan and Ulsan. This study predicts patterns of domestic cargo trade over the next 20 years based on changes in port centrality and understanding of maritime cargo network, and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risk preparation.

과거와 달리 물류를 공간적, 서비스 영역의 확장에 따라 네트워크 관점으로 해석해야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환경의 변화로 물류 네트워크 역시 급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해상 수출입화물의 구조와 국내 항만의 중심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5~2020년 기간에 5년 간격의 국내 해상 수출입화물의 전체 교역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해상 수출입화물의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국내 항만의 중심성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로는 연결 중심성은 울산항이 가장 높으며, 내향 근접 중심성은 부산, 인천항, 외향 근접 중심성은 부산, 울산항 순으로 분석되었다. 중개자 역할의 항만이라고 볼 수 있는 매개 중심성이 가장 높은 항만은 부산, 울산항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항만의 중심성 지표의 변화와 해상화물 네트워크 파악을 토대로 20년간의 국내 수출입화물 교역에 관련한 일련의 패턴을 예측하고 리스크를 대비하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해양수산부 제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김대현.김상열.장현미(2019), "SNA를 활용한 정기선사의 전략적 제휴 제편에 따른 항만 네트워크 변화분석", 「무역학회지」, 제44집, 제6호, 267-283. https://doi.org/10.22659/KTRA.2019.44.6.267
  2. 김용학(2011), 「사회연결망분석」, 제3판, 박영사.
  3. 류기진.남형식.조상호.류동근(2018),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학회지」, 제42집, 제6호, 529-538.
  4. 박선율(2022),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수상운송서비스 무역 네트워크 분석 연구", 「무역학회지」, 제47집, 제3호, 75-92. https://doi.org/10.22659/KTRA.2022.47.5.75
  5. 이호상(2010), "항공교통을 통한 도시 간 국제적 상호작용 패턴", 「국토연구」, 163-179.
  6. 임병학(2011), "컨테이너항만 네트워크가 항만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로지스틱스연구」, 제19집 제3호, 45-56
  7. 임병학(201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항만의 영향력과 순위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SCM학회지」, 제12집 제1호, 37-47.
  8. Ducruet. C & Notteboom. T. E.(2010), The Worldwide maritime network of container shipping: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dynamics, GaWC Reasearch Rulletin. 364.
  9. Freeman. Linton C (1978-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 1(3), 215-239 https://doi.org/10.1016/0378-8733(78)90021-7
  10. Jasmine Siu Lee Lam, et al.(2011), "Dynamics of liner shipping network and port connectivity in supply chain systems: analysis on East Asia",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41(4), 589-598.
  11. Low, J. M., Lam, S. W. and Tang, LC. "Assessment of hub status among Asian ports from a network perspectiv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 Policy and Practice, Vol.43, 2009, pp.593-606. https://doi.org/10.1016/j.tra.2009.04.004
  12. S. Wasserman and K. Faust(1997),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3-27.
  13. Wasserman. Stanley and Katherine Faust(1998), Social network anan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Zhao, T. T., Yun, K. J., Chen, M. W., Lee, H.W.(2020), "Belt and Road network analysis using SNA method: Focusing on China's Freight Airport City", Korea Logistics Review, Vol. 30, No. 2, pp. 127-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