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vision of the Rule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Monolithic Guidance System of the Party Core': Focusing on Party-Government-Military Relations in Kim Jong Un Regime

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의 조직적 변화: 김정은 정권의 당정군관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2.16
  • Accepted : 2022.03.16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e Rule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WPK), revised at the eighth Party Congress in 2021, reflect the Kim Jong Un regime's changes in strategic lines and ideological justifications on North Korea's socialism and communism, and its recent stances against the external environment. Moreover, they contain critical changes in the party's organizational system encompassing the central and the provinces. This study explores the organizational changes of the "monolithic guidance system of the party core" stipulated by the new party rules in January 2021,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tire nine revised rules of the WPK since 1945. In the 2021 Party Congress, the Kim Jong Un regime, which officially came to power after the fourth Party Conference in 2012, has institutionalized the monolithic guidance system centered on the party core, or the head of state, Kim Jong Un. The newly set leadership and execution system, which reorganized party, government, and military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accompanied the relevant personnel changes, was derived from the attempts for reinstating the Kim Jong Un regime as a more normalized party-state structure before its 10th year in power in April 2022.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of the party core" established a system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Central Committee, directed by the Party Head, or General Secretar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ew system resulted from the ten-year development of the revival of the party-state structure, which compromised the status of the military and reconfirmed the party's control of the military. This study explains the new system from the perspectives of both institutionalization and top-down unity, shedding light on the new party-military-government relations of the Kim Jong Un regime. The analysis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and forecasting of the Kim Jong Un regime's governance, which currently strengthens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as a crisis management system in the face of the "triple hardships" of sanctions, Covid and disaster.

2021년 8차 당대회에서 개정된 조선노동당 규약은 김정은 정권의 북한의 사회주의·공산주의에 대한 이데올로기 규정변화, 새로운 전략적 노선 및 최근 정세변화를 반영하는 한편, 중앙과 지방을 포괄하는 당 조직체계 상 주요 변화를 포괄한다. 본 연구는 9차례 개정된 조선노동당 규약 전체를 대상으로, 2021년 1월 개정 당규약이 명시한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의 조직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정권의 권력구조, 즉 수령제 및 당·정·군관계를 평가한다. 2010년 3차 당대표자회 후계구도를 거쳐 2012년 4차 당대표자회 이후 공식출범한 김정은 정권은 2022년 4월 집권 10년을 앞두고 당 수반이자 국가 수반인 김정은을 중심으로 한 유일영도체계를 제도화하고 새로운 당·정·군 조직 재편을 통해 일원적 지도·집행체계를 확립했다. '당중앙의 유일적 영도체계'는 당 수반-총비서의 당중앙위원회 기구를 통한 '조직영도'의 체계로 구축되며 김정은 시대 당-국가체제의 제도화와 일원화를 동시에 보여준다. 이러한 조직적 개편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삼중고'를 겪고 있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위기관리체제 확립의 특성을 보이며 향후 김정은 정권의 통치구조를 이해, 전망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년 통일부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조선로동당 규약. (1946, 1948, 1956, 1961, 1970, 1980, 2010, 2012, 2016, 2021).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1998, 2009, 2012, 2016, 2019.4, 2019.8).
  3. 고재홍. (2021). 2018년 이후 북한 군사동향의 특징과 전망. INSS 전략보고, 144: 1-14.
  4. 기세찬. (2012). 중국 당-군관계에 관한 일고찰: 당과 군의 관계의 변화와 현재의 특징. 국방연구, 55(4): 25-52. https://doi.org/10.23011/JNDS.2012.55.4.002
  5. 김갑식. (2013). 권력구조와 엘리트. 장달중 (편). 현대 북한학 강의. 사회평론.
  6. 김갑식. (2014). 김정은 정권의 수령제와 당, 정, 군 관계, 한국과 국제정치, 30(1): 29-64.
  7. 김갑식 외. (2015).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수령제, 당, 정, 군 관계, 권력 엘리트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8. 김동엽. (2015). 당.정.군 관계의 지속성과 변화. 김갑식 외.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 수령제, 당, 정, 군 관계, 권력 엘리트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9. 김동엽. (2019).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군사 분야 변화와 전망. 경제와 사회, 122: 76-103.
  10. 김보미. (2017). 북한의 당군관계, 그 결과: 북핵개발의 국내정치적 요인과 핵전력 지휘통제체계. 현대북한연구, 20(3): 99-137. https://doi.org/10.17321/RNKS.2017.20.3.003
  11. 김성주. (2017). 북한군 '당위원회'에 관한 연구: 형성과 발전과정, 기능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60(3): 1-24. https://doi.org/10.23011/JNDS.2017.60.3.001
  12. 김에스라.오경섭. (2019). 김정은 핵심집단 특성. 오경섭 외. 김정은 정 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13. 김유진. (2021). 김정은, 사상 첫 전군지휘관 강습 주재...핵 언급 없어. 경향신문, (7월 30일).
  14. 김인태. (2019).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대의원 선거 결과 분석. INSS 이슈브리프, 116: 1-5.
  15. 김인태. (2020). 북한의 수령영도체계에 관한 연구: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김인태. (2021a). 김정은 시대 10년: 「노동당 중앙지도기관」의 구성과 변화. INSS 전략보고, 133: 1-21.
  17. 김인태. (2021b). 김정은 시대 10년: 「국가지도기구」의 구성과 변화. INSS 전략보고, 138: 1-24.
  18. 김일기.김인태. (2021). 북한의 「개정 당규약」 분석과 시사점. INSS 전략보고, 127: 1-17.
  19. 김일기.채재병. (2021). 제8차 노동당 대회와 북한정치: 평가와 전망. INSS 전략보고, 131: 1-18.
  20. 김태경.이정철. (2021). 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북한의 전국 혁명론 변화. 통일정책연구, 30(2): 1-18. https://doi.org/10.33728/UPS.2021.30.2.001
  21. 김한권. (2018). 2018 중국 양회와 한중관계. IFANS 주요국제문제분석 2018-17,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2. 나영주. (2001). 중국 인민해방군의 경제활동과 당의 대군통제. 한국국제정치학회, 41(4): 233-252.
  23. 박명규 외. (2011).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구축과정. 엘리트. 정책. 안정성.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4. 박영자. (2017). 김정은 시대 조선노동당의 조직과 기능: 정권 안정화 전략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5. 박영자 외. (2018).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KINU 연구총서, 18-22. 통일연구원.
  26. 박형중. (2019). 권력세습과 통치연합 재편. 오경섭 외. 김정은 정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27. 서동만. (1996). 북한 당군관계의 역사적 형성: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1년 전후 시기까지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8(2): 59-193.
  28. 성균중국연구소. (2021). 19기 6중전회 심층 분석: "시진핑 시대로의 초대". 성균차이나브리프, 130-135.
  29. 안종철. (1997). 김정일 체제유지와 북한인민군의 이중조직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6: 161-182.
  30. 안치영. (2018). 중국공산당 19차 당 대회 보고와 시진핑(習近平)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동향과 전망, 102: 144-185.
  31. 오경섭 외. (2019). 김정은 정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32. 오경섭 외. (2021). 김정은 지배체제 구축과 권력 안정화. 통일연구원.
  33. 오경섭.김진하. (2021).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 분석(3): 정치 분야. Online Series, CO 21-03.
  34. 이교덕. (2018). 김정은 시대 국가기구의 위상과 역할. 박영자 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KINU 연구총서 18-22. 통일연구원.
  35. 이기동. (2010). 제3차 노동당 대표자회 이후 북한 권력구조 확립의 쟁점과 과제. 한국과 국제정치, 26(4): 215-242.
  36. 이기동. (2015). 수령제의 지속성과 변화. 김갑식 외 (2015).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 수령제, 당, 정, 군 관계, 권력 엘리트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37. 이기동. (2021a). 북한의 8차 당대회 당규약 분석. INSS 이슈브리프, 267: 1-6.
  38. 이기동. (2021b). 김정은 시기 군에 대한 당적 지도와 통제. INSS 전략보고, 140: 1-13.
  39. 이상숙. (2019). 북한 김정은 시기 국가기구의 특징: 김일성 김정일 시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3(2): 85-103.
  40. 이상숙. (2020). 북한의 당정관계 변화와 대외정책: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020-14,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41. 이양호. (2003). 중국 인민해방군의 경제활동 축소. 국제정치연구, 6(1): 149-165.
  42. 이정남. (2020). 시진핑 '신시대' 중국의 정치체제: 당국가체제의 '진화' 와 새로운 패러다임의 권위주의체제의 등장. 중소연구, 44(3): 7-48. https://doi.org/10.21196/APRC.44.3.202011.001
  43. 이정철. (2018). 쿠바와 북한의 7차 당대회 비교: 당군관계와 체제론. 국방연구, 61(1): 1-20. https://doi.org/10.23011/JNDS.2018.61.1.001
  44. 이종화. (2012). 중국 당정관계의 지속과 변화. 중국과 중국학, 17: 99-132.
  45. 이준혁. (2021). 북한군의 제1차 지휘관, 정치일꾼강습회 분석. INSS 이슈브리프, 267: 1-4.
  46. 임수호. (2021). 8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경제전략 기조와 시사점. INSS 전략보고, 115: 1-21.
  47. 임수호. (2022). 북한 경제전략 변화의 정치동학: 이데올로기, 이익갈등, 경제정책. INSS 연구보고서 2021-15, 1-127.
  48. 장윤미. (2021). 중국의 당, 국가, 사회의 관계: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 중소연구, 45(1): 217-252. https://doi.org/10.21196/APRC.45.1.202105.007
  49. 장철운. (2021). 북한의 군사력 및 군의 역할 변화에 대한 평가와 전망. 북한 김정은 정권 10년 평가와 전망 학술회의 자료집, (2021.11.2).
  50. 조영남. (2019). 중국의 엘리트 정치: 마오쩌둥에서 시진핑까지. 민음사.
  51. 조영남. (2021). 개혁기 중국 엘리트 정치의 연구 현황과 과제. 중소연구, 45(3): 7-101. https://doi.org/10.21196/APRC.45.3.202111.001
  52. 조영남. (2022). 중국공산당의 세 개의 '역사 결의' 비교 분석. 중국사회 과학논총, 4(1): 4-30.
  53. 한기범. (2018). 내각의 체계와 특징. 박영자 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KINU 연구총서 18-22, 통일연구원.
  54. 한병진. (2021). 김정은과 엘리트 및 인민의 관계. 오경섭 외. 김정은 지배체제 구축과 권력 안정화. 통일연구원.
  55. 허규호.안경모. (2020).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의 역할과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 전문직업주의의 부상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35(4): 69-101. https://doi.org/10.22883/JDPS.2020.35.4.003
  56. 황태연. (2019). 중국의 당정관계 변화, 마오쩌둥 시대로의 회귀인가?: 시진핑 시대 당정 기구개혁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21(2): 1-35.
  57. Alaggapa, M. (2001). Coercion and Governance: The Declining Political Role of the Military in Asia. California University Press.
  58. Albright, David E. (1980). A Comparative Conceptualization of Civil-Military Relations, World Politics, 32(4): 553-576. https://doi.org/10.2307/2010057
  59. Bruneau, Thomas C and Florina Cristiana Matei, eds. (2015). The Routledge Handbook of Civil-Military Relations. Routledge.
  60. Bruneau, Thomas C, and Aurel Croissant. (2019). The Nexus of Control and Effectiveness. In: Thomas C. Bruneau and Aurel Croissant (eds). Civil-Military Relations: Control and Effectiveness Across Regimes. Lynne Rienner.
  61. Burns, John P. (1994). China's Nomenklatura System. Problems of Communisum, 33.
  62. Colton, Timothy J. (1978). The Party-Military Connections: A Participatory Model.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Colorado: Westview Press.
  63. Goh, Kevin and Julia Muravska. (2012). Military-Owned Business: Corruption and Risk Reform. Transparency International.
  64. Grewert, Elke and Zeinab Abul-Magd, eds. (2016). Businessmen in Arms: How the Military and Other Armed Groups Profit in MENA Region. Rowman and Littlefield.
  65. Herspring, Dale R. (1978). "Introduction."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West-view Press.
  66. Huang, Yasheng. (1996). Inflation and Investment Controls in China: The Political Economy of Central-Local Relations during the Reform 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Huntington, S. P. (1957). The Soldier and the State: The Theory and Politics of Civil-Military Rel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68. Kolkowicz, Roman. (1978). Interest Groups in Soviet Politics: The Case of the Military.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Westview Press.
  69. Lieberthal, Kenneth. (1995).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W. W. Norton.
  70. Mendee, J. (2015). Civil-military relations in a dictatorship: North Korea. In Bruneau, Thomas C and Florina Cristiana Matei. (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Civil-Military Relations. Routledge.
  71. Odom, William E. (1978). The Party-Military Connection: A Critique.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Westview Press.
  72. Peceny, Mark, Caroline C. Beer and Shannon Sanchez-Terry. (2002). Dictatorial Pea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6(1): 15-26. https://doi.org/10.1017/S0003055402004203
  73. Perlmutter, Amos and William M. LeoGrande. (1982). The Party in Uniform: Toward a Theory of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Political System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6(4): 778-789. https://doi.org/10.2307/1962970
  74. Schurman, Franz. (1968).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Communist China. 2nd e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5. Shirk, Susan. (1993). The Political Logic of Economic Reform i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 Way, Christopher and Jessica Weeks. (2013). Making It Personal: Regime Type and Nuclear Prolifera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8(3): 705-719.
  77. Zheng, Yongnian and Gang Chen. (2015).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In, David S.G Goodman (ed) Handbook of the Politics of China. Edward Elgar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