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민건강보험법상 급여정지 처분의 위법성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Disposition Suspending Medical Care Benefit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 박성민 (HnL 법률사무소/성균관대학교 제약산업학과) ;
  • 우미형 (충남대 법학전문대학원)
  • 투고 : 2022.06.13
  • 심사 : 2022.06.29
  • 발행 : 2022.06.30

초록

의약품 리베이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위법행위를 한 자를 제재하는 것과 함께 리베이트를 하지 않아도 의약품 판매촉진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구조적인 법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이전에 국회와 정부는 제재를 강화하는 방안에만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2014년 처분 대상 의약품을 시장에서 퇴출시킴으로써 제약회사에게 막대한 손실을 입힐 수 있는 제재 방법인 급여정지 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제도 도입 3년 만에 급여정지 처분이 환자의 의약품 접근권을 침해한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2018년에 급히 급여정지 제도를 폐지하였다. 국회는 2021년 상징적으로 남아 있던 3차 위반 시 급여정지 처분도 모두 과징금 갈음이 되도록 입법을 하였다. 이렇게 급여정지 처분에 대한 입법자의 반성적 입장이 분명하지만 보건복지부는 구법 기간 동안의 리베이트에 대해서는 구법 상 급여정지 처분을 하여야 한다는 법 해석을 하고 있다. 구법 상 보건복지부 재량으로 되어 있는 과징금 갈음에 대해서도 법 개정 전 구법 하에서 취했던 좁은 기준을 그대로 유지하고 적극적으로 재량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본고에서는 급여정지 제도 도입의 이유가 된 의약품 리베이트 문제를 개관하고 급여정지 제도의 도입, 폐지 경위를 살핀 후 급여정지 처분의 위헌적 요소와 급여정지 처분의 위법성을 검토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harmaceutical kickback problem, it is needed to establish legal system that allow ways to enable pharmaceutical promotion of medicines without kickbacks as well as provide sanction those who commit illegal act.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focused on strengthening sanctions. As a result, in 2014, a system of suspending medical care benefits was introduced, which could inflict heavy losses on pharmaceutical companies by withdrawing target medicines from the market. However, three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the system was abolished in 2018,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the disposition could infringe on the patients' right to access to and choice of medicines. In 2021, the National Assembly made it possible for dispositions suspending medical care benefits regarding the third violation, which remained symbolic until then, replaced with administrative fines. Although the legislator's reflective stance on the system is more than clea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ill interprets that the old law should be applied to kickbacks for the period of the law. Moreover, regarding the substitution of fines at the discretion of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under the old law, the narrow standards taken under the old law seems to be maintained. In this paper, firstly pharmaceutical kickback issue, the main reas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will be explained, after that the history of introduction and abolition of the system examined and last but not least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system and the illegality of the disposition are to be examin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검토보고서, 2018. 2.
  2.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검토보고서, 2013. 6.
  3. 김주경, "건강권의 헌법학적 내용과 그 실현", 「법학연구」, 2013. 12.
  4. 김주석, "행정법령에 있어서 해석에 의한 소급적용의 가능성", 「법조」, 2008.
  5. 노경식, 한국제약협회 윤리헌장 제정의 의의와 성공요건, KPMA Brief, 2014. 8.
  6. 박성민 등, 미국 First Generic Drug 허가 사례 분석, HnL 법률사무소,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 보고서, 2020.
  7. 박성민.김진현, "의약품 리베이트 문제의 원인과 정책적 해결 방안",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5권 2호, 2019.
  8. 박성민, 제약산업 윤리경영 10년의 성과와 과제, 2022 KPBMA 제약바이오산업 윤리경영보고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2022.
  9. 법제처, 법령 입안 심사 기준, 2021.
  10. 양봉민, 「보건경제학」, 나남, 2006.
  11. 윤희숙, 보험약가제도 개선을 통한 건강보험 지출효율화, KDI정책포럼, 2008.
  12. 윤희숙, 건강보험약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정책연구시리즈, KDI, 2008.
  13. 이상원 등, 의약품 공급 및 구매체계개선,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 보고서, 2019.
  14. 이태진 등, 제약산업 정책의 이해,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15. 정창록.이진원.고가람, "글리벡 급여정지를 둘러싼 찬반논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0권 3호, 2017. 9.
  16. 최은배, 대법원판례해설 68호, 2007. 12.
  17. Song Y, Barthold D. The effects of state-level pharmacist regulations on generic substitution of prescription drugs. Health Econ.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