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lf-care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중년 1인 가구의 자기돌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고혜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전공) ;
  • 김보람 (고려대학교 두뇌동기연구소) ;
  • 이상민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전공) ;
  • 이장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상담전공)
  • Received : 2022.01.28
  • Accepted : 2022.05.16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essence of the self-care experiences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situational context. In this study, 10 middle-aged people in one-person household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In result,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considered self-care as 'means to protect themselves', 'preparation for their single life in late adulthood', and 'behavior to feel gratitude and happiness in the present.' Their motives for self-care were 'being aware of their physical aging and possibility of illnesse', 'feeling threatened about their safety', 'sensing that their daily livings may be at a risk', 'absence of a caregiven person who can take care of them', 'maintaining of their psychological health', 'being burned out from busy working schedules', and 'to lessen their own and their family's worries and anxiety.' Their specific ways of self-care were 'physical health care', 'private activities for emotional care', and 'meeting people.' Consequently, the self-care of middle-aged people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work and relationships, lessened their sense of isolation, and brought comfort to their l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proposed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과 1인 가구라는 구체적인 상황 및 맥락 내에서 경험하고 있는 자기돌봄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10명의 중년 1인 가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년 1인 가구는 자기돌봄을 '나를 지키기 위한 수단', '혼자 살게 될 노년을 위한 대비', '현재의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기 위한 행동'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들이 자기돌봄을 하게 된 계기로는 '신체의 노화 및 질병의 가능성 인식', '개인의 안전이 위협받음', '생업에 대한 위기의식', '자신을 돌봐줄 사람의 부재', '심리적인 건강을 유지하기 위함', '바쁜 업무로 인한 소진', 그리고 '자신과 가족들의 걱정 또는 불안을 잠재우기 위함'이 있었다. 구체적인 자기돌봄 방법으로는 '신체 및 건강관리', '정서적인 돌봄을 위한 개인적인 활동', 그리고 '사람들과의 만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돌봄으로 인해 그들은 업무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고립감이 줄었고 심신의 평화와 위안을 느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2019). 1 인가구 우울과 관련요인: 연령집단 별 비교를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9(1), 1-19.
  2. 강은나, 이민홍 (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45.
  3.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 (2017). 도시지역 1 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보건사회연구, 37(2), 184-215. https://doi.org/10.15709/HSWR.2017.37.2.184
  4. 강진숙 (2016).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연구의 주사위: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지금.
  5. 강현주, 이홍숙, 최한나 (2016). 상담자의 자기돌봄(self-care) 인식에 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7(2), 25-45. https://doi.org/10.15703/KJC.17.2.201604.25
  6. 권혁철, 김형용 (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 남성의 삶: 4050 세대 1 인 남성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7. 김나현 (2016). 1인 가구 담론이 담지 못하는 여성들의 이야기. 서울시NPO지원센터 토론회 "1인가구여성, 이기적 선택은 있는가?" 자료집. pp.15-16. 서울: 한국여성민우회.
  8. 김성희, 김유경, 이승미, 조영희 (2018). 중년 1인 가구의 생활실태 연구: 성별 및 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83
  9. 김순정 (2019). 1인 가구주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에 관한 연구: 청년과 중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I: Bicoleur(제2판).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1. 김영천, 정상원 (2013). 질적연구방법론 5: Data Analysis.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2. 김예나 (2017, 05, 03). "노는 게 미안하고 죄책감 들어"...취업준비생 연휴에도 '열공'. 연합뉴스. Retrieved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70502176500004
  13. 김예은, 김갑숙 (2020).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16(2), 29-54.
  14. 김은경, 박숙경 (2016). 우리나라 여성 1인 가구와 다인가구 여성의 건강행태 및 질병이환율 비교: 2013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3), 483-494. https://doi.org/10.5932/JKPHN.2016.30.3.483
  15. 류승아, 김경미, 최인철 (2011). 중년기 여가생활이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4), 415-434.
  16. 박남심, 송승민 (2019). 보육교사의 자기 돌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3(6), 105-124.
  17. 박미희, 김미숙 (2021). 영.유아교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611-624.
  18. 변미리 (2009). 서울의 1인가구 현황과 도시정책 수요",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5-200.
  19. 변미리 (2015). 도시에서 혼자 사는 것의 의미: 1 인가구 현황 및 도시정책 수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3), 551-573.
  20. 양다혜, 소라엘, 김동민 (2021). 초보 예술치료사의 자기돌봄과 성장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3(1), 107-132. https://doi.org/10.21330/KJMT.2021.23.1.107
  21. 오혜인, 주경희, 김세원 (2015). 연령주의에 관한 생태체계적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베이비부머와 노인세대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8, 303-330.
  22. 이민정 (2020). 한국 1인가구의 행복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23. 이병호 (2014).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사회활동참여: 다인 가구와의 비교. 보건사회연구, 34(3), 348-373. https://doi.org/10.15709/HSWR.2014.34.3.348
  24. 이여봉 (2017).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52, 64-67.
  25. 이영기, 이종경 (1993). 자연과학편: 연령별(年齡別) 여가(餘暇)와 일의 태도(態度)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한국체육학회지, 32(1), 419-427.
  26. 이은진, 백상은, 조영미 (2021). 상담자의 스트레스, 소진,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6), 261-273. https://doi.org/10.5392/JKCA.2021.21.06.261
  27. 이하나 (2019). 중년 1인 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형태 및 질병 이환 비교. 보건사회연구, 39(3), 380-407.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380
  28. 임민경, 고영미 (2018). 비동거자녀 지원이 1인가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3), 265-277. https://doi.org/10.15207/JKCS.2018.9.3.265
  29. 임상희 (2020).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질적탐구, 6(2), 353-402.
  30. 정병웅 (1996). 직업과 여가의 관계에 관한 개념적 고찰. 관광개발논총, 5(1), 171-190.
  31. 최해림 (2009). 상담자의 자기 돌봄. 인간이해, 30(1), 1-19.
  32. 통계청 (2015). 2015-2045 장래가구추계. 통계청.
  33. 통계청 (2016). 2016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34. 통계청 (2017). 2017년 가계동향조사(지출부문). 보도자료. 2018. 5. 30.
  35. 통계청 (2018). 2018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및 1인 가구 고용 현황. 통계청.
  36. 통계청 (2019). 인구주택총조사.
  37. 통계청 (2020). 2020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통계청.
  38. 호정화 (2014).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혼인 및 거주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7(4), 25-59.
  39. 홍기묵 (2014).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홍효진 (2018, 04, 15). 직장인 절반 이상, "한가하거나 휴가 쓸 때 죄책감 느낀다". 모바일한경. Retrieved From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1804150617A&category=AA006&sns=y
  41. Babiarczyk, B. & Sternal, D. (2022). Analysis of self-care strategies among nurses in southern Poland-a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35(1), 1-13. https://doi.org/10.13075/ijomeh.1896.01814
  42. Bennett, J. & Dixon, M. (2006).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olicy: Looking Forwards. Joseph Rowntree Foundation.
  43. Colomer-Perez, N., & Useche, S. A. (2021). Self-care appraisal in nursing assistant students: Adaptation, validation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panish ASAS. Plos one, 16(12), e026082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60827
  44.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원본 출판 2013년)
  45. Dukes, S. (1984).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human sciences.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3(3), 197-203. https://doi.org/10.1007/BF00990785
  46. Figley, C. R. (2002). Compassion fatigue: Psychotherapists' chronic lack of self car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11), 1433-1441. https://doi.org/10.1002/jclp.10090
  47. Giorgi, A. (2004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85년 출판)
  48. Giorgi, A. (2004b).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dvanced worksho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Advanced Workship on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2-55.
  49. Godfrey, C. M., Harrison, M. B., Lysaght, R., Lamb, M., Graham, I. D., & Oakley, P. (2011). Care of self-care by other-care of other: The meaning of self-care from research, practice, policy and industry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9(1), 3-24. https://doi.org/10.1111/j.1744-1609.2010.00196.x
  50. Kennedy, A., Rogers, A., & Bower, P. (2007). Support for self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Bmj, 335(7627), 968-970. https://doi.org/10.1136/bmj.39372.540903.94
  51. Luciani, M., De Maria, M., Page, S. D., Barbaranelli, C., Ausili, D., & Riegel, B. (2022). Measuring self-care in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Self-Care Inventory. BMC Public Health, 22(1), 1-10. https://doi.org/10.1186/s12889-021-12274-7
  52. Myers, S. B., Sweeney, A. C., Popick, V., Wesley, K., Bordfeld, A., & Fingerhut, R. (2012). Self-care practices and perceived stress levels among psychology graduate students.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6(1), 55-66. Retrieved From https://doi.org/10.1037/a0026534
  53. Orem, D. E. (1985). A concept of self-care for the rehabilitation client. Rehabilitation Nurse, 10(3), 33-36. https://doi.org/10.1002/j.2048-7940.1985.tb00428.x
  54. Patsiopoulos, A. T., & Buchanan, M. J. (2011). The practice of self-compassion in counseling: A narrative inquir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42(4), 301-307. https://doi.org/10.1037/a0024482
  55. Riegel, B., Lee, C. S., & Dickson, V. V. (2011). Self care in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Nature reviews cardiology, 8(11), 644-654. https://doi.org/10.1038/nrcardio.20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