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a Video-based Simulation Input Modeling Procedure in a Construction Equipment Assembly Line

건설기계 조립라인의 동영상 기반 시뮬레이션 입력 모델링 절차 연구

  • 김호영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산업데이터공학융합전공) ;
  • 이태훈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산업데이터공학융합전공) ;
  • 강봉권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산업데이터공학융합전공) ;
  • 이주호 ((주)현대제뉴인) ;
  • 홍순도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 Received : 2022.05.09
  • Accepted : 2022.06.16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A simulation technique can be used to analyze performance measures and support decision makings in manufacturing systems considering operational uncertainty and complexity. The simulation requires an input modeling procedure to reflect the target system's characteristics. However, data collection to build a simulation is quite limited when a target system includes manual productions with a lot of operational time such as construction equipment assembly lines. This study proposes a procedure for simulation input modeling using video data when it is difficult to collect enough input data to fit a probability distribution. We conducted a video-data analysis and specify input distributions for the simulation. Based on the proposed procedure,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key performance measures of the target system. We also expect that the proposed procedure may help simulation-based decision makings when obtaining input data for a simulation modeling is quite challenging.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존재하는 제조시스템의 생산성 분석과 의사결정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대상의 특성을 반영하는 입력 모델링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건설기계 조립라인과 같은 수작업 중심과 긴 리드타임을 가지는 복잡한 환경에서는 시뮬레이션에 활용할 데이터의 수집이 제한된다. 본 연구는 입력 데이터의 수집이 어려운 환경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입력 모델링 절차를 제안한다. 동영상 데이터 기반 작업분석을 통해 측정시간을 정미시간과 표준시간으로 산정하고, 시뮬레이션의 입력 분포로 활용할 수 있다. 제안하는 절차로 산정된 확률분포를 시뮬레이션에 이용하여 대상 시스템의 주요 생산성 지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절차는 데이터가 적은 상황에서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생산성 분석으로 의사결정 보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2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2020R1A2C2004320)

References

  1. 정만태, 세계 건설기계산업의 최근 시장.기업 동향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2020.
  2. 김기동, 최호식, "건설기계 조립 라인 투입 순서를 고려한 제관 공정 생산 스케줄링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제27권, 제A호, pp.69-76, 2007.
  3. 이태훈, 김영주, 이정만, 홍순도, "작업자추종 운송 로봇을 활용하는 디지털 어소팅 시스템 시뮬레이션 분석", 로지스틱스연구, 제28권, 제1호, pp.47-58, 2020. https://doi.org/10.15735/KLS.2020.28.1.004
  4. R. R. Barton, L. W. Schruben, "Resampling Methods for Input Modeling", Proceeding of the 2001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pp.272-378, 2001.
  5. M. D. Rossetti, Simulation Modeling and Arena, John Wiley & Sons, 2015.
  6. B. Biller, C. Gunes, "Introduction to Simulation Input Modeling", Proceeding of the 2010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pp.49-58, 2010.
  7. J. Banks, Discrete event system simulation, Pearson Education India, 2005.
  8. A. M. Law, "A tutorial on how to select simulation input probability distributions", 2013 Winter Simulations Conference (WSC), pp.306-320, 2013.
  9. F. Zouaoui, J. R. Wilson, "Accounting for Parameter Uncertainty in Simulation Input Modeling", IIE Transactions, Vol.35, Issue 9, pp. 781-792, 2003.
  10. B. Biller, B. L. Nelson, "Answers to the top ten input modeling questions", Proceedings of the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2002, pp.35-40, 2002.
  11. 문일경, 김병수, 김훈태, 서용원, 이철웅, 정병도, 생산 및 운영관리, 생능, 2016.
  12. 정태준, 윤진숙, 유선국, "외래환자 대기시간 단축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23권, 제3호, pp.460-467, 2020.
  13. 이남수, 이재용, 조은현, 이동형, "아레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장품 포장공정의 개선사례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3권, 제2호, pp.72-28, 2020.
  14. 이지환, 조재영, 채규태, 장성용, "석유화학 창고 시스템 내 물류 흐름 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3권, 제3호, pp.77-86, 2020.
  15. 최용희, 황승준, "주문생산 방식의 생산계획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 : 판유리 제조공정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2권, 제1호, pp.64-73, 2019.
  16. 정호연, "이동식 목욕차량의 조립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분석",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4권, 제2호, pp.93-101, 2021.
  17. 김덕현, 이인수, 차춘남,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항공기 부품 가공 유연생산시스템의 팔레트 수량 결정",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1권, 제4호, pp.59-69, 2018.
  18. 김승남, 임석철, "신규제조라인의 목표생산용량 달성을 위한 비용효과적 시뮬레이션 절차",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04-117, 2006.
  19. 김보성, 김정환, Y. F. Henohk, 홍순도, "레일기반 컨테이너 터미널의 재정돈버퍼 위치 결정 모델 연구", 로지스틱스연구, 제26권, 제3호, pp.1-16, 2018. https://doi.org/10.15735/KLS.2018.26.3.001
  20. 채준재, 강수민, 최원균, 구동혁, "시뮬레이션분석을 통한 공항 수하물시스템 설계 지원 -공항의 수화물 시스템 확장-", 로지스틱스연구, 제28권, 제5호, pp.47-56, 2020. https://doi.org/10.15735/KLS.2020.28.5.004
  21. 최준혁, 신광섭, "시뮬레이션 기반 풀필먼트센터 최적 AGV 및 AMR 운영 계획 수립",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6권, 제2호, pp.17-28, 2021.
  22. 심창건, 변재현, "다품종 극소량생산시 표준시간 자료의 산정방법 및 적용사례", 산업공학(IE interfaces), 제11권, 제2호, pp.191-197, 1998.
  23. A. Freivalds, B. Niebel, Niebel's Methods, Standards, and Work Design, Mcgraw-Hill higher education, 2013.
  24. I. Lazarus, Inaccurate Allowances are Crippling Work Measurement, Factory, 1968.
  25. G. Kanawaty, Introduction to Work Stud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992.
  26. D. G. Malcolm, J. H. Roseboom, C.E.Clark, W. Fazar, "Application of a Techniqu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Evaluation", Operations research, Vol.7, No.5, pp.646-669, 1959. https://doi.org/10.1287/opre.7.5.646
  27. E. Ragnier, "Activity Completion Times in PERT and Scheduling Network Simulation, Part II, DRMI Newsletter, pp.4-9, 2005.
  28. R. Davis, "Teaching Note-Teaching Project Simulation in Excel Using PERT-beta Distributions", INFORMS Transactions on Education, Vol.8, No.3, pp.139-148, 2008.  https://doi.org/10.1287/ited.1080.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