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영상 데이터

Search Result 90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Performance Analysis of High-Dimensional Index Structure for Vector Data in Content-Based Video Retrieval (동영상 내용기반 검색을 위한 고차원 벡터 데이터 색인 구조의 성능 분석)

  • Lee, Hyun-jo;Chang, Jae-woo;Park,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211-214
    • /
    • 2007
  • 최근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UCC를 중심으로 동영상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검색 시스템은 키워드 기반의 동영상 데이터 검색만을 지원하고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동영상의 내용(이미지, 색, 모양 등)을 고차원의 특징 벡터 데이터로 표현하여 유사한 동영상을 검색하는 내용-기반 검색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검색을 위해 제안된 기존의 고차원 벡터 데이터 색인 구조를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하며, 이를 통해 동영상 내용-기반 검색에 가장 효율적인 색인 기법을 제시한다. 아울러 보다 효율적인 내용-기반 검색을 위한, 근사 k-NN 질의 탐색 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Design of Database Schema and Query Type for Supporting Caption- and Content-based News Video Searches (주석 및 내용 기반 뉴스 동영상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및 질의 유형 설계)

  • 전미경;김인홍;강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79-84
    • /
    • 1998
  • 일반적으로 동영상 검색을 위해 주석 기반과 내용 기반 검색을 사용하는데, 주석 기반 검색은 사용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일관성을 잃기 쉽고, 내용 기반 검색은 동영상 데이터가 담고 있는 의미가 추출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검색 기법을 상호 보완하여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 동영상 데이터 모델(IVDM)을 제안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뉴스 동영상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질의 유형을 설계한다. 이 모델은 동영상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한 형태로 상위수준에서는 주제별로 부여된 메타 정보로 주석 기반 검색을 지원하고, 하위 수준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에서 색깔, 모양, 움직임, 질감 등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여 내용 기반 검색을 지원한다.

  • PDF

Video Data Classification based on a Video Feature Profile (특성정보 프로파일에 기반한 동영상 데이터 분류)

  • Son Jeong-Sik;Chang Joong-Hyuk;Lee Won-S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1 s.97
    • /
    • pp.31-42
    • /
    • 2005
  • Generally, conventional video searching or classification methods are based on its meta-data.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present the precise information of a video data by its meta-data. Therefore, a processing method of video data that is based on its meta-data has a limitation to be efficiently applied in application fields. In this paper,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of video data, a classification method of video data that is based on its low-level data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video data from the given video data by clustering process, and makes the profile of the video data. Subsequently.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file and video data to be classified is computed by a comparing process of the profile and the video data. Based on the similarity. the video data is classified properly.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mparing process, generating and comparing techniques of integrated profile are presented. A comparing technique based on a differentiated weight to improve a result of a comparing Process Is also Presented.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using various video data.

The Cut Detection System using Sum of Square Difference of Color between frames of Video Image Data (동영상데이터의 프레임간 색상차의 자승합을 이용한 컷 검출시스템)

  • 김병철;정창렬;고진광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3 no.5
    • /
    • pp.51-62
    • /
    • 2002
  •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the advancement of the technolog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pread the technology of multimedia and increased the use of multimedia data with large capacity, Users can grasp the overall video data and they are able to play wanted video back. To grasp the overall video data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list of summarized video data information, In order to search video efficiently on index process of video data is essential and it is also indispensable skill,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ed the effective method about the cut detection of frames which will become a basis of an index based on contents of video image data. This suggested method was detected as the unchanging pixel color intelligence value, classified into diagonal direction. Pixel value of color detected in each frame of video data is stored as A(i, j) matrix-i is the number of frames. j is an image height of frame. By using the stored pixel value as the method of sum of squared difference of color two frames I calculated a specified value difference between frames and detected cut quickly and exactly in case it is bigger than threshold value set in advance, To carry out on experiment on the cut detection of frames comprehensively, I experimented on many kinds of video. analyzing and comparing efficiency of the cut detection system.

  • PDF

A Reference Model Design for Management of Educational Internet Multimedia Contents (교육정보 인터넷 동영상 관리를 위한 참조 모델 설계)

  • Kang, Yu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2-164
    • /
    • 2007
  • 현재 전국 16개 시도교육청에서는 제작한 대량의 인터넷 동영상을 서비스하고 있으나 제작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의 재사용 및 공동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넷 동영상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효율적 콘텐츠 개발 방법과 품질관리를 포함한 콘텐츠 관리가 요구된다. 인터넷 동영상 공동 활용을 위해 다수의 정보저장소를 사용함으로 메타데이터 등록의 중복 작업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동영상 공동 활용을 위한 시스템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의 유통을 위한 인터넷 동영상 메타데이터의 역할과 요건, 그리고 교육정보 메타데이타의 특성을 살펴보고 인터넷 동영상 메타데이타 적용 원칙 및 메타데이타 필수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넷 동영상 메타데이터의 전국교육정보공유체제 및 사이버가정학습서비스와 효과적으로 연계 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f YouTube Trending Video Dataset by Country and Category (YouTube 인기 급상승 동영상 데이터셋의 국가별-카테고리별 분석)

  • Jung, Jimin;Kim, Seungjin;Jung, Sungwook;Lee, D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9-211
    • /
    • 2022
  • YouTube, a video platform used by millions of people worldwide, provides a rapidly growing video servic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each country using the Kaggle dataset, one of the public datasets, and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ublic dataset. For this purpose, we analyze data from 11 countries, 15 categories, and about 1.1 million trending videos. This study adopts Python to obtain the number of videos by category for data analysis, the selection period of videos rapidly increasing in popularity, and the ratio of unique videos. In the future, based on machine learning, we plan to research to help diagnose individual videos and establish channel operation plans and strategies by predicting the selection possibility and selection period based on machine learning.

  • PDF

A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based on Shared Key fool for Video Data Protection (동영상 데이터 보호를 위한 공유 키 풀 기반의 DRM 시스템)

  • Kim Jung-Jae;Park Jae-Pyo;Jun Moon-Seo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2C no.2 s.98
    • /
    • pp.183-190
    • /
    • 2005
  • In this thesis, first, we propose I-frame encryption techniques of video data for video data itself encryption and propose license agent that processing user's certification and decryption in client system automatically when user execute encrypted video data in system server. License agent runs user's certification,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video data based on PID(Public Key Infrastructure) using shared key-pool when execute of video data. Also, compose duplex buffer control and propose real time decryption method using efficient buffer scheduling to reduce much playing delay times that happen processing decryption when execute of videoa data of high-capacity.

Video Summarization System Based on Multi-Camera (멀티카메라 기반 동영상 요약 시스템)

  • Im, Seung-Bin;Park, Han-Saem;Min, Jun-Ki;Hwang, Keum-Sung;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44-48
    • /
    • 2006
  • 디지털 카메라 기술의 발전과 보급으로 공공건물의 보안 카메라부터 개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까지 동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수단이 크게 늘었으며, 그 활용 또한 매우 일반화되었다. 동영상 데이터는 문서나 음성 등의 다른 데이터보다 훨씬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포함하므로 과거의 기억을 정리하고 복원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동영상 데이터의 증가와 함께 동영상 요약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하나의 동영상을 요약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무실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렇게 수집된 동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요약하고 검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동일한 이벤트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보고, 그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한 카메라를 선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멀티 카메라의 사용은 장점을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이벤트에 따라 전문가가 어노테이션을 부여하도록 하였으며, 전문가가 설정한 유틸리티에 따라 카메라 선택 및 요약이 이루어진다. 다양한 옵션에 따라 요약된 결과로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eep Learning based System for Object Identification of Multimedia Data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객체 식별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o, Sang-Gyun;Kim, Bongjae;Kim, Jeo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606-608
    • /
    • 2018
  • 최근 CCTV나 블랙박스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생성해내는 장치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내의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매뉴얼하게 일일이 찾아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동영상 및 이미지에서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에서 객체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객체 식별 및 검색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객체 식별 검색은 이미지 검색과 동영상 검색을 지원한다. 이미지 검색에서는 이미지에 존재하는 동일한 객체를 검색 대상 이미지들에서 객체를 식별하고, 이미지에 존재하는 객체를 검색하여 결과로 반환한다. 또한 동영상 검색에서는 동영상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가 출현하는 시간을 전처리과정을 통해 기록하며, 검색하고자 하는 동영상 내에 존재하는 객체의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영상에서 객체의 검색 시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여 동영상을 모두 재생하서 객체를 식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A Study on Frame of MSE Comparison for Scene Chang Detection Retrieval (장면 전환점 검출을 위한 프레임의 평균오차 비교에 관한 연구)

  • 김단환;김형균;오무송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638-642
    • /
    • 2002
  • User in video data utilization of high-capacity can grasp whole video data at a look. Offer frame list that summarize information of video data to do so that can remake video from branch that want when need. Need index process of video data for effective video retrieval. This treatise wishes to propose effective method about scene change point detection of video that is been based on contents base index. Proposed method video data so that can grasp whole structure of video detection color value of schedule pixel for diagonal line direction in image sampling do. Data that get into sampling could grasp scene change point on one eye. Color value of pixel that detection in each frame is i frame number by i$\times$j procession to procession A, j stores to reflex height of frame. Introduce MSE and calculate mean error of each frame. If exceed mean error and schedule critical value, wish to detect the frame for scene change poi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