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특성 비교 연구

  • Shin, Hyun-S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Jun, Da-Seul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 전다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 Received : 2022.06.01
  • Accepted : 2022.06.16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which have developed in the relationship of mutual geo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in histor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definition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has similar meanings in both countries. In the case of cultural heritage classification, both countries introduced the legal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UNESCO, and have similarities in ter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while China has separate laws for manag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Vietnam integrally manages the two types of cultural heritages under a single law. Vietnam has a slower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han China, but it shows high integration in terms of system. Third, cultural heritages in both China and Vietnam are graded, which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heritage. The designation method has a similarity in which the two countries have a vertical structure and pass through steps. By restoring the value of heritage and complementing integrity through such a step-by-step review, balanced development across the country is being sought through tourism to enjoy heritage and create economic effe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rganization has a central government management agency in both countries, but in China,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is higher than that of Vietnam. In addition, unlike Vietnam, wher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managed by an integrated institution, China had a separate institution in char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fth, China is establishing a conservation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sustainability that harmonizes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heritage. Vietnam is making efforts to integrate the contents and spirit of the agreement into laws, programs, and project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intangible heritage and economic and social as a whole. However, it is still dependent on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ixth, China and Vietnam are now paying attention to intangible heritage recently introduced, breaking away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centered on tangible heritage. In addition, they aim to unite the people through cultural heritage and achieve the nation's unified policy goals. The two countries need to use intangible heritage as an efficient means of preserving local communities or regions. A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subject that can integrate the components of intangible heritage into one uni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enjoyment of the peop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a research stage comparing th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preservation management status in China and Vietnam, and th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by type remains a future research task.

본 연구는 역사상 상호 지정학적·문화적 영향관계 속에서 발전해 온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정의는 양국이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문화유산 분류의 경우 양국 모두 무형문화유산의 법적 개념을 유네스코를 통해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되면서, 무형문화유산 진흥정책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중국은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관리하는 법이 각각 따로 존재하는 반면, 베트남은 두 유형의 문화유산을 단일 법령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에 비해 문화유산 개념의 도입은 늦은 면이 있지만, 체계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통합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중국과 베트남의 유산은 모두 등급화가 나타나며, 이는 유산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지정방식은 양국이 수직적 구조를 가지고 단계를 높여가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 검토를 통한 유산의 가치 복원 및 완전성의 보완으로 관광을 통한 유산 향유, 경제적 효과 창출을 통한 전국의 균형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넷째, 문화유산 관리기구는 양국 모두 중앙정부의 관리기관이 존재하지만, 중국의 경우 베트남에 비해 지방정부의 권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통합적인 기관에서 관리하는 베트남과 달리 중국은 무형문화유산을 관장하는 기관이 별도로 존재하였다. 다섯째, 중국은 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조화롭게 한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존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베트남은 협약의 내용과 정신을 문화유산, 특히 무형문화유산과 경제·사회 전반에 관련된 법률, 프로그램, 프로젝트에 통합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선진국의 원조와 국제기구의 영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섯째, 중국과 베트남은 유형문화유산 중심의 문화유산 보호정책에서 벗어나 현재는 근래 도입한 무형문화유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문화유산을 통해 국민을 결집시키고 국가의 통일된 정책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양국은 무형문화유산을 지역 공동체나 지역을 보존하는 효율적 보존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유산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단위로 통합할 수 있는 각 주체별 문화유산 보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민들의 향유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체제와 보존관리 현황에 주목해 비교한 연구의 단계로 한계를 지니며 유형별 문화유산 정책의 특성비교는 차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Keywords

References

  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팀(2018).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가입 30주년 기념세미나.
  2. 존 K. 페어뱅크 외(1989). 동양문화사 (상). 을유문화사. pp.336-345.
  3. 문화재청(2010). 주요국 문화재보호 법제 수집.번역 및 분석.
  4. 김대홍(2015). 중국문형문화유산법의 소개. 한국법제연구원.
  5. 최무장(1998). 중국의 문화재 관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51: 193-209.
  6. https://bvhttdl.gov.vn/
  7. http://www.npc.gov.cn/
  8. 우영란, 이영자, 가청문(2015). 한중 문화유산 관광자원 관리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 도서출판 하우.
  9. 정준호(2015). 중국 무형문화유산제도의 형성과 정책관리체계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411-436.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1.411
  10. http://english.www.gov.cn/
  11. http://dsvh.gov.vn/
  12. IUCN(2018). Report on the IUCN Advisory Mission to Ha Long Bay World Heritage Site.
  13. IUCN(2020). The IUCN WORLD HERITAGE Outlook Ver. 3.1.
  14. IUCN(2020). IUCN World Heritage Outlook 3.
  15. https://www.jica.go.jp/english/index.html
  16. 임장혁(2008). 아시아 각국의 무형문화유산 정책. 비교민속학. 37: 461-506.
  17. https://www.vietnamplus.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