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vasive Alien Plants and Management Plans of Traditional Temples in Gyeongju - Focused on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를 중심으로 -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Received : 2022.05.09
  • Accepted : 2022.06.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Bunhwangsa Temple, Baekryulsa Temple and Sambulsa Temple are not famous cultural heritage area, but they are visited by many tourists and are located in Gyeongju National Park and Gyeongju Historic Areas, so environmental and cultural preservation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age the unique environment and landscape of cultural assets by analysing the invasive alien plant of traditional temple of Gyeongju. The whole flora were summarized as 188 taxa including 73 families, 136 genera, 154 species, 3 subspecies, 11 varieties, 4 forms, 5 hybrids and 12 cultivars., and the landscape plants were 163 taxa and 38 taxa of the invasive alien plants. The 13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were planted in three temples. Th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sella, Lactuca seriola and Symphyotrichum pilosum. Invasive alien plants have artificial causes such as landscape planting, but there are also those that are introduced naturally from outside. The parking lot of the temple is expected to be a major propagation path for invasive alien plants due to the large amount of interference and disturb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nagement pla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native species suitable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raditional landscape of Korea for landscape planting of traditional temples, and development of planting guidelines centered on cultural properties is requi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planting invasive alien plants because traditional temples are located in an important environment and historically. Thir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templ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omptly remove th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Fourth, in order to express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temples, a unique planting plan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environment and historicity.

분황사, 백률사, 삼불사는 유명한 문화재구역은 아니지만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경주국립공원과 경주역사유적지구에 위치해 환경적, 문화적으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전통사찰의 침입외래식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문화재의 고유환경과 경관을 관리하기 위함이다. 전체 식물상은 73과 136속 154종 3아종 11변종 4품종 5잡종 12재배품종의 188분류군이며, 조경식물은 163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3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침입외래식물은 13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애기수영, 가시상추, 미국쑥부쟁이 3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조경식재와 같은 인위적 원인도 있지만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유입된 것도 있었다. 사찰의 주차장은 간섭과 교란이 많아 침입외래식물의 주요 전파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통사찰의 조경식재는 한국의 자연환경 및 전통경관에 맞는 자생종 위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문화재 중심의 식재지침 개발이 요구된다. 두 번째, 전통사찰은 환경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위치해 있으므로 침입외래식물의 식재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 사찰환경의 보전을 위해 주변의 생태계교란 생물을 조속히 제거해야 할 것이다. 네 번째, 전통사찰의 경관적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입지환경, 역사성 등을 고려하여 특색 있는 식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도 동국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References

  1. 이영경, 김정은, 이서율(2010). 태양열시설이 전통사찰의 경관경험에 미치는 영향-통도사 진입경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114-121.
  2. 홍광표, 심경구, 하재호(2000). 전통사찰의 보존에 대한 문제와 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4): 77-85.
  3. 이원호, 김동현, 김재웅, 안혜인, 김대열, 조운연(2014).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82-95.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082
  4. 이선희, 진혜영, 이현채, 문애라, 최우경, 송유진, 송정화(2016). 한국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53-70.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53
  5. 신혁탁, 김용식, 이명훈, 윤정원(2011).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문화재. 44(1): 162-181. https://doi.org/10.22755/kjchs.2011.44.1.162
  6. 윤정원, 신현탁, 이며훈, 김기송, 성정원, 박기환, 이창현, 김용식(2012).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4): 550-558.
  7. 노재현, 오현경, 한윤희, 박경욱, 변무섭, 허준, 최영현, 신상섭, 이현우, 김효정(2013).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외래식물 식재 및 발생현황-하회.양동.한개마을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1-19. https://doi.org/10.14700/KITLA.2013.31.4.001
  8. 노재현, 오현경, 한윤희, 최영현, 변무섭, 김영숙, 이원호(2014). 제주성읍민속마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1): 107-119.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1.107
  9. 강민정, 이고운, 김신원(2018). 서울시 전통문화고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4대 고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1): 45-54.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1.045
  10.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 최영현, 김은옥(2018). 진안 마이산 명승구역 내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100-114.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3.100
  11. 네이버지식백과 홈페이지. https://terms.naver.com/
  12. 황숙영(2011). 경주 역사숲의 식생구조 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경주시(2021). 제 60회 경주통계연보. 경주시.
  14.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5. 국립수목원(2011). 한국의 재배식물. 국립수목원.
  16. 윤주복(2015). 우리나라 나무도감. 진선출판사(주).
  17. 국립수목원(2017). 국가표준식물목록(개정판). 국립수목원.
  18. 국립수목원(2016).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개정). 국립수목원.
  19. 국립수목원(2019). 국가외래식물목록. 국립수목원.
  20. 최영은, 김창환(2017). 전라북도 부안군.고창군 무인도서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29(4): 245-261.
  21. 정지현, 홍순천, 박희준, 백원기(2019). 낙동강 중류 지천의 식물상(영강, 내성천, 위천, 감천, 병성천).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2(5): 615-632. https://doi.org/10.7732/kjpr.2019.32.5.615
  22. 유주한, 곽수빈(2020). 도시근린공원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특성 분석-함지근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1): 9-17. https://doi.org/10.22849/JKIGD.2020.6.1.002
  23. 허상현(2005). 전통사찰의 조경수 식재실태 연구-불국사, 분황사, 기림사, 골굴사-. 사찰조경연구. 10: 79-92.
  24.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25. 홍광표, 유주한(2015) 해인사의 조경식물 분포 및 식재특성 분석. 신라연구. 46: 365-386.
  26. 오충현, 정욱주, 이임규, 김민경, 박은하(2012). 아파트단지 조경수 적정식재밀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0(6): 140-147. https://doi.org/10.9715/KILA.2012.40.6.140
  27. 길지현, 김창기(2014).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Weed Turf. Sci. 3(3): 206-214. https://doi.org/10.5660/WTS.2014.3.3.206
  28. 추연수, 김중권, 이효혜미(2017). 도로개발 사업이 외래식물 유입에 미치는 영향.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3): 156-168. https://doi.org/10.17820/eri.2017.4.3.156
  29. 유주한, 홍광표, 이동훈(2010). 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8(1): 119-128.
  30. 홍광표(2005). 아름다운 사찰 만들기의 기본적 요건. 사찰조경연구. 10: 1-14.
  31. 홍광표, 유주한(2016) 봉정사의 조경식물 종류와 특성.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2(2): 57-64. https://doi.org/10.22849/JKIGD.2016.2.2.001
  32. 원종화, 정진형, 김창섭, 이기의(2005).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원주시와 횡성군을 중심으로-. 삼림과학연구. 21: 34-58.
  33. 김창기, 길지현(2017). 한반도 외래식물. 자연과 생태.
  34. 송임근, 박선주(2019). 경주시 주요 사적지 및 도시공원의 귀화식물분포. 환경생물. 37(2): 144-154. https://doi.org/10.11626/KJEB.2019.37.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