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년기 부부의 노동시장 진입과 탈퇴 이후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 변화

Older Couples' Housework before and after Retirement

  • 이수진 (일본 히로사키대학 교육학부)
  • Lee, Sujin (Faculty of Education, Hirosaki University)
  • 투고 : 2021.12.26
  • 심사 : 2022.01.28
  • 발행 : 2022.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부부의 노동시장 진입 및 탈퇴의 실태를 파악하고, 노동시장 진입 및 탈퇴 이후 노년기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및 가사노동 빈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에서 이용한 데이터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여성가족패널(KLoWF)1~7차년도 데이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 남편의 연령이 65세 이상인 부부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2,482명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인과 남편의 취업상태 변화가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인이 취업을 지속하면 남편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하고, 남편이 취업을 지속하면 부인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시점 간(t1시점과 t2시점)의 가사노동시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t1시점의 부인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t2시점의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이 길었다. 또한, 남편의 경우도 부인과 마찬가지로 t1시점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이 길수록 t2시점의 가사노동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시간의 변동은 일시적인 시점의 영향보다는 장기간에 걸친 가사노동 수행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평일에는 부인의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하면 남편의 가사노동시간도 증가하고, 남편의 가사노동이 증가하면 부인의 가사노동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부인의 평일 가사노동 시간은 남편의 토요일, 일요일 가사노동시간과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남편의 평일 가사노동시간은 부인의 토요일 가사노동시간과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평일에는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고, 토요일, 일요일과 평일의 가사노동은 교환관계가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I analyzed how the hours and frequency of housework change after older couples' retire, using data from the 1st(2007) to 7th(2018) years of the Women's Family Panel (KLoWF) conducted at the Korea Women's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this study, couples where both the wife and the husband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 total of 2,482 people participat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s comparing between two time points, when the weekday housework hours of the wife and husband at t1 time point increased, the weekday housework hours of the wife and husband at t2 time point also increased. Second, on weekdays, when the wife's housework increased, the husband's housework also increased. On the other hand, on weekend, when the wife's housework increased, then the husband's housework decreased on weekday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진.고선강(2018).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가사노동 참여와 공유 활동이 부부관계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65-84.
  2. 김영란.이진숙(2020). 혼인상태별 가사노동시간 비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2020, 2019년 여성가족패널조사, 181-207.
  3. 김영혜(2004).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의 영향에 대하여. 한국인구학, 27(1), 1-30.
  4. 김주희.이기영.최현자(2009). 은퇴자의 은퇴 이후 생활수준 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73-92.
  5. 김효정(1996). 미국인의 성역할 태도와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대한가정학회지, 34(3), 75-87.
  6. 서울매일신문(2019. 6.20). 부천 인생이모작지원센터 이모작 아버지 요리교실 개강 ''오늘은 요리 배우는 날, 저녁은 내가 할게''. http://www.s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13295.
  7. 안미영(2017). 고령화와 젠더 불평등: 노인 부부의 무급 노동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93(2), 7-34. https://doi.org/10.33949/TWS.2017.93.2.001
  8. 은기수(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9. 이미숙.유안진(1997). 부인의 취업유무와 직종에 따른 부부의 가사수행. 대한가정학회지, 35(1), 205-219.
  10. 이주연.김득성(2015). 남편의 은퇴 이후 중노년기 부부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2), 179-193. https://doi.org/10.6115/fer.2015.014
  11. 이창순(201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40(2), 29- 54. https://doi.org/10.15820/KHJSS.2014.40.2.002
  12. 이현아.김주희(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13. 최유정.최미라.최샛별(2019). 가정 내 역할 수행 및 돌봄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집, 50(1), 1-28.
  14. 허수연(2008).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3), 177-210.
  15.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5-29.
  16. 伊藤裕子(2015). 夫婦関係における親密性の様相. 発達心理学研究, 26(4), 279-287.
  17. 伊藤裕子, 下仲順子 & 相良順子(2009). 中年期における夫婦の関係と心理的健康-世代比較を中心にー文京学院大学総合研究所紀要, 10, 191-204.
  18. 乾順子(2015). 高齢期の夫婦の家事分担. 家計経済研究, (105), 56-67.
  19. 不破麻紀子(2014). 世帯に見る家事分担. 社会科学研究, 65(1), 51-70.
  20. 伊藤裕子 & 相良順子(2012). 定年後の夫婦関係と心理的健康との関連-現役世代との比較から-. 家族心理学研究, 26(1), 1-12.
  21. 平山順子 & 柏木恵子(2001). 中年期夫婦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態度-妻と夫は異なる?, 発達心理学研究, 12, 2216-227.
  22. 岩井紀子(2004). 高齢期の夫婦における夫の家事参加. 渡辺秀樹.稲葉昭英.嶋崎尚子編, 現在家族の構造と変容. 293-309. 東京大学出版会.
  23. 木下栄二(2004). 結婚満足度を規定するもの. 渡辺秀樹. 稲葉昭英.嶋崎尚子編, 現在家族の構造と変容. 277-291. 東京大学出版会.
  24. 松田茂樹(2004). 男性の家事参加. 渡辺秀樹.稲葉昭英. 嶋崎尚子編, 現在家族の構造と変容. 175-189. 東京大学出版会.
  25. 岡村清子(2006). 定年退職と家庭生活. 日本労働研究雑誌, 550, 67-82.
  26. 東京都老人総合研究所編(1991). 定年退職に関する長期的研究(3)-職業.生活の変化についての追跡調査, 東京都老人総合研究所調査報告書.
  27. 関根美貴(2017). 高齢者の生活時間に影響を与える要因に関する一考察-女性について-Bulletin of Aichi Univ. of Education, 66, 75-82.
  28. 久保桂子(2017). 共働き夫婦の家事.育児分担の実態. 日本労働研究雑誌, 689, 17-27.
  29. 橋本有理子(2006). 老年期における家族的役割, 社会的役割と精神的健康との関連性に関する研究. 関西福祉科学大学紀要, 9, 117-130.
  30. 国立社会保障 & 人口問題研究所(2008). 2008年社会保障.人口問題基本調査第5回全国家庭動向調査結果の概要.
  31. 若林満, 松浦均, 松浦いね & 三浦三郎(1991). 定年退職者の生きがい感の規定要因に関する研究. 経営行動科学, 6(1), 35-47.
  32. 世界銀行(2015). 『長く幸せな人生を:東アジア.大洋州地域の高齢化』 報告書.
  33. 前田信彦(2003). 高齢期における多様な働き方とアンペイド.ワークへの評価-男性定年退職者の分析-. 国立女性教育会館研究紀要, 7, 21-31.
  34. 田中真理, 鎌田晶子 & 秋山美栄子(2018). 高齢期の家事行動と夫婦関係が主観的 well-being に与える影響─配偶者役割の意味づけを媒介として─. 高齢者のケアと行動科学, 23, 22-34.
  35. Erin Hy-Won Kim & Chang jun Lee(2018). Division of domestic labor over retirement among middle-aged older couples in Korea. 20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115-139.
  36. Iwai, N.(1998). The Dicision of Household Labor in Japan: Gender Inequality of Time Use and Factors Affectio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大阪商業大学論集, 110, 107-134.
  37. Myers M. & A. Booth(1996). Men's Retirement and Marital Quality, Journal of Family Issues, 17, 336-357.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3
  38. Szinovacz, M. & Harpster, P.(1994). Couple's employment/retirement status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task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9, 125-136.
  39. Szinovacz, M.(2000). Changes in Housework after Retirement: A Panel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1), 78-9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07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