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leuze and Guattari's Machinism and Pedagogy of Assemblages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계론과 배치의 교육학

  • Received : 2022.04.01
  • Accepted : 2022.04.21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Deleuze and Guattari's Machinism and Pedagogy of Assemblages. A slow, empirical process offered by Deleuze and Guattari is possible only if they experience a repetition of the duration in time. The identity of this world, a combination of potential and reality, is expressed as a machine. The identity of the 'machine' is the generation. The identity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exists everywhere in the cloud and unconsciously collects big data is also the information society. The information society is at risk of leaning toward a society in which individual desires are managed prior to the manifestation of a self-reliance a machine consisting of unmarked and mechanical arrangements. Social science based on the theory of layout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repetition patterns, coexistence of linguistic and materiality, attention to boundary and negation to total whole. The pedagogy of layout, in which the collective pattern is structurally deformed in time, conforms to the original problem consciousness of Deleuze and Guattari, slow and empirical education. In addition, the work of examining the materiality and expression of the education-machin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learning theory, an educational theory in the era of trans-human.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기하는 느리고, 경험적인 교육은 시간 속에서 반복되는 지속을 경험해야만 가능하다. 잠재성과 현실성의 짝으로 이루어진 이 세계의 주체성은 '기계'로 표현된다. '기계'의 주체성은 생성 자체이다. 클라우드 상 어디에나 존재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빅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사회의 주체성 또한 정보사회 자체이다. 정보사회는 개인의 욕망을 주체성의 발현에 앞서 관리하는 사회로 기울 위험을 안고 있다. '기계'는 언표적 배치와 기계적 배치로 이루어져 있다. 배치론에 입각한 사회과학은 반복되는 패턴, 언어성과 물질성의 공존, 경계에 대한 주의, 총체적 전체에 대한 부정이라는 특징을 공유한다. 시간 속에서 집합적 패턴이 구조적으로 변형되어 가는 양상을 띠는 배치의 교육학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본래 문제의식인 느리고, 경험적인 교육에 부합한다. 또, '교육-기계'의 물질성과 언표성을 고찰하는 작업은 탈인간 시대의 새로운 학습론, 교육론 확립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경(2015). 사람, 장소, 환대. 서울: 문학과 지성사.
  2. 이정우(2008). 천 하나의 고원. 파주: 돌베개.
  3. 한숭희(2019). 교육이 창조한 세계. 파주: 교육과학사.
  4. 大黑岳彦(2016). 情報社會の哲學: グークル.ビッデータ.人工知能. 東京: 勁草書房. 최승현 역(2021). 정보사회의 철학: 구글.빅데이터.인공지능. 서울: 박영스토리.
  5. Bogard, W.(2009). Deleuze and Machines: A Politics of Technology?. Poster, M. and Savat, D.(ed). Deleuze and New Technology.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5-31.
  6. Cole, D.(2011). Educational Life-Forms: Deleuzia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Rotterdam: Sense Publishers.
  7. Darwin, C. R.(1859).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장대익 역(2019). 종의 기원. 서울: 사이언스북스.
  8. Deleuze, G.(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Paris: PUF. 김상환 역(2004). 차이와 반복. 서울: 민음사.
  9. Deleuze, G.(1992). Postscript on the societies of control. October 59. 3-7.
  10. Deleuze, G. et Guattari, F.(1980).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2. Paris: Minuit. 김재인 역(2001).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2. 서울: 새물결.
  11. Foucault, M.(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Prison. New York: Vintage Books.
  12. Goffman, E.(2008). Interaction Ritual: Essays in Face-to-Face Behavior. 진수미 역(2013). 상호작용 의례: 대면 행동에 관한 에세이. 파주: 아카넷.
  13. Manuel DeLanda(2006). A New Philosophy of Society: Assemblage Theory and Social Complexity. New York and London: Continuum. 김영범 역(2019). 새로운 사회철학: 배치 이론과 사회적 복합성. 서울: 그린비.
  14. Maturana, H. R. and Varela, F. J.(1984). El arbol del concocimiento. 최호영 역(2007). 앎의 나무: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서울: 갈무리.
  15. O'Sullivan, S.(2006). Art Encounters Deleuze and Guattari. New York and London: Macmillan Publishers. 안구.이규원 역(2019). 현대미술 들뢰즈.가타리와 마주치다. 서울: 그린비.
  16. Pacini-ketchabaw, V. and Kocher, L. and Kind, S.(2016). Encounters with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17. Pearson, K-A.(1997). Viroid Life: Perspectives on Nietzsche and Transhuman Condition.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최승현 역(2019). 바이로이드적 생명: 니체와 탈인간의 조건. 서울: 그린비.
  18. Pearson, K-A.(1999). Germinal Life: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Deleuze.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이정우 역(2005). 싹트는 생명: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서울: 산해.
  19. Robinson, K.(2015). Creative Schools: The Grassroots Revolution That's Transforming Education. 정미나 역(2015).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학교혁명. 서울: 21세기북스.
  20. Rose, T.(2015). The End of Average. 정미나 역(2018). 평균의 종말. 서울: 21세기북스.
  21. Vance, Jr.(1990). The Continuing City: Urban Morphology in Western Civilization. Bo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2. Villani, A. and Sasso, R.(2003). Le Vocabulaire de Gilles Deleuze. 신지영 역(2013). 들뢰즈 개념어 사전. 서울: 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