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박정임 (서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명희 (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Received : 2022.02.24
  • Accepted : 2022.03.16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whose aims were to investigate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lected as its participants 8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m has been worked currently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profound interviews of those participants were performed and the data o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analysed. Also, the study analysed the data in a way of investigating the respondents' statements regarding their work and welfare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10 categories, 22 sub-categories and 5 key topics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s were drawn out. The 5 key topic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ride of the economic stability', 'happiness of work itself', 'a sense of accomplishment of the regular worker', 'recognition and exchange of the coworker and superior', 'expectation of the welfare service and the expan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ride of the economic stability', 'happiness of work itself', 'a sense of accomplishment of the regular worker', 'recognition and exchange of the coworker and superior', 'expectation of the welfare service and the expan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을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G장애인근로사업장내 발달장애인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하여 심층 인터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장애인근로사업장의 일과 복지서비스와 관련된 문서자료, 현장관찰, 문헌 검토 등을 실시하고 분석하여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은 총 10개의 구성요소와 22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의 본질은 총 5개로 도출되었다. 장애인근로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 경험의 본질은 경제적 자립의 안정과 자부심, 일 자체의 즐거움과 책임감, 사회 속에 정규직이라는 성취감, 직장 내 사람들의 인정 및 지지적 교류, 복지지원 및 참여확대에 대한 기대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을 위한 일과 복지서비스 지원의 국내 직업재활 정책적 방향과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도 서일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0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 2021.
  2. 정연구, 취업과 미취업에 따른 발달장애인 삶의 만족도 비교연구, 나사렛대학교 재활학 전공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 박광옥,.이동석, "발달장애인이 이용한 고용서비스경험의 제도적 상호관계 탐색-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pp.107-137, 2018.
  4. 최진혁, 신별해, "발달장애인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pp.583-585, 2018.
  5. 장애인표준사업장 생산품 홍보사이트, 2021.
  6.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홈페이지, 2021.
  7. 보건복지부, 2021년도 장애인복지사업안내 III, 2021.
  8. 김형주, 장애인표준사업장과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괜찮은 일자리 비교연구,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 윤정란, 조원일, "장애인의 '일'과 '복지'의 양립에 대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근로사업장 시설장의 인식연구," 발달장애연구, 제23권, 제3호, pp.69-90, 2019.
  10. 조인숙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복지 서비스'와 '생산성'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1. 송은주, 김경희, "당사자연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3, No.2, pp.87-111, 2019. https://doi.org/10.22867/KAQSW.2019.13.2.87
  12. M. L. West, I. Brown and P. T. Yanos, "Participation in peer support services and outcomes related to recovery," Psychiatric Rehabilitaion Journal, Vol.39, No.3, pp.274-281, 2016. https://doi.org/10.1037/prj0000178
  13. 윤예숙, "발달장애근로자의 직업성공요인과 직무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재활학 전공, 박사학위논문, 2018.
  14. 김영수.윤수인,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학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건강요인을 중심으로," 생명연구, Vol.54, pp.97-120, 2019.
  15. 유태균 역, 사회복지질적연구방법의 이론과 활용, 에드먼드 셔면 저, 나남출판, 2003.
  16. 권성민, 장애인표준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성공적인 고용유지를 위한 한국형 지원고용 뉴딜모형 개발연구,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7. 이광호, 강성률, "장애인표준사업장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업성공 영향요인," 인문 사회 21, 제12권, 제4호, pp.497-509, 2021.
  18. E. G. Guba and Y. S. Lincoln, 《Naturalistic Inquiry》 Newburry Park, CA: Sage, 1985.
  19. 이익동, 발달장애인의 고용관련 경험탐색-고등학교 및 고용초기 경험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