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애인근로사업장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장애인근로사업장 발달장애인의 일과 복지서비스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Park, Jung Im;Kim, Myung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5
    • /
    • pp.765-778
    • /
    • 2022
  •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whose aims were to investigate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lected as its participants 8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m has been worked currently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profound interviews of those participants were performed and the data o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analysed. Also, the study analysed the data in a way of investigating the respondents' statements regarding their work and welfare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10 categories, 22 sub-categories and 5 key topics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s were drawn out. The 5 key topic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ride of the economic stability', 'happiness of work itself', 'a sense of accomplishment of the regular worker', 'recognition and exchange of the coworker and superior', 'expectation of the welfare service and the expan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ride of the economic stability', 'happiness of work itself', 'a sense of accomplishment of the regular worker', 'recognition and exchange of the coworker and superior', 'expectation of the welfare service and the expansion of the participation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work and welfare servi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provided.

A Status Analysis and the Improvement Plan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Severely Disabled (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Park, Ju-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67-7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for the improvement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the products manufactured by severely disabled. So, This study analyze rehabilitation facilities of 28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heltered workshop rate is 57.1%, Welfare group of disabled is 29.8%, Work program is 13.1%. And Total worker is 8,358 people(average 28.92 people), worker with disabled is 6,119 people(average 21.17 people). Second, Most of the certificated item is printing/advertising(18.6%) and food(14.3%), office/stationary(12.8%) and so on. Third, Total sales is 17.8 million won and sale cost is 15.7 million won and net income is 2.1 million won. Also, The longer the certificated period, the higher the sales. Forth, It is supported to purchasing improve sales, improv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mprove wage of the disabled, improve working condi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successful of extension of priority purchasing ratio, additional purchasing point, support system of market. Base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n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 discussed.

Development of a Korean Sign Language Message Board in Workplace for Deaf People (청각장애인을 위한 작업 현장용 한국 수화 메시지 보드의 개발)

  • Jang, Hyo-Young;Oh, Young-Joon;Jung, Sung-Hoon;Park, Kwang-Hyun;Bien, Zeung-N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93-398
    • /
    • 2007
  • 본 논문은 작업 현장에서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보조하는 한국 수화 메시지 보드의 개발에 대하여 다룬다. 청각 장애인은 일상적인 직업 현장에서 의사소통이 자유롭지 못하여 업무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사내의 인간관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자를 이용한 정보 전달을 통해 모든 의사소통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청각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사물의 개념 습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어휘수도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에는 명확한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로 청각 장애 근로자가 이직하는 사유로 의사소통이나 인간관계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수화 메시지 보드는 크게 사내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지 사항 전달을 위한 용도와 복수 개의 메시지 보드 간 문자 송수신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비장애인이 청각장애인에게 문자 입력으로 의사를 전달하면, 전달된 문자는 문자-수화 번역기를 통해 자동으로 수화로 번역되어 아바타의 수화 동작으로 화면에 출력된다. 전체 시스템은 수화 아바타를 포함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수화 데이터베이스 및 한글 형태소/문장 분석기를 포함하는 문자-수화 번역기, 그리고 TCP/IP 기반의 문자 전송기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는 수화 데이터베이스의 단어 선정을 위한 대상 작업 현장을 청각 장애 근로자가 타 직업에 비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 부품 조립 업체로 한정하였다. 수화 데이터베이스는 자음 14종, 모음 17종, 숫자 15종, 일상생활 용어 1000종, 전자 부품 조립 업체에 특화된 단어 50종 및 직업 교육 관련 용어 50종으로 이루어진 총 1146종의 수화 단어를 포함하며, 수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단어에 대해서는 지화로 표현하도록 한다. 이 중 전자 부품 조립 업체 특화 단어와 관련하여서는, 현재 동일한 분야의 작업 현장이라 하더라도 각 사업장 간 사용되는 수화가 통일되지 않아 문헌 조사 및 현장 조사를 통해 사용 빈도가 높고 형태가 공통적인 50종을 추려내었다. 본 연구는 실제 업무현장에서 청각장애인이 겪는 의사소통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직업 현장에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일을 통해 자아 실현을 하도록 돕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