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examination of the Significance of Devotional Offerings at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대순진리회 도장 치성의 의미 재검토

  • Cha Seon-keun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2.07.07
  • Accepted : 2022.09.14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evotional offerings held in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道場 dojang) and to interpret their identity. Firstly, the existing research insists that the significance of these rituals implies that offerings held by Daesoon Jinrihoe embody the order's religious purpose.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purpose of devotional offerings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ason is that the primary sources of Daesoon Jinrihoe defines the devotional offerings as practiced for purposes of worship, celebration, commemoration, the expression of gratitude,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to humbly beg pardon from divine beings. Additionally, the offerings are meant to express the solid faith of devotees. Considering the various purposes of practicing devotional offerings, rather than mostly being about prayer to divine beings, the meaning of the offerings could be better understood as form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unique ideas and intentions. Secondly, in the light of Korea's history of rituals, the devotional offerings of Daesoon Jinrihoe obviously differ from the rituals of Confucianism or the ritual for Heaven and Earth (圜丘祭 hwanguje). Indeed, the rituals of Daesoon Jinrihoe are rather alien to both of the aforementioned rituals. Accordingly, the identity of the devotional offerings in Daesoon Jinrihoe do neither succeed to the religious and cultural tradition of Korea nor transform it. It is rather the case that Daesoon Jinrihoe's devotional offerings should be identified as having been newly invented. In this regard, the devotional offerings of Daesoon Jinrihoe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vented tradition that began in modern times. In other words, they are 'invented rituals to Heaven.'

이 글은 대순진리회 도장에서 개최되는 치성 의례의 의미를 재확인하고 그 정체성을 읽은 것이다. 첫째, 기존의 연구들은 대순진리회 치성이 회생 또는 도통이라는 종교적 목적을 발원함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하였으나, 이 글은 치성의 주된 목적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대순진리회의 1차 자료는 치성을 신들에게 올리는 경축·기념·감사·찬양·고유·사죄이며, 신앙인들의 굳건한 믿음[誠信]의 표현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치성을 연행하는 목적도 그 의미가 신을 향한 기도나 발원보다는, 특정한 의사를 전달하는 소통과 교환에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한국 의례사에서 볼 때, 대순진리회의 치성은 유교의 제사나 환구제와 비교하면 그들과 다른 차이가 상당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유교의 제사나 환구제의 입장에서는 대순진리회 치성이 매우 이질적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순진리회 치성의 정체성은 한국의 종교문화 전통을 계승했거나 변용한 것이 아니라, 근대 이후 새롭게 발명된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 즉 대순진리회 치성은 '발명된 천제'다.

Keywords

References

  1. 「高麗史」
  2. 「大韓禮典」
  3. 「三國志」
  4. 「禮記」
  5. 「後漢書」
  6. 「圜丘壇祠祭署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자료.
  7. 김하정, 「성재일지」, 필사본.
  8. 대순종교문화연구소, 「도전 훈시」, 미발행 자료.
  9. 대순진리회, 「도헌」, 1985.
  10.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11. 대순진리회 교무부, 「의식」 3판,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간행년 미상.
  12.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단 소식」, 「대순회보」 11, 1988.
  13.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단 소식」, 「대순회보」 36, 1993.
  14.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단 소식」, 「대순회보」 41, 1994.
  15.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단 소식」, 「대순회보」 57, 1997.
  16.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17. 여주도장 총무부, 「업무일지(1987년)」, 필사본.
  18. 여주도장 총무부, 「업무일지(1988년)」, 필사본.
  19. 여주도장 총무부, 「업무일지(1990년)」, 필사본.
  20. 태극도, 「규정」, 부산: 태극도, 1963.
  21.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연구」 62, 2011. https://doi.org/10.21457/kars..62.201103.237
  22. 강돈구, 「유교 조상의례의 미래」, 「종교연구」 69, 2012. https://doi.org/10.21457/kars..69.201212.1
  23.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 73, 2013. https://doi.org/10.21457/kars..73.201312.145
  24.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연중 종교 생활」, 「한국 종교교단 연구XIII」,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25.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가제례」,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2016.
  26. 금장태, 「제천의례의 역사적 고찰」, 「대동문화연구」 25, 1990.
  27. 김문식 외, 「왕실의 천지제사」, 파주: 돌베개, 2011.
  28. 김미영, 「조상제례의 규범성과 실제성」, 「역사민속학」 51, 2016. http://uci.or.kr/G704-000849.2016..51.008
  29. 김윤정, 「조선후기 사례(四禮)의 전형」, 「민족문화연구」 86, 2020. https://doi.org/10.17948/kcs.2020..86.129
  30. 대순진리회 교무부, 「봉천명치성」, 「대순회보」 120, 2011.
  31. 대순진리회 교무부, 「도주님 감오득도치성」, 「대순회보」 129, 2012.
  32.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단에서는 언제 치성을 모십니까?」, 「대순회보」 171, 2015.
  33. 박일영, 「한국 무교의 이해」, 칠곡: 분도출판사, 1999.
  34. 방옥자, 「한국 신종교 의례에 나타난 음식의 상징」, 「종교문화연구」 26, 2016. http://uci.or.kr/G704-SER000002978.2016..26.007
  35. 백경언.이경원, 「증산계 신종교의 의례와 상징에 관한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0, 2016. http://uci.or.kr/G704-002009.2016..70.003
  36. 서영대, 「백제의 오제신앙과 그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20, 2000.
  37. 서영대, 「한국 암각화의 신앙과 의례」, 「한국암각화연구」 12, 2008.
  38. 서영대,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한국사 시민강좌」 45, 2009.
  39. 에릭 홉스봄, 「대량 생산되는 전통들」, 에릭 홉스봄.테렌스 레인저 편집, 「만들어진 전통」, 박지향.장문석 옮김, 서울: 휴머니스트, 2004.
  40. 윤관동, 「근대 한국선도의 제천의례 연구」, 「도교문화연구」 24, 2006. http://uci.or.kr/G704-001241.2006..24.003
  41. 윤미정, 「치성 의례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대순회보」 193, 2017.
  42. 이경원,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20, 2009. https://doi.org/10.22245/jkanr.2009.20.20.133
  43. 이은주, 「전통문화 속에서의 좌.우 개념」, 「한국민속학보」 8, 1997.
  44. 이 욱, 「대한제국기 환구제에 관한 연구」, 「종교연구」 30, 2003.
  45. 이 욱, 「대종교의 선의식과 단군의례」, 「신종교연구」 8, 2003.
  46. 이 욱, 「조선 및 한국 근대의 제천문화」, 「선도문화」 8, 2010. https://doi.org/10.35573/JKSC.8.3
  47. 이재 외, 「증보 사례편람 역주본」, 문옥표.이충구 역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48. 장병길, 「증산종교사상」,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6.
  49.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50. 조현범, 「의례의 문화사를 통해서 본 한국 종교의 흐름」, 「한신인문학연구」 5, 2004.
  51. 차선근, 「증산계 일괄 기술에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향」, 「신종교연구」 30, 2014. https://doi.org/10.22245/jkanr.2014.30.30.57
  52.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I)」,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241
  53. 차선근, 「중양절의 원혼 위무와 치성」, 「대순회보」 248, 2021.
  54. 최광식, 「한국 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7.
  55. 최길성, 「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56. 최종성, 「숨은 천제」, 「종교연구」 53, 2008. https://doi.org/10.21457/kars..53.200812.63
  57. 캐서린 벨, 「의례의 이해」, 류성민 옮김, 오산: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7.
  58. 한영우, 「대한제국 성립 과정과《대례의궤》」, 「한국사론」 45, 2001.
  59. Gary E. Kessler, Studying Religion, New York: McGrawHill, 2006.
  60. Joseph Henninger, "Sacrifice," in Mircea Eliade ed.,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12,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