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초등 과학 지도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인식과 실제에 대한 사례 연구

  • Received : 2022.01.06
  • Accepted : 2022.02.10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the thre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and investigate strategic measures to improve them. The study progress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 self-awareness checklist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and agreed upon by two process-focused assessment-leading teachers and tw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experts. Consequently, the level of self-awareness of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the three participants was relatively high. However, the scale average of the feedback area was the lowest on average. The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th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levels and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some inconsistencies between perception and practice were found. Strategic support and education are needed to enhan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and the development of self-diagnosis tools should proce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지도교사 3인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파악하고, 이를 신장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자기 인식 체크리스트,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자를 포함한 과정 중심 평가 선도 교원 2인과 초등 과학 교육 전문가 2인의 검토와 합의를 거쳤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 3인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인식 수준은 비교적 높았지만, 공통적으로 결과 환류 영역의 척도 평균이 가장 낮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학생 평가 전문성은 서로 다른 수준과 특징을 보였으며,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불일치도 일부 발견되었다.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전략적인 지원과 교육이 필요하며, 초등 과학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도구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1년도 서울교육대학교 교내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대중(2016).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수준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9(2), 155-170.
  2. 강훈식, 강석진(2015).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가진단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34(2), 153-163.
  3. 고재천(2001).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14(2), 159-179.
  4. 곽영순, 하지훈(2020).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정 중심 평가 적용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463-471.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5.463
  5. 김경희, 김신영, 김성숙, 지은림, 반재천, 김수동(2006).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교육평가연구, 19, 89-112.
  6. 김동영, 안희수(2006).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3-88.
  7. 김석우(2007).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교육평가연구, 20, 53-73.
  8. 김선희(2006). 학생 평가 전문성을 갖춘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수학학습평가] 강좌의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안. 학교수학, 8(3), 301-326.
  9. 김수동, 전영석(2005). 과학수업에서 학생 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05-51-5.
  10. 김신영(2002). 교실 내 평가의 특성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집, 34, 541-558.
  11. 김유향, 노은희, 김인숙, 박종임, 이인화, 김미경, 정연준, 성경희, 김광규, 장근주, 김정효, 유창완(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7-19-2.
  12. 김찬종(2009). 교사 연수와 수업 전문성 발전. 교육연구와 실천, 75, 67-69.
  13. 노태희, 윤지현, 강석진(2009). 초등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 및 관련 변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28(3), 352-360.
  14. 민희정(2012).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실태분석 및 교사연수를 통한 평가 전문성 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정(2013). 초등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357-376. https://doi.org/10.24211/TJKTE.2013.30.3.357
  16.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2018).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8-5.
  17. 송미영, 김경희(2007).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도구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0(1), 47-74.
  18. 엄장희, 김희백(2020).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모델링 PCK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543-563.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5.543
  19.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전찬희, 오세덕 (2008). 과학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47-66.
  20. 윤상이(2015). 초등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이 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윤지현, 강석진, 노태희(2010).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29(1), 86-92.
  22. 이빛나, 손원숙(2018).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피드백, 학습과제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차이. 교육평가연구, 31(3), 501-529.
  23. 이인제, 이범홍, 박정, 진재관, 김옥남, 서수현, 김신영(2004).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모형과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5-2.
  24. 임은영(2019). 교사의 학생 평가 역량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2(1), 101-124. https://doi.org/10.22799/JCE.2019.22.1.005
  25.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전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8-272.
  26. 정경화(2019).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습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3(6), 531-547. https://doi.org/10.24231/RICI.2019.23.6.531
  27. 조지민, 박종임, 김태환, 오리사(2021). 초.중등 학생 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 용어 정비 방안 탐색 [2021 KICE 이슈페이퍼]. 연구자료 ORM 2021-40-6.
  28. 한국과학창의재단(2021). 교사의 피드백 역량 강화 프로그램 workshop resourse book. 한국과학창의재단.
  29. 홍서영, 한동균(2017).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사회과교육, 56(3), 53-72.
  30. Anderson, J., & Eppard, J. (1998). Van Kaam's method revisited. Qualitative Health Research, 8(3), 399-403. https://doi.org/10.1177/104973239800800310
  31. Furtak, E. M., Morrison, D., & Kroog, H. (2014).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learning progressions and classroom assessment. Science Education, 98(4), 640-673. https://doi.org/10.1002/sce.21122
  32. Hanuscin, D. L., Lee, M. H., & Akerson, V. L. (2011).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95(1), 145-167. https://doi.org/10.1002/sce.20404
  33. Kim, S. (2012). Qualitative case study in the study of primary educatio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Studies, 19(2), 31-57.
  3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35. McMillan. (200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 and pr actice for effective instr uction. Boston: Allyn & Bacon.
  36. Richmond, G., & Manokore, V. (2011). Identifying elements critical for functional and sustainabl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cience Education, 95(3), 543-570. https://doi.org/10.1002/sce.20430
  37. Taber, K. (2015).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In B. J. Fraser, K. G. Tobin, & C. J. McRobbie (Eds.), Science & Education, 24(3), 319-337. https://doi.org/10.1007/s11191-014-97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