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산업생태계를 고려한 석유·가스개발산업의 경제적 유발효과 분석

Analysis for Economic Induced Effect of Oil and Gas E&P Industry's Business Ecosystem

  • 김지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전략연구센터) ;
  • 김윤경 (이화여자대학교)
  • Ji Whan Kim (Minerals Strategy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Yoon Kyung Kim (Department of Economics,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22.11.21
  • 심사 : 2022.12.09
  • 발행 : 2022.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업생태계의 관점에서 호주, 노르웨이, 미국, 일본, 한국을 대상으로 석유·가스개발산업이 갖는 경제적 효과를 유발효과 측면에서 추정하였다. 석유·가스개발사업을 활발하게 하는 국가인 호주, 노르웨이, 미국을, 그리고 그렇지 않은 일본과 우리나라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산업생태계가 형성되어 있으면 자원개발에서 발생한 수요가 산업생태계를 타고 다른 산업들에 대해서 생산을 유발시키므로 보다 큰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호주, 노르웨이, 미국, 일본, 한국은 석유·가스개발산업의 생산유발계수가 1보다 크다. 노르웨이와 미국은 전 산업에 걸친 산업생태계를 형성하여 1, 2, 3차산업에 대해서 고르게 중간투입재들을 수요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와 일본은 3차산업으로부터의 투입 비중이 매우 크고 3차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산업생태계 내에서 특정 산업군이 보유하는 투입 비중의 여하가 유발효과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해당 산업을 지탱하고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연관 산업들이 각 산업군에 골고루 분포하여 영향력 계수가 높게 나타나고 생산유발계수가 높으면 해당 산업의 생산 규모를 증가시켜 계수들의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siness ecosystem, the economic effects of the oil and gas E&P industry were estimated. Australia, Norway, and the US, which are countries that are active in oil and gas E&P projects, and Japan and Korea, which are no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every country has a induced production coefficient of the oil and gas E&P industry greater than 1. Norway and the US have formed an industrial ecosystem across all industries, evenly demanding intermediate inputs for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In contrast, Korea and Japan have a very large input ratio from the tertiary industry and an industrial ecosystem centered on the tertiary industr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high input ratio of certain industry in business ecosystem determine the scale of the induced effect. When the business ecosystem are formed with many industries evenly, and the induced coefficient is hig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final demand of the industry to make the effects of coefficient to increas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수.황인수,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공급사슬 민첩성의 결정요인과 성과", 「무역통상학회지」, 제14권 제4호, 2014, pp. 69~94.
  2. 김윤경, "우리나라 석유산업의 경제적 영향력 분석", 「한국자원공학회」, 제59권 제4호, 2022, pp. 398~407.
  3. 김윤경.김진수, "해외자원개발사업의 국내 경제 파급 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제19권 제1호, 2020, pp. 37~57. https://doi.org/10.22794/KEER.2020.19.1.002
  4. 김지환.김윤경, "해외석유가스개발사업의 국내 산업군 수주율별 유발효과 추정 연구", 「경제연구」, 제33권 제2호, 2015, pp. 61~84.
  5. 이원복.박문수.정근주, "자원개발 서비스산업의 성장잠재력과 육성 방안", 연구보고서 2012-632, 산업연구원, 2012.
  6. 이유진, "국내 에너지신산업의 규모와 지리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경제연구」, 제20권 제1호, 2022, pp. 25~48.
  7. 이정동, "한국 산업 생태계의 신진대사 진단과 시사점", ISSUE PAPER 2015-17, 한국과학기술평가원, 2015.
  8. 정우진, "해외자원개발의 국내경제.산업효과분석", 기본연구보고서,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9. 조미경.강명구, "지역 산업생태계의 동태적 변화 분석 : 자동차 기업 네트워크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2권 제4호, 2020, pp. 43~66.
  10. 한국석유공사, Accessed 2022.5.10., https://www.knoc.co.kr/sub03/sub03_1_4.jsp
  11.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한국은행, 2014.
  12.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Accessed 2022.5.1., https://ecos.bok.or.kr/#/SearchStat
  13. 한은정.홍순구, "산업생태계의 기술혁신과 가치창출 구조 변화",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제1호, 2017, pp. 175~204.
  14. 해외자원개발진흥재단, "해외자원개발사업의 필요성과 경제적 효과 연구", 연구보고서, 2017.
  15.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ustralia, Accessed 2022.7.15., https://www.abs.gov.au/statistics/economy/national-accounts/australian-national-accounts-input-output-tables/2019-20#data-download
  16. Bureau of Economic Analysis US, Accessed 2022.7.15., https://www.bea.gov/industry/input-output-accounts-data
  17. e-Stat Japan, Accessed 2022.7.15., https://www.e-stat.go.jp/stat-search/files?page=1&layout=datalist&toukei=00200603&tstat=000001130583&cycle=0&tclass1val=0
  18. JOGMEC, Press Release 2022.1.17., Accessed 2022.2.5., https://www.jogmec.go.jp/news/release/news_01_00002.html
  19. Koike, M., G. Mogi, and W. H. Albedaiwi, "Overseas oil-development policy of resource-poor countries: A case study from Japan," Energy Policy, Vol. 36, 2008, pp. 1764~1775. https://doi.org/10.1016/j.enpol.2008.01.037
  20. Miyazawa, K., Introduction of Input-Output Analysis, Nihonkeizai Shinbunsha, Tokyo, Japan, 1996, pp. 81~93.
  21. Statistics Norway, Accessed 2022.7.15., https://www.ssb.no/en/nasjonalregnskap-og-konjunkturer/metoder-og-dokumentasjon/supply-and-use-and-input-output-t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