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ng the Investment Value of Fuel Cell Power Plant Under Dual Price Uncertainties Based on Real Options Methodology

이중 가격 불확실성하에서 실물옵션 모형기반 연료전지 발전소 경제적 가치 분석

  • Sunho Kim (Korea Mine Rehabilitation and Mineral Resources Corporation) ;
  • Wooyoung Jeon (Department of Econom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선호 (한국광해광업공단 개발기획팀) ;
  • 전우영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 Received : 2022.11.30
  • Accepted : 2022.12.05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Hydrogen energ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means of carbon neutrality in the various sectors including power, transportation, storage, and industrial processes. Fuel cell power plants are the fastest spreading in the hydrogen ecosystem and are one of the key power sources among means of implementing carbon neutrality in 2050. However, high volatility in system marginal price (SMP)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prices, which affect the profits of fuel cell power plants, delay the investment timing and deployment. This study applied the real option methodology to analyze how the dual uncertainties in both SMP and REC prices affect the investment trigger price level in the irreversible investment decision of fuel cell power plants. The analysis is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under the current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dual price uncertainties passed on to plant owner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vestment trigger price relative to one under the deterministic price case. Second, reducing the volatility of REC price by half of the current level caused a significant drop in investment trigger prices and its investment trigger price is similar to one caused by offering one additional REC multiplier. Third, investment trigger price based on gray hydrogen and green hydrogen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existing byproduct hydrogen-based fuel cells, and in the case of gray hydrogen, economic feasibility were narrowed significantly with green hydrogen when carbon cost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urrent RPS system works as an obstacle to the deployment of fuel cell power plants, and policy that provides more stable revenue to plants is needed to build a more cost-effective and stable hydrogen ecosystem.

발전, 수송, 저장, 산업공정 등 에너지 사용 전반에서 탄소중립의 중요한 수단으로 수소에너지가 부각되고 있다. 연료전지 발전소는 수소 생태계에서 가장 빠르게 보급되고 있으며 2050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핵심적인 발전원 중 하나이다. 하지만 연료전지 발전소의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전력도매가격(SMP)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격의 높은 변동성은 잠재적 사업자들의 투자시기를 지연시켜 보급에 걸림돌로 작동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물옵션 방법론을 적용하여 비가역적인 연료전지 발전소의 투자결정에 있어서 SMP와 REC 가격 이중 불확실성이 투자임계가격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현행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하에서 사업자에게 전가되는 이중가격 불확실성은 결정론적 가격 대비 투자임계가격을 상당히 증가시켜 현재 가격 수준에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C 가격 변동성을 현재의 절반으로 경감하는 것은 REC 가중치를 한 단위 추가로 부여하는 것 만큼의 투자임계가격 하락 효과를 유발하였다. 셋째, 기존 부생수소 기반 연료전지와 함께 그레이 수소, 그린 수소 기반 투자임계가격을 분석하였으며, 그레이 수소의 경우 탄소배출권 비용이 적용될 경우 그린 수소와 경제성이 상당 부분 좁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행 RPS 제도가 연료전지 발전소 보급에 저해요소로 작동하며, 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정책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부)관계부처 합동,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2021.
  2. 기획재정부 훈령,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총괄지침", 2022.
  3. 김재경,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수립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9.
  4. 남영식.강희찬, "투입 및 산출 요소 확률과정을 고려한 연료전지 발전시설 최적 투자관리 연구", 「경제학연구」, 제65집 제3호, 2017, pp. 77~107. https://doi.org/10.22841/KJES.2017.65.3.003
  5. 박호정, "실물옵션과 투자분석", ISBN 979-11-964376-0-2 93320, 2018.
  6. 박호정.남영식, "전력가격 평균회귀성을 고려한 연료전지 발전의 실물옵션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7권 제4호, 2018, pp. 613~637.
  7. 박호정.장철호, "실물옵션을 이용한 소형열병합발전의 경제성 평가: 전력가격 변동성을 고려하여",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6권 제4호, 2007, pp. 763~779.
  8. 윤대원, "남동발전 여수본부 연료전지 '국내 최고 이용률' 99.2% 기록", 전기신문, 2022.01.19.,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8066
  9. 정세영, "경남 창원에 100M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시동'", 전기신문, 2021.06.02.,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167
  10. Dixit, A., R. Pindyck, Investment under Uncertain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11. Heydari, S., N. Ovenden, A. Siddiqui, "Real options analysis of investment in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technology," Computational Management Science, Vol. 9, 2012, pp. 109~138. https://doi.org/10.1007/s10287-010-0124-5
  12. Mahnovski, S., Robust decisions and deep uncertainty: an application of real options to public and private investment in hydrogen and fuel cell technologies, RAND, 2006.
  13. Walsh, D. M., K. O'Sullivan, "When to invest in carbon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y: A mathematical model," Energy Economics, Vol. 42, 2014, pp. 219~225. https://doi.org/10.1016/j.eneco.2013.1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