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Usage Intention of Metaverse Services in the Work Environment

업무환경에서의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Received : 2022.09.11
  • Accepted : 2022.11.16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Metavers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recently, with digitalization accelerated by the COVID-19 pandemic that started in 2019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expected to bring a new revolution in our life as a whole in user experience. In particular, as telecommuting was adopted in the business area, interest in virtual office services such as digital video conferencing and remote offices, which are similar to the metaverse, has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the metaverse service used in the work environment was applied to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2(UTAUT2). External variables for metaverse characteristics, such as self-presentation, telepresence, and technostres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In this study, PC-based Gather.town and VR-based Facebook Horizon, currently the most well-known and considered usable in work environments, were introduced to potential users and conducted a survey.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in that the research has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echnology acceptance intention of users who want to apply the metaverse as a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 UTAUT2 model,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mainly researched on the general metaverse. In practice, it may be helpful to suggest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firms adopt the metaverse for business purposes.

메타버스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2019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해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가장 빈번하게 회자되는 용어 중 하나이다. 메타버스는 사용자 경험에 있어 전반적인 우리의 삶에 새로운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업무영역에서도 원격근무를 채택하게 되면서, 디지털 화상회의, 원격오피스 등의 가상 서비스, 즉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의도에 대하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2)에 메타버스 특성을 나타내는 요인들인 자기표현 욕구, 원격 현전감, 그리고 테크노스트레스를 추가하여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가 아직 많이 보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면서 업무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PC 기반의 게더타운과 VR 기반의 페이스북 호라이즌을 잠재적인 사용자들에게 소개하고 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메타버스를 대상으로 하여 주로 연구되었던 기존 연구와 달리 메타버스를 업무환경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기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를 기반으로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메타버스를 업무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서 적용할 때 고려해야하는 요인들에 대해서 제언함으로써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 신선진, 김희웅 (2008).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기표현욕구의 영향요인과 디지털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경영정보학연구, 18(1), 117-144. 
  2. 권오현 (2012). 메타버스 내 게임형 가상세계와 생활형 가상세계에 대한 연구: 몰입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3. 김경준, 김기동 (2019). 지자체 공무원의 테크노스트레스와 정보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와 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3), 48-60.  https://doi.org/10.5392/JKCA.2019.19.03.048
  4. 김상균 (2020). 메타버스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 디자인. 
  5. 김상균, 신병호 (2021).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 베가북스, pp. 34-38. 
  6. 김준, 유재현 (2022). 메타버스 서비스의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만족과 플로우를 중심으로. 지식경영 연구, 23(2), 99-122. 
  7. 김창식, 이윤희, 안현철 (2021). 메타버스에 관한 연구: 뉴스 빅데이터 서비스 활용과 사레 연구를 중심으로.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논문지, 17(2), 85-101. 
  8. 류성한, 윤혜정, 박재현, 장영훈 (2022). 메타버스 개념 및 현황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 방향 제안. 지식경영연구, 23(2), 1-13.  https://doi.org/10.15813/KMR.2022.23.2.001
  9. 문형도, 김준우, 김연수 (2008). 개인형 커뮤니티에 대한 기술수용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31(1), 11-20. 
  10. 박영숙, 제롬 글렌 (2021). 세계미래보고서 메타 사피엔스가 온다. 비즈니스북스, pp. 169-173. 
  11. 신수정, 박현영, 구지원, 조민정, 최재연, 이원희, 정석환 (2021). 2022 트랜드 노트-라이프스타일의 시대에서 신념의 시대로. 북스톤, pp. 119-128. 
  12. 안재영, 심소연, 윤혜정 (2022).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버스 증강현실 연구 동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3(2), 123-142.  https://doi.org/10.15813/KMR.2022.23.2.007
  13. 오지희 (2021).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을 적용한 메타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가상세계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0), 204-216.  https://doi.org/10.5392/JKCA.2021.21.10.204
  14. 이승환 (2021). 로그인(Log In) 메타버스: 인간x공간x시간의 혁명.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Issue Report IS-115. 
  15. 이승환 (2022). 메타버스 일하는 방식을 바꾸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Issue Report IS-137. 
  16. 이승환, 한상열 (2021). 메타버스 비긴즈(BEGINS): 5대 이슈와 전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Issue Report IS-116. 
  17. 이항, 김준환 (2019). 블록체인 활용에 대한 테크노스트레스가 기술수용모델(TAM)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9(8), 27-34. 
  18. 임선희 (2022). 초개인화 시대의 고객 경험 전략: Z세대 특성을 중심으로. 에스코어 주식회사, S-Core Insight Report 2022. 
  19. 장한진, 노기영 (2017).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이용자들의 가상현실기기 채택 행동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353-361.  https://doi.org/10.14400/JDC.2017.15.5.353
  20. 정병규, 동학림 (2019).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벤처창업연구, 14(3), 153-168  https://doi.org/10.16972/APJBVE.14.3.201906.153
  21. 조훈, 한경석, 안용준, 홍수희 (2020). 초고화질 VR 음악 공연영상 만족 및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3), 539-549.
  22. 진석 (2021). 확장현실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UTAUT2모형의 응용.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7), 1101-1114.
  23. 최원석, 강다영, 최세정 (2017).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디바이스 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UTAUT2)을 중심으로. 정보사회와 미디어, 18(3), 173-208. 
  24. 최형욱 (2021).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 한스미디어, pp. 61-62. 
  25. 한상열 (2022). 2021 국외디지털콘텐츠 시장조사.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pp. 417-425.
  26. Algahtani, M., Altameem, A., & Baig, A. R. (2021). An extended UTAUT2 model to explain the adop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health centers: An empirical study based in Riyadh.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ork Security, 21(3), 219-228. https://doi.org/10.22937/IJCSNS.2021.21.3.30 
  27. Ayyagari, R., Grover, V., & Purvis, R. (2011). Technostress: Technological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MIS Quarterly, 35(4), 831-858. https://doi.org/10.2307/41409963 
  28. Brod, C. (1984). Technostress: The human cost of the computer revolution. Reading, Mass.: Addison-Wesley. http://archive.org/details/technostresshuma0000brod 
  29. Chiao, H. M., Chen, Y. L., & Huang, W. H. (2018). Examining the usability of an online virtual tour-guiding platform for cultural tourism education. Journal of Hospitality, Leisure, Sport & Tourism Education, 23, 29-38. https://doi.org/10.1016/j.jhlste.2018.05.002 
  30.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31. Ellison, N., Heino, R., & Gibbs, J. (2006). Managing impressions online: Self-presentation processes in the online dat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1(2), 415-441.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0.x 
  32. Hooi, R., & Cho, H. (2017). Virtual world continuance intention.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8), 1454-1464. https://doi.org/10.1016/j.tele.2017.06.009 
  33. Khlaif, Z. N., Sanmugam, M., & Ayyoub, A. (2022). Impact of technostress on continuance intentions to use mobile technology.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 https://doi.org/10.1007/s40299-021-00638-x 
  34. Kim, C., Lee, S. G., & Kang, M. (2012). I became an attractive person in the virtual world: Users' identification with virtual communities and avata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5), 1663-1669. https://doi.org/10.1016/j.chb.2012.04.004 
  35. Kim, T., & Biocca, F. (1997). Telepresence via television: Two dimensions of telepresence may have different connections to memory and persuas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3(2), JCMC325. https://doi.org/10.1111/j.1083-6101.1997.tb00073.x 
  36. Leary, M. R., & Kowalski, R. M. (1990). Impression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1), 34-47. https://doi.org/10.1037/0033-2909.107.1.34 
  37. Lin, Z., Zhou, Z., Fang, Y., Vogel, D., & Liang, L. (2018). Understanding affective commitment in social virtual worlds: The role of cultural tightness. Information & Management, 55(8), 984-1004. https://doi.org/10.1016/j.im.2018.05.005 
  38. Mantymaki, M., & Salo, J. (2013). Purchasing behavior in social virtual worlds: An examination of Habbo Hotel.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3(2), 282-290. https://doi.org/10.1016/j.ijinfomgt.2012.12.002 
  39. Moore, J. E. (2000). One road to turnover: An examination of work exhaustion in technology professionals. MIS Quarterly, 24(1), 141-168. https://doi.org/10.2307/3250982 
  40. Na, J., & Wui, M. (2019). A study on the intention of using VR games: Focusing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9(3),53-64.  https://doi.org/10.7583/JKGS.2019.19.3.53
  41. Steuer, J. (1992).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2.tb00812.x 
  42.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43. Venkatesh, V., Thong, J. Y. L., & Xu, X. (2012).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36(1), 157-178. https://doi.org/10.2307/41410412 
  44. Wei, N., & Li, Z. (2021).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in mobile learning system: Its relation with open innovation.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7(1), 78. https://doi.org/10.3390/joitmc7010078 
  45. Ye, S., Lei, S. I., Shen, H., & Xiao, H. (2020).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and customers' intention to purchase online peer-to-peer accommodation: A mediating model.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42, 119-129. https://doi.org/10.1016/j.jhtm.2019.11.008 
  46. 월천 가이더 웹사이트 (2022, 9월 4일). 메타버스 플랫폼 종류 비교 순위 TOP10. https://wolchens.com/%eb%a9%94%ed%83%80%eb%b2%84%ec%8a%a4-%ed%94%8c%eb%9e%ab%ed%8f%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