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Treatment and Analysis of the Paint of a C-46 Transport

근현대 대형유물 C-46 수송기의 도료분석 및 보존처리

  • Kang, Hyunsam (Department of Exhibition and collection, The War Memorial of Korea) ;
  • Jang, Hanul (Department of Exhibition and collection, The War Memorial of Korea) ;
  • Lee, Uicheon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 Kim, Soochu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강현삼 (전쟁기념관 전시유물부) ;
  • 장한울 (전쟁기념관 전시유물부) ;
  • 이의천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 김수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2.03.30
  • Accepted : 2022.04.25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A C-46 transport aircraft, which can be thought of as a large cultural heritage item from the modern period, was subjected to paint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in preparation for its exhibition. The C-46 is the first aircraft ever dispatched to overseas combat zones by the Korean Air Force and carried out missions during the Vietnam War. The aircraft is mainly made of aluminum and shows signs of corrosion on its surface, including pitting and etching, as well as gray and white powdery attachments. In the analysis of the paint, diatomite(SiO2·nH2O) was confirmed in the red paint, titanium dioxide(TiO2) was identified in the white paint, black iron oxide(Fe3O4) was detected in the black paint, and colcothar(Fe3O4) mixed with putty was confirmed in the blue paint. Infrared spectroscopy revealed the use of alkyd resin in the paint on the main body and nitrocellulose in the Taegeuk pattern. Dur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mechanical cleaning, such as sanding, was conducted to remove paint and varnish from the surface. Corrosion was removed by sanding and cleaning with chemical solvents, and new paints and varnishes were applied. Through the paint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the aircraft was made available for exhibition in a stable condition.

근현대 대형유물 C-46 수송기의 전시를 위해 도료분석 및 보존처리를 하였다. C-46 수송기는 우리 공군 최초의 해외 참전 항공기로서 베트남 전쟁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재질은 알루미늄이 대부분으로 표면에서는 움푹 파임(Pitting), 긁힘(Etching) 형태가 보이고 회색 또는 흰색 가루 모양의 부착물로 나타난다. 분석결과, 적색은 규조토(SiO2·nH2O), 백색의 이산화티탄(TiO2), 흑색의 철흑(Fe304), 청색에서는 철단(鐵丹_ Fe304)이 혼합된 퍼티를 사용했다. 적외선 분광분석 결과는 알키드 수지(Alkyd Resin), 태극무늬 부분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도료가 사용되었다. 처리는 샌딩 및 세척 등 기계적, 화학적 용제로 부식물을 제거하고 도료 도포 등을 진행하였다. 도료분석과 보존처리를 통하여 안정한 상태로 전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항공정비 일반, p6-2, 항공정비사 표준교재, 서울, (2016).
  2. 국토교통부, 항공정비 일반, p6-3, 항공정비사 표준교재, 서울, (2016).
  3. 강현삼, 학술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야외 금속문화재 보존처리와 보존관리, p17-33,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대전, (2021).
  4. 장인기, 김영진, 서현수, 전부일, 한국형 기동헬기 꼬리 날개 디페인팅 현상을 통한 도장 품질 향상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42(3), p325-338, (2014). https://doi.org/10.7469/JKSQM.2014.42.3.325
  5. 김수철, 최재완, 이지은, 근.현대 문화재 인력거 재질분석 연구, 보존과학회지 32(1), p33-42,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1.04
  6. 강현삼, 김수철, 박민수, 전쟁기념관 소장 6.25전쟁 방산장비의 도료 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32(2), p215-221,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2.10
  7. 강현삼, 장한울, 김수철, 이의천, 등록문화재 제666호 F-51D 무스탕 전투기 과학적 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23, p71-90, (2020).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0.23.0071
  8. 권희홍, 권인철, 김영목, 한예빈, 정유준, 페인팅 조각의 보존처리: 니키드 생팔 '검은 나나', 미술작품의 보존 5, p5-26, (2019).
  9. 학술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야외 금속문화재 보존처리와 보존관리,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대전, (2021).
  10. 국토교통부, 항공정비 일반, p6-17-6-18, 항공정비사 표준교재, 서울, (2016).
  11. 국토교통부, 항공정비 일반, p6-14, 항공정비사 표준교재, 서울, (2016).
  12. 국토교통부, 항공정비 일반, p6-5-6-6, 항공정비사 표준교재, 서울, (2016).
  13. 김성길, 정경택, 박홍수, 2액형 폴리우레탄 도료에 관한 연구(II); 폴리우레탄 도료의 제조와 도막 물성, 한국유화학회지 12(1), p19-27, (1995). https://doi.org/10.12925/JKOCS.1995.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