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icro Shell을 이용한 철기 문화재 복원용 충전제의 사용성 연구

A Study of Usability of Micro Shell as a Filler for Restoration of Iron Objects

  • 이현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서해문화재과) ;
  • 위광철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Lee, Hyunji (West Sea Cultural Heritag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
  • Wi, Koangchul (Department of Cultrural Heritage Conservation, Hanseo University)
  • 투고 : 2022.03.31
  • 심사 : 2022.04.25
  • 발행 : 2022.05.31

초록

철기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계열의 무기질 충전제는 열팽창률감소, 흐름성 개선 등의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충전제의 양이 많을 수록 복원재의 물성저하 및 황변 현상 촉진의 원인이되며, 결과적으로 재처리로 이어져 유물의 피로도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복원제와 충전제의 혼합 정량화 및 황변성 연구 필요성이 강조될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리카계 경량 충전제인 Micro Shell을 비교군으로 물성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에 사용하던 충전제에 비해 Micro Shell이 황변도 발생 수치가 최대 34% 낮았으며, 충전제의 배합양에 따라서 공통적으로 접착력과 비중의 물성 수치값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Micro Shell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Silica-based inorganic fillers for restoration of iron objects have been used for the reduction of thermal expansivity and the improvement of melt flow index. However, the higher the amount of filler is applied, the more degrad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yellowing occur, which could cause retreatment of the objects with adding stress to them. Thus, research on not only the quantification of a mixture of resin and filler but also the yellowing should be emphasized. Experiments on mechanical properties were carried out with a silica-based light filler, Micro Shell as a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Micro Shell reduce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yellowing by 34% compared to existing fillers. The value of adhesion and specific gravity was also improved depending on the filler amou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e possibility of using Micro Shell as a new fille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 보존처리 접착제, p40-63,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6).
  2. 국립문화재연구소, 도자기.토기 복원용 저황변.저수축 가역수지 개발 I, p50-59,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3).
  3. 국립문화재연구소, 도자기.토기 복원용 저황변.저수축 가역수지 개발 II, p41-62,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14).
  4. 김신희, 문화재 접합.복원재료 중 Epoxy 수지의 자외선 노화 거동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문화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p1-9, (2005).
  5. 김희진, 고민정, 임수경, 이태진, 황현성, 도자기 복원을 위한 소성점토와 에폭시터피 혼합비 연구-조선백자를 중심으로-, 박물관 보존과학 14, p29-35, (2013).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3.14.0029
  6. 나아영, 황현성, 보물 제1925호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내 유리제사리병의 복원 및 안정성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26, p25-34, (2021).
  7. 이현지, 금속 문화재 복원제에 사용되는 필러의 적용성 연구,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p1-25, (2020).
  8. 이해순, 나아영, 유리제 문화재 복원용 광경화성 수지의 물성 연구 및 적용, 박물관 보존과학 21, p1-16, (2019).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9.21.0001
  9. 위광철, 오승준, 개발된 Bisphenol-A계 Epoxy putty의 충전제 배합에 따른 물성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32(4), p459-469,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4.02
  10. 정다솜, 위광철, Rapid type Epoxy 수지의 Microballoon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문화재 보존연구 10, p108-12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