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and Market in the Eastern District of Gyeongseong Based on the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공간계량모형으로 살펴본 경성 동부지역 토지시장 연구

  • Seulki Yoo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yungmi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inseok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isa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유슬기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 김경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김진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이지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22.10.27
  • Accepted : 2022.12.29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land market in Eastern District of Gyeongseong is examined using land price data in the 1920's. For the study, land information in 1927 is constructed as a DB, and a map in 1929 is constructed as a GIS file to realize digitalization of historical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confirm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exists, and through spatial econometrics analysis, some factors affecting the modern land market are also valid at that time. The results show that land use and road access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and market, while the proximity of anchor facilities and educational facilities have a negative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moved on to a research topic that has been insufficient until now by examining whether the factors operating in the land market in the 21st century are also valid in the land market in the 1920's.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토지가격 정보를 활용하여 경성 동부지역의 토지시장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1927년 경성부관내지적목록 토지정보를 DB로 구축, 1929년 지형명세도를 GIS 파일로 구축해 역사 자료의 디지털화를 실현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자기상관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공간계량분석을 통해 현대 토지시장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당시에도 일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토지용도와 대로 접근성이 토지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앵커시설 및 교육시설 인접 여부는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21세기 현재 토지시장에서 작동하는 요인들이 1920년대 토지시장에서도 유효한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동안 미비했던 연구주제로 나아갔음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다(NRF-2018S1A5A2A01029089).

References

  1. 「東亞日報」
  2. 「朝鮮日報」
  3. 강병식, 1994, 일제시대 서울의 토지연구: The study on the land in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서울: 민족문화사
  4. 구자웅.송예나, 2016, "도시철도 역세권의 지가분포 변동: 광주시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3), pp.423-436. https://doi.org/10.23841/EGSK.2016.19.3.423
  5. 김경민.이의준.박대권, 2010, "초.중.고등학교 수요가 서울시 구별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연구 65, pp.99-113. https://doi.org/10.15793/KSPR.2010.65..006
  6. 김윤경, 2020, "경성의 주택난과 일본인 대가업자들-본정대가조합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78, pp.1-37.
  7. 남기현, 2019, 일제하 토지소유권의 원시취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배병일, 2021, 일제하 토지조사사업에 관한 법적 연구,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9. 배영순, 2002, 韓末.日帝初期의 土地調査와 地稅改正,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10. 신수현.최형석.심교언, 2013, "도심형복합상업시설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경방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54, pp.60-73.
  11. 신용하, 1982, 조선토지조사사업 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12. 유슬기.김경민, 2017, "일제강점기 한양 도성 안 동북부지역의 중상류층 지역화 과정," 서울과 역사 97, pp.161-213.
  13. 이금숙.김경민.송예나, 2010, "복합용도개발과 교통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515-528. https://doi.org/10.23841/EGSK.2010.13.4.515
  14. 이성현.전경구, 2012,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한 도시기반시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7(4), pp.193-204.
  15. 이영호, 2018, 근대전환기 토지정책과 토지조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6. 전병재.조성윤, 1995, "일제 침략기 경성부 주민의 토지소유와 변동," 서울학연구 1995(6), pp.1-40.
  17. 정연태, 1995, "大韓帝國 後期 不動産 登記制度의 近代化를 둘러싼 葛藤과 그 歸結," 법사학연구 16, pp.59-115.
  18. 정준호, 2019, "복합쇼핑몰 '롯데몰 수원점'에 대한 거리 접근성이 수원시 권선구 내 인근 아파트가격에 미친 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 pp.576-591. https://doi.org/10.23841/EGSK.2019.22.4.576
  19. 조석곤, 2003, 한국 근대 토지제도의 형성, 서울: 해남
  20. 中間人, 「外人의 勢力으로 觀한 朝鮮人 京城」, 「開闢」 제48호, 1924.06.01.
  21. 하영주.이원호, 2013, "교육환경과 주택가격 간 관계와 사회공간적 격차에 대한 함의-서울시의 사례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86-98. https://doi.org/10.23841/EGSK.2013.16.1.86
  22. Frier B. W., 1978, "Cicero's Management of His Urban Properties," The Classical Journal 74(1), pp.1-6.
  23. Raff D., Wachter, S. and Yan, S., 2013, "Real estate prices in Beijing, 1644 to 1840," Journal of Explorations in Economic History 50(3), pp.368-386. https://doi.org/10.1016/j.eeh.2012.10.003
  24. Garnsey P., 1976, Studies in Roman Property: By The Cambridge University Research Seminar in Ancient History in M. I Finley(ed.), Urban Property Invest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Hoyt, H., 1933, One Hundred Years of Land Values i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6. McMillen, D. P., 1996, "One Hundred Fifty Years of Land Values in Chicago: A Nonparametric Approach," Journal of Urban Economic 40(1), pp.100-124. https://doi.org/10.1006/juec.1996.0025
  27. Edel, M., and Sclar, E., 1975, "The Distribution of Real Estate Value Changes: Metropolitan Boston, 1870-1970," Journal of Urban Economics 2(4), pp.366-387. https://doi.org/10.1016/0094-1190(75)90034-0
  28. Rosenstein, N., 2008, "Aristocrats and Agriculture in the Middle an Late Republic," The Journal of Roman Studies 98, pp.1-26. https://doi.org/10.3815/007543508786239238
  29. Craver, S. E., 2010, "URBAN REAL ESTATE IN LATE REPUBLICAN ROME," Journal of Memoirs of the American Academy in Rome 55, pp.135-158.
  30. Tobler, W. 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io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 pp.234-240. https://doi.org/10.2307/143141
  31. Wheaton, W. C., Baranski, M. S. and Templeton, C. A., 2009, "100 years of Commercial Real Estate prices in Manhattan," Journal of Real Estate Economics 37(1), pp.69-83. https://doi.org/10.1111/j.1540-6229.2009.00235.x